•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바람직한 남북협상 운용 방향

Dalam dokumen 한반도 평화회담의 과거와 현재 (Halaman 63-78)

냉전기는 물론 탈냉전기에 진행된 이제까지의 남북대화는 성과가 부실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한이 현안 쟁 점들을 해결하려면, 즉 휴전상태를 평화상태로 전환하여 평화를 정 착하고 화해와 협력을 통하여 민족동질성을 회복하여 통일을 추진하 려면 남북대화만이 고려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통일이 아무리 좋다고 하더라도 한국인들이 지난날 한국전 쟁을 통하여 막대한 인명과 재산상의 희생을 경험한 것에 비추어 어 떠한 경우에도 무력에 의한 통일 시도는 국민의 지지를 얻지 못할 것 이며, 또한 분단된 이후 진정한 의미의 공존을 위한 대화다운 대화가 없는 상황에서 일방의 붕괴나 흡수에 의하여 갑작스럽게 통일을 맞 게 되는 것은 1990년 독일 통일이후 독일 정부가 10년 간 1조 5천억 마르크 (약 900조원) 이상을 투자하였으나 옛 동독 지역 출신 주민 들이 겪는 상대적 박탈감은 물론 서독 지역보다 2배나 되는 실업률 로 국민적 통합을 이룩하지 못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또한 공산주의 국가들의 붕괴로 국제정세는 탈냉전적 조류에 있고 북한의 경제난으로 수십만의 동포들이 북한을 탈출하여 중국 등 외국의 땅에서 유리하거나 한국으로 향하고 있고 북한이 핵 무기를 개발하려 하여 민족공멸의 위기가 닥쳐오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대화없이 대결과 대치만을 하는 현상고정 정책으로 안주

분쟁해결 수단으로서의 남북협상 : 실제와 교훈 55

할 수도 없다.

이와 같이 남북한 간의 성실한 대화는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통일 로 나아가는 유일한 길이다. 따라서 이제까지의 대화에서 큰 성과가 없었다고 실망하거나 한반도 공산화 통일 실현과 일방적 이익만을 노리는 북한특유의 회담 목표와 대남 전략적 차원에서의 회담운영 때문에 대화를 해보아야 성과가 없을 것이라는 예단으로 북한과 대 화를 하지 않으려 하면 이것은 격변하는 국제정세와 국민의 염원에 비추어 현명하지도 않고 올바르지도 않은 선택이다. 결국 한국에게 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협상을 당당하게 하면서 효율적으로 대외, 대 내정책으로 이를 뒷받침하는 문제가 남게 되는데, 아래에서는 대북 협상력을 제고하는 대책을 차례로 개략적으로 제시해보고자 한다.

1. 대북정책: 정확한 정세 판단과 분명한 협상목표, 과제, 협상 지침 수립

어떠한 거래나 협상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협상당사자가 상대방 을 잘 알아야 하는 것처럼 한국 측은 북한이 하는 언행의 뜻과 기도 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2500년 전 중국의 고대 군사이 론가인 손무(孫武)가 손자병법 의 모공편(謀攻篇)에서 상대를 알 고 나를 아는 자는 매번 싸움에서 위태롭지 아니하고, 상대를 모르고 나를 아는 자는 한번은 이기고 한번은 지며, 상대를 모르고 나를 모 르면 매번 싸움에서 반드시 위태롭다(知彼知己 每戰不危; 不知彼而 知己知彼 一勝一負; 不知彼不知彼 每戰必殆)70)라고 한 말은 남북한

70) 孫武 , 노태준 역, 「신역 손자병법」 (서울 : 홍신문화사, 1994), p. 71.

56 한반도 평화회담의 과거와 현재

관계에도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현실진단이 잘못되거나 정확하지 않으면 올바른 처방이나 정책이 나올 수 없다. 남북정상회담 이후 북 한의 변화 그 자체보다 한국이 북한을 보는 시각에 더 큰 변동이 있 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과거 반공적 입장으로부터 떠나 그들 을 동족으로 포용하고 그들의 호의를 얻으려고 무엇이나 좋게 해석 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북한의 김정일은 아버지가 정한 정책을 쉽사리 바꾸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71) 북한의 대남전략과 통일정책의 핵심은 ‘하나의 조선’이라는 논리 하에 주한미군을 축 출하여 ‘민족해방’을 성취하고 남한에 노동자 계급 중심의 ‘인민 민주주의혁명’을 달성하여 종국에는 북한과 같은 체제로 국가를 통 합하자는 것이다. 이것은 김일성 이래 결코 변경된 적이 없다.

북한의 말초적 변화를 본질적 변화로 호도하지 않아야 한다. 전술 적 변화를 전략적 변화라고 억지를 부려서는 안 된다. 있는 현상을 그대로 파악해야지 정치적 의도로 희망적인 해석을 하지 않도록 유 의하여야 한다. 같은 민족이기 때문에 민족과 통일을 위하여 허심탄 회하게 대화를 나누면 이루지 못할 일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은 남한 당국을 타도의 대상으로 여기는 북한에게는 적용되지 않으 며 너무나 순진한 생각이다. 특히 북한의 협상행태와 한국의 협상행 태가 다르다는 것을 충분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19세기 중엽의 서구 자본주의의 가혹한 자본축적으로 야기된 계급 투쟁에서 제기된 공산주의 이념을 신봉하는 국가들은 1990년을 전후 하여 대부분 몰락하였으며 아직도 이 이념을 고수하고 있는 중국, 베 트남도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하여 새로운 변화와 개혁을 시도하고 있 71) 서대숙, “북한체제의 전망,” 서대숙 외, 「정상회담 이후의 북한: 남북관

계의 변화와 전망」 (서울 : 경남대학교 출판부, 2002), p. 6.

