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거의 모든 사회주의 국가들은 다양한 형태로 체제전환을 시도 해오고 있다. 사회주의 체제전환의 유형은 이른바 급진주의(radicalism) 와 점진주의(gradualism)로 대별될 수 있다. 급진주의는 구소련과 동 유럽 국가들의 체제전환 유형으로 단기간에 전면적으로 혁명적인 체 제전환 과정을 관철시키는 방식이고, 점진주의는 중국과 베트남의 체 제전환 유형으로 장기간에 걸쳐 경제영역에서부터 지속적인 체제전환 과정을 진행하는 방식이다.72 전환 영역의 상호 관계라는 차원에서 본 다면 급진주의는 정치와 경제가 동시에 전환되는 ‘이중전환’이라고 할 수 있고 점진주의는 경제부문의 변화를 우선시하는 ‘단일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73어떠한 유형에 해당하든지 간에 사회주의 국가가 체제전 환을 도모함에 있어서는 법치의 확립 및 강화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리고 법치화 과정에서는 거의 예외 없이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아 왔다. 오랫동안 일당 지배 체제와 계획경제를 유지해온 국가들이 독자적으로 법치를 실현해 나가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에 외부의 지원은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간주되었다. 대내외적 요
72_김근식,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 변화,” 통일과 평화, 2집 2호 (서울대학교 통일 평화연구소, 2010), pp. 118∼120.
73_위의 글.
건상 북한이 당장 체제전환에 나설 가능성은 높지 않으나, 체제전환 과정에 있는 사회주의 국가들에 대한 법치지원 사례는 북한에 대한 법 치지원 가능성 모색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히 중국, 베트남, 몽골에 대한 법치지원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북한은 민주주의 도입에 유보적이면서 시장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중국과 베트남을 많이 참고하고 있으며, 몽골 과는 전통적 우호관계를 유지하면서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가. 법치지원 지역별 사례
(1) 중국
(가) 법치 개혁의 배경 및 전개과정
중국은 전통적으로 인치(人治) 사회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인치 는 여전히 영향력이 있는 국정운영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으나,74 1978년에 개최된 중국공산당 제11기 제3차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이하
“제11기 삼중전회”라 한다)에서 개혁·개방이 선언된 이래 중국에서는 점진적인 법치화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제11기 삼중전회에서는 “인민 의 민주를 보장하기 위하여 사회주의 법제 건설을 강화해야 하고, 민 주를 제도화·법률화하고 이러한 제도와 법률이 안정성, 연속성, 최고의 권위를 갖게 하여야 하며, ‘법이 있으면 의거할 수 있고, 법이 있으면 반드시 의거해야 하며, 법 집행은 엄격해야 하고, 위법은 반드시 추궁 한다(有法可依, 有法必依, 執法必嚴, 違法必究)’는 정신을 실현해 나
74_김윤권, “중국 정부행위의 제도화: 인치에서 법치로,” 한국행정학보, 제43권 제4호 (한국행정학회, 2009), pp. 136∼138.
Ⅰ
Ⅱ
Ⅲ
Ⅳ
Ⅴ
Ⅵ
가야 한다”고 함으로써 향후 법치의 확립과 발전에 중요한 방향을 제 시하였다. 이후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중국 법학자들 간에 인치와 법 치를 둘러싸고 첨예한 논란이 벌어지기도 하였으나,75 ‘개혁·개방 헌법’
으로 불리는 1982년 헌법 제5조에서 “사회주의 법제도의 존엄성은 유 지되어야 하고, 모든 국가기관, 무장세력, 정당, 기업 및 기관은 법률을 준수하여야 하며, 어떠한 조직이나 개인도 헌법과 법률을 초월하는 권 리를 가질 수 없다”고 규정하고 제33조에서 “모든 공민은 법 앞에서 평등하다”고 규정함으로써 이러한 논란은 종결되었다. 1996년에는 중 국 공산당이 “법에 따라 국가를 통치하고 사회주의 법치국가를 건설한 다(依法治國, 建設社會主義法治國家)”라는 개념을 공식적으로 승인 하였고, 이후 1999년 헌법 개정 시 이러한 내용이 제5조에 추가되었다.
한편, 중국은 보다 구체적인 조치에 들어감으로써 법치화가 단순히 정치적 수사(rhetoric)만은 아님을 보여주었다. 가장 먼저 법령에 대한 정비 작업에 착수하였는데, 마오쩌둥(毛澤東) 시대에는 법이 아닌 당 의 정책에 거의 의존하였기 때문에 형법, 민법, 계약법과 같은 기본적 인 법조차도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었다.76 1976년부터 1998년까 지 전국인민대표대회는 337개 이상의 법을 통과시켰다. 이는 1949년
부터 1978년까지 134개의 법이 통과되었고 특히 1967년부터 1976년
까지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단 하나의 법만 통과된 점을 고려하면 비 약적인 증가라고 할 수 있다.77 중국은 제도에 대한 정비 작업에도 착수 하였다. 1979년에는 1959년에 해체되었던 법무부를 부활시켰고, 법 관 련 기관을 재건하고 법조인력에 대한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다
75_자세한 내용은 Randall Peerenboom, China’s Long March toward Rule of Law (Cambridge an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p. 56 참조.
76_Ibid., p. 6.
77_Ibid.
