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중국의 대 아시아 외교정책들은 역사적, 지리적으로 아시아의 중심국가 로서 주도권 확보, 이념적으로는 소련의 붕괴 이후 세계 사회주의 국가 대표성 강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국가의 세계화에 대응하는 초강대 국이라는 거시적 국가목표의 틀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1990년대까지

18 동북아 문화공동체의 동아시아 지역 확대방안을 위한 기초연구

서방세계의 경제협력을 기반으로 한 경제성장 정책으로 인하여 이러한 국가 목표의 구체적인 정책들이 현시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지만 2000년대 이후 그 동안의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중국의 대 아시아 정책 들이 점차 가시화 되고 있다. 또한 중국은 경제적 활동뿐만 아니라, 최근 경제적 활동을 벗어나 미국의 대 아시아 정책-일본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중국의 제어-에 자극을 받아 아시아에서의 유일 강대국으로서 주도권 을 확보하기 위해 정치 및 군사 외교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ASEAN 의 산업구조가 중국과 경쟁구조인데도 불구하고 최근 ASEAN과의 관계 강화에 적극적인 것도 이러한 정치 및 군사적인 외교의 일환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1997년 이후 중국은 ASEAN 국가들에 대한 집중적인 정상급 및 고위

급 방문외교를 통하여 1999년부터 2000년 사이에 ASEAN 10개국 전체 와 개별적으로 양자차원의 미래협력을 강조하는 공동선언(우호협력과 하 나의 중국 정책)을 채택하였다. 말레이시아와는 방위산업 협력을, 태국과 는 군사외교를, 인도네시아와는 광범위한 지역안보와 국제질서 문제를,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와는 군사교류를 강화함으로써, 상호협력의 범위 를 통상적인 정치, 경제, 사회․문화 협력을 넘어선 포괄적 군사안보 협력 분야까지 전면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특히 동남아 국가 중 정치, 경 제적으로 가장 안정되어 있는 태국과는 이미 1970년대 ASEAN 국가로 서는 최초로 공식수교를 하였고 현재 역내 가장 이상적인 중국의 협력 파 트너 또는 나아가 사실상의 동맹국으로까지 발전시키고 있다.

중국-ASEAN간 경제관계도 다방면에서 양적 질적으로 급속히 진전되 고 있다. 1996년 중국-ASEAN간 교역규모 150억 달러에서 2002년에는 550억 달러로 성장하였고, 2000년 ASEAN의 대중국투자는 약 30억 달 러, 중국의 대ASEAN 투자도 9억 달러에 달하였다. 중국은 ASEAN 국 가들의 주요 경제개발 정책에 직접 참여하여 경제적 관계를 강화시켜 중

국-ASEAN 관계를 더욱 증진시키고 있다. ASEAN의 주요 역내 사업인

메콩강 유역 개발사업의 적극적인 참여, 중국과 ASEAN간의 육로연결

강화, 1997년 금융위기 직후 태국, 인도네시아에 대규모 금융지원, 역내 최빈국들에 대한 대규모의 부채탕감과 체제전환국의 경제개혁 지원 등이 그 대표적인 예들이다. 2002년 11월 중국은 ASEAN과 2015년까지 자유 무역 협정(Free Trade Agreement: FTA) 체결을 위한 기본협정에 서명 함으로써 향후 아시아 지역의 주도권을 위해 아시아에서 가장 능동적으 로 움직이고 있다. 아래의 표는 중국과 아세안간의 무역규모의 변화를 보 여주고 있다. 아세안의 대 중국 수출 규모는 1993년에 비하여 2002년 약

<표 Ⅱ-1> 중국과 아세안간의 무역 규모의 변화, 1993-2002 아세안의 대 중국 수출 규모

(단위: 천달러)

국 가 수 출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부르나이 - 37.1 152.2 115.4 0.0 0.0 244.2 22,270.0 127,741.3 157,323.3

캄보디아 - - - - - - - 285,985.0 224,984.2 7,562.3

인도네시아 1,249,494.1 1,280,043.2 1,741,717.8 1,867,758.2 2,123,041.2 1,832,034.4 3,338,942.2 4,321,848.9 3,490,998.1 2,902,947.7 말레이시아 1,202,628.5 1,859,707.4 1,806,866.6 1,519,935.5 1,313,812.7 1,545,082.2 4,595,865.8 6,433,437.9 6,229,130.5 4,763,693.5