분쟁해결 수단으로서의 남북협상 : 실제와 교훈 57

다. 그러나 북한은 ‘사회주의 강성대국 건설’과 ‘선군정치’라는 구호를 내세우고 ‘주체사상을 구현한 우리식 사회주의’와 김일성 이 만들어 놓은 체제를 지속적으로 강화시키고 그의 교시를 새롭게 해석하는 선에서 추진하는 ‘북한식 변화’를 고집하고 있고 북한의 수령유일지배체제는 인권을 유린하면서 경제적 궁핍을 초래함으로써 실패한 사회주의체제의 표본이 되고 있다.

공산주의 이념의 말로(末路)나 북한의 현 실정에 비추어 한국이 남 북대화를 통하여 구현할 통일 한국의 체제가 자유 민주 경제적 풍 요 복지사회를 목표로 하여야 한다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을 것이 다. 이것은 빛의 세계와 어둠의 세계 중에서 전자인 자유민주주의체 제를 선택하는 것과 같이 매우 자연스러운 이치이다.72) 따라서 분 단 조국의 재통합이라는 명분에 휩쓸려 전쟁이든 지도자 간의 합의 이든 통일만이 최상의 가치와 목표가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한국 이 기본적 정치, 경제적 자유도 없는 북한체제로 접근해 가거나 변화 를 하여야 한다는 주장은 전혀 고려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맹목 적 통일지상주의는 막연하지만 고귀하게 보이는 ‘민족이익’에 기 반을 두고 있지만 국가의 안보와 국민의 자유와 생명의 안전을 고려 하지 않은 것은 물론 남북한이 서로 신뢰를 하지 않고 있다는 현실을 72) 미국 예일대 법대학장으로 지명된 고흥주(Harold Hongju Koh) 교수는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클린턴 행정부 말기 매들린 올브라 이트 국무장관이 북한을 방문했을 때 국무부 차관보로 동행한 후 어두 움의 북한 상공을 지나 한국으로 들어서자 환하게 불빛이 밝아오면서 사람들의 활기찬 모습을 보았다고 하면서 남북한은 같은 문화를 공유 한 한민족이고, 불과 40-50 km 떨어져 있으나 ‘어둠의 세계’와 ‘빛의 세 가 다른 점은 단지 그들이 선택한 정부의 형태였다.”고 주장하였다. Marc Santora, Public Lives; Battling the Darkness, With the Law as His Lamp, New York Times, 2003.11.11, section B, page 2.

58 한반도 평화회담의 과거와 현재

무시한 것이다.

남북한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남북대화를 통하여 우선 정치적 통합 이전에 전쟁이 제거된 상태에서 남북한 주민들이 ‘우 리 민족’이라는 공동체 의식을 갖도록 실천방안을 합의하여 이를 이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남북한 당사자는 먼저 군사적 대결구 도를 해소하여 우발적으로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을 제거하고 평화를 정착하는 것과 함께 남북한 주민들이 경제, 사회, 문화 등 비정치 분 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지속적으로 증대하는 노력을 균형, 병행시켜 나가야 한다.

국제정치학의 통합이론73)이나 남북한 간이나 이웃 중국 대만 간 의 사례를 보더라도 비정치 분야의 교류 협력 증가74)가 자동적으로 군사적 대결관계를 완화하여 국가통합으로 갈 수 없다는 것이 입증 73) 국가통합이론에 대한 개략적 설명은 박재영, 「국제정치패러다임: 현실주 자유주의구조주의」 (서울: 법문사, 1996), pp. 314-340과 이상우,

국제관계이론: 국가간의 갈등원인과 질서유지」, 3정판 (서울: 박영사, 1999), pp. 538-557을 참조. 기능주의와 신기능주의에 대하여는 David Mitrany, A Working Peace System (Chicago: Quadrangle Books, 1966) Ernst B. Hass, The Uniting of Europ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8)을 각기 참조.

74) 지난 5년간 남북한간에는 김대중 정부가 취임한 1998222백만 불, 1999년 3억 3천 3백만 불, 2000년 4억 2천 5백만 불, 2001년 4억 3 백만 불, 2002642백만 불, 2003724백만 불로 점진적 으로 증가하였으나 남북한간 군사적 긴장완화와 평화정착에는 전혀 기 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1991년 이래 중국 대륙에 대한 교역과 투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대만의 경우에도 2003년 말 현재 대륙과의 총수 출입은 33827백만 불(대만이 19587백만 불 흑자), 대륙에 대한 투자도 1991년부터 2003년 말까지 33,537건의 프로젝트에 343억 8백만 불에 달하고 민간차원의 소규모 차관도 1,751,832건에 746 8백만 불에 달하였으나 대만 해협의 군사적 긴장은 전혀 완화되지 않고 있다.

Dalam dokumen 한반도 평화회담의 과거와 현재 (Halaman 63-78)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