양한 노력이 전개되었다. 그 결과 법제도 정비, 사법제도 정비, 입법수 준과 법률의식을 제고 등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78 폴 거워츠(Paul Gewirtz) 교수는 중국의 이와 같은 ‘법적 개혁(legal
reform)’의 동인(動因)으로 다음의 8가지를 제시하였다.79 첫째, 중국
지도층은 법제도의 발전을 경제성장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한다. 둘째, 중국 지도층은 문화대혁명과 같은 상황이 다시 발생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셋째, 중국 지도층은 다루기 힘들고 제멋대로인 관료조직과 지 방정부를 통제하기를 원한다. 넷째, 중국 지도층은 범죄에 대처하기 위 한 능력을 강화하기를 원한다. 다섯째, 중국 지도층은 점차 확대되는 대중의 권리 의식에 반응하기를 원한다. 여섯째, 중국 지도층은 큰 사 회적 변화가 있고 민주적 배출구(democratic outlets)가 거의 없는 때 에 시민들이 불만을 표출할 수 있는 평화적 채널을 제공할 필요가 있 다는 것을 인식한다. 일곱째, 글로벌 시장과 세계무대에서 중국의 역할 이 확대됨에 따라 국제법 규범을 따르고 다른 국가들과 대등한 법적 정비를 발전시키는 데 보다 수용적이 되어 왔다. 여덟째, 중국 지도층 은 국내적으로 그리고 국제적으로 자신들의 체제를 적법화하는 데에 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법적 개혁의 동인을 내적인 요인과 외적인 요인의 보다 큰 카테고리 로 분류하는 견해도 있다.80 먼저 내적인 요인으로는 경제 체제의 변
78_개혁·개방 이후 중국은 인치에서 법치에 이르기까지 경제체계의 전환 단계(1978년 부터 1993년까지), 정책성 법률에 의한 통치 단계(1993년부터 2001년까지), 법치의 정착 단계(2001년부터 현재까지)라는 3단계의 과정을 거쳤다는 분석이 있다. 모덕 승, “중국법의 변화와 방향: 인치와 법치의 논쟁을 중심으로,” 법학논총, 제30집 제1호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p. 545.
79_Paul Gewirtz, “The U.S.-China Rule of Law Initiative,” William & Marry Bill of Rights Journal, Vol. 22, Issue 2 (2003), pp. 604∼605.
80_이정표, “중국 법제개혁에 관한 일반적 고찰,” 중소연구, 제29권 제3호 (한양대학
Ⅰ
Ⅱ
Ⅲ
Ⅳ
Ⅴ
Ⅵ
화와 이에 따른 중국인의 의식 발전이 있다. 사회주의 계획경제 체제 에서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로 전환되면서 재산권 문제에 관하여 다 양한 소유제 구조가 도입되었고, 경제주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결국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 및 이와 관련된 법제도가 개혁되는 동인이 되었다는 것이다.81외적인 요인으로는 세계무역기구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가입과 국제협약에의 가입이 있
다. 중국은 2001년 WTO에 가입하면서 WTO 규범체계에 부합하지 않는 많은 법령을 제·개정해야 했고, 인권 관련 조약에 가입하면서 새 로운 국제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공법적 환경을 조성해야 했다는 것 이다.82
이처럼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중국은 법적 개혁을 추진하고 있지만, 수천 년 동안 인치사회였던 국가가 단기간 내에 법치사회로 나아가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 특유의 법률관념이 사회생활의 각 영 역에 알게 모르게 침투되어 있으면서 오랫동안 사람들의 사고에 영향 을 미침으로써 법치사회로 나아가려는 중국의 전도를 가로막고 있는 것”83이다. 이와 같은 오랜 전통과 의식의 영향 외에도 중국의 경제 및 정치 발전의 수준도 법치 확립 과정에서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중국의 법치화 과정에서는 외부의 다양한 지원이 직접적으로 또 는 간접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05), pp. 78∼79.
81_위의 글.
82_위의 글.
83_유검화, “현대 중국사회의 법제: 인치에서 법치로의 발전과 문제,” 아시아문화, 제 13호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97), p. 342.
(나) 국제기구의 법치지원
유엔 ‘법치 조정 및 자원단(Rule of Law Coordination and Resources Group)’의 19개 구성기관 중 하나인 세계은행은 1990년대 이후로 법 및 사법 개혁을 통한 국가 원조를 확대해 왔다. 이는 어느 국가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발전과정이 종합적이어야 하며, 법 및 사법 개혁은 그러한 과정의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84 중국에 대한 이 분야의 프로젝트 중 대표적인 것으로 는 1994부터 2004년까지 10년간 진행된 ‘경제 관련 법 개혁 프로젝트 (Economic Law Reform Project)’가 있다.85 이 프로젝트는 경제 개 혁을 뒷받침하는 법제도 개선을 위한 중국의 노력을 지원하려는 것으 로, 입법 준비 지원, 훈련 지원, 기관 지원의 서브프로젝트로 구성되었 고, 총 천만 달러가 투입되었다. 입법 준비 지원 프로젝트는 계약법, 보 험법, 변호사법 등 50개 이상의 법규를 입안하는 데 관련된 15개 이상 의 기관을 지원하였다. 훈련 지원 프로젝트는 공무원, 판사, 법학교수 등을 대상으로 법의 이행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대학 등 여러 기 관에 법학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였다. 기관 지원 프로젝트는 국무원 법제판공실(State Council’s Office of Legislative Affairs)의 법제정 보네트워크시스템(China Legislative Information Network System) 구축을 지원하였고, 최고인민법원의 법원 및 직원 관리 개선 연구를 지원하였다.
세계은행이 발간한 프로젝트 결과보고서에서는 목표의 성취 및 산
84_The World Bank, Initiatives in Legal and Judicial Reform (2004 Edition),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2004), p. 1.
85_관련 정보는 The World Bank, “Economic Law Reform Project,” <http://www.
worldbank.org/projects/P003647/economic-law-reform-project?lang=en> (검 색일: 2014.10.6)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