미얀마 - - - - - - 65,076.9 86,525.3 103,700.5 53,918.6

필리핀 173,874.0 163,967.0 212,938.6 327,921.7 244,411.6 343,682.6 2,521,925.8 2,570,611.5 2,372,582.0 1,355,825.2 싱가폴 1,902,697.9 2,000,065.8 2,439,216.6 3,214,704.8 4,195,491.8 4,059,714.3 12,718,557.3 16,236,398.3 16,140,398.9 6,851,393.1 태국 - - - 543,696.6 1,291,132.0 1,422,072.6 3,231,764.2 5,077,586.6 2,862,555.1 3,454,885.7 합 계 4,528,694.5 5,303,820.5 6,200,891.8 7,474,132.2 9,167,889.3 9,202,586.1 26,472,376.4 35,034,663.5 31,552,090.6 19,547,549.5 참고 : 1999-2001년 통계치는 홍콩포함

출처 : ASEAN Statistical Book, 각년도

아세안의 대 중국 수입규모

(단위: 천달러)

국 가 수 입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부 르 나 이 - 34,931.4 63,336.5 72,500.2 55,090.6 20,620.9 72,415.9 84,958.9 97,356.1 62,069.1

캄 보 디 아 - - - - - - - 364,110.9 203,774.4 197,305.8

인 도 네 시 아 935,983.3 1,477,386.7 1,495,223.3 1,235,458.7 1,518,013.9 904,459.4 1,469,664.0 2,364,323.0 2,099,989.6 2,427,368.6 말 레 이 시 아 816,772.8 1,200,709.0 1,516,774.7 1,719,986.8 1,916,805.4 1,685,513.6 3,358,966.0 6,572,884.9 5,129,407.3 5,426,264.9

미 얀 마 - - - - - - 223,665.3 261,734.9 394,914.4 211,685.5

필 리 핀 180,662.9 294,046.6 475,876.6 676,506.8 871,565.5 1,198,911.2 2,265,960.7 1,984,916.9 2,212,320.0 1,244,039.1 싱 가 폴 2,402,944.9 2,751,912.8 3,578,512.1 4,205,358.5 5,808,553.0 4,853,367.7 8,878,527.6 10,637,225.3 9,982,659.7 8,853,699.1

- - - 1,307,809.3 3,312,855.6 2,548,662.2 3,138,797.8 4,210,755.3 3,712,652.5 4,789,799.1

합 계 4,336,363.9 5,758,986.5 7,129,723.2 9,217,620.3 13,482,884.0 11,211,535.0 19,407,997.3 26,480,910.1 23,833,074.0 23,212,231.2 참고 : 1999-2001년 통계치는 홍콩포함

출처 : ASEAN Statistical Book, 각년도

20 동북아 문화공동체의 동아시아 지역 확대방안을 위한 기초연구

4배 이상 성장하였다. 아세안의 중국으로부터 수입규모는 동기간에 약 6

배 이상 늘어났다.

최근 중국은 국가안보적 측면에서 ASEAN 국가들 사이에서 상당한 신뢰와 주도권을 회복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는 중국과 ASEAN의 2002

년 11월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해결과 관련한 “남중국해 행동지침 선언

(Declaration on the Conduct of Parties in the South China Sea)”이 다. 이는 남중국해의 다양한 쟁점에 대한 협의와 협상을 통한 평화적 해 결방법과 이해당사국의 공동합의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남중국해의 문 제는 중국과 동남아시아의 문제로 미국과 다른 아시아 국가를 배제하고 역내의 이해당사국의 평화적 해결을 시도하겠다는 의미이다. 더욱 발전적 인 것은 2003년 10월 동남아 우호협력조약에 공식가입하여 ASEAN의 역내 국가들의 주권과 안보를 보장하고 중국의 신뢰를 확보하였다. 최근 중국은 미국의 아시아 태평양 군사 재배치와 관련하여 2004년 11월 ASEAN 10개국 회원국 등이 참여하는 신안보포럼을 북경에서 개최할 예 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