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태국은 1967년 아세안 결성에 적극 참여하여 아세안의 결속 및 발전에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라오스․캄보디아․미얀마를 편입시키는 대 아 세안 구상을 추진하고, 제 5차 아세안 정상회담 개최(95.12. 방콕)시 동남 아 10개국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등 아세안과 인도지나, 미얀마를 연결하 는 교두보로서 양자를 통합, 태국이 중심 국가가 되는 광역 경제권 결성 을 궁극적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또한 아세안 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역 내 안보를 위해 연례 아세안 외무장관회담(AMM), 아세안 확대 외무장관

회담(PMC) 등 정치안보협력을 위한 협의의 장을 확대, 역내 다수 국가가

참여하는 아세안 안보포럼(ARF)을 추진하고 있다.

95년 12월 진행된 방콕개최 제 5차 아세안 정상 회담시 동남아 비핵지 대화 조약(SEANFZT)을 채택 주도한 후 비준서 기탁국으로서 조약발효

(97.3)에도 중심 역할을 수행하여 아세안 비전 2020을 중심으로 한 아세

안의 협력 강화를 추구하였다. 특히 탁씬 총리는 인근 아세안 제국과의 공동 각료회의 개최를 통한 우호 협력 강화를 추진하고 2003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캄보디아와 공동 각료회의 개최 등을 진행했다. 또한

SEATO에 가입하고, 미국 군사원조 접수, 미군기지 제공 등 동남아에 있

어 미국의 반공군사체제의 주요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이후 76년 미국의 완전철수 이후에도 매년 합동군사훈련(Cobra Gold)을 실시하는 등 안보 협력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그 외 중국, 일본 등의 주요국과 미얀마, 캄보 디아 등의 주변국과의 관계도 공고히 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 한 배경 속에서 한국과 태국의 교류도 정치, 경제, 사회․문화의 다양한

측면에서 오랜 기간 유지되어 왔으며 최근 들어 경제, 문화 측면에서 보 다 활발해지고 있다.

가 . 정치교류관계 현황

태국은 한국전 당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전투 병력을 파견(50.11월) 한 국가로서 전통적 우방이며, 양자관계는 물론 ASEAN+3, APEC,

ASEM 등 다자포럼에서도 밀접한 우호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태국은 현재까지 ASEAN 국가들과의 관계를 외교의 기본 축으로 삼고 있으며, 대외 면에서는 미국, 일본, 중국과의 관계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과 태국은 1959년 1월 공식 수교하여 상주 대사관을 설치하고 있

으며, 1975년 5월에는 북한과도 외교관계를 수립해 태국은 남북한 양국

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다. 양국간에는 1961년 9월 코만 태국 외무장관의 방한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많은 양국간 주요인사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표 Ⅴ-4> 한국과 태국 정치 및 정부관련 인사의 상호방문 현황, 1991-2003

기 간 1961-1995 1999-2003 합 계

한국 정부 관련기관 및 정치고위급 교류 태국 정부 관련기관 및 정치고위급 교류

29 32

20 11

49 43 출처 : 외교통상부 in www.mofat.go.

(1) 외교 부문의 교류협정

우선 한국과 태국간의 경제부문 협력은 1961년 체결된 무역협정을 시 작으로 주로 60-70년대에 상당부분 이루어져 다른 동남아 국가에 비해 그 협력의 역사가 비교적 오래되었다. 1989년에는 양국간 투자 증진 및

146 동북아 문화공동체의 동아시아 지역 확대방안을 위한 기초연구

보호에 관한 협정이 체결되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의 대 태국 투자 및 상 호교류가 진행되고 있다.

<표 Ⅴ-5> 대한민국 정부와 태국 정부간에 체결된 주요 조약 및 협정, 경제부문, 1961-2004

조 약 명 분 야 년도 / 월 대한민국 정부와 태국 정부간의 무역협정 경 제 1961년 9월 대한민국 정부와 태국 정부간의 무역관

전시품 면세통관에 관한 각서교환 경 제 1963년 5월 대한민국 정부와 태국 정부간의

무역협정의 부표 수정 경 제 1976년 12월

대한민국과 태국간의 소득에 대한 조세의

이중과세회피를 위한 협약 경 제 1974년 8월

대한민국 정부와 태국 정부간의 투자의 증진 및

보호에 관한 협정 경 제 1989년 3월

출처 : 외교통상부 in www.mofat.go.

또한 한국과 태국 정부는 외교, 항공, 기술, 사회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서 최근까지 외교적 협정을 통해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우선 1967년 9월 양국 정부간 사증수수료 및 외교관 등에 대한 사증면제에 관한 각서교환 을 시작으로 항공업무에 대한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후 1980년대에는 국 제운수에 있어서의 선박 및 항공기 운항에 대한 면세 협정, 과학 및 기술 협력, 정부간의 양자 협력을 위한 공동위원회의 설립에 관한 협정 등이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사회․문화 분야의 양국간 외교노력이 진행되어 1999년 양국간 범죄인 인도조약, 2004년 8월 문화 및 교육 분야에서의 협 력에 관한 협정이 체결되었다.

<표 Ⅴ-6> 대한민국 정부와 태국 정부간에 체결된 주요 조약 및 협정, 사회일반부문, 1967-2004

조 약 명 분 야 년도 / 월 대한민국 정부와 태국 정부간의 사증수수료 및

외교관 등에 대한 사증면제에 관한 각서교환 외 교 1967년 9월 대한민국 정부와 태국 정부간의 각자의 영역간 및

그 이원의 항공업무를 위한 협정 항 공 1967년 7월 대한민국 정부와 태국 정부간의 국제운수에 있어서의

선박 및 항공기의 운항에 대한 면세에 관한 협정 항 공 1981년 1 대한민국 정부와 태국 정부간의 과학 및

기술협력에 관한 협정 기 술 1985년 6월

대한민국 정부와 타일랜드왕국 정부간의

양자협력을 위한 공동위원회의 설립에 관한 협정 외 교 1998년 7월 대한민국과 타일랜드왕국간의 범죄인 인도 조약 사 회 1999년 4월 대한민국 정부와 타이왕국 정부간의 문화 및

교육 분야에서의 협력에 관한 협정 문화/교육 2004년 8월 출처 : 외교통상부 in www.mofat.go.

특히 2004년 8월 25일 방콕에서 서명 및 발효된 양국간 문화 및 교육 분야에서의 협력협정은 문화와 교육 분야에서의 두 나라의 협력을 증진 시키기를 희망하고, 이러한 분야에서의 협력이 두 나라 국민 사이의 우호 관계 및 상호이해를 강화할 것임을 확신하여 <표 Ⅴ-7>과 같이 합의하 였다.

148 동북아 문화공동체의 동아시아 지역 확대방안을 위한 기초연구

<표 Ⅴ-7> 대한민국 정부와 태국 정부간의 문화 및 교육 분야에서의

협력에 관한 협정

구 분 내 용

협력분야

- 예술과 문화 - 교육과 연구 - 대중 매체 - 청소년 - 체육

협력방법

- 공연예술, 시각예술 및 문학작품을 포함한 문화,

예술 분야의 관련 정보 및 경험의 교환과 이 분야의 전문가의 교환 - 타방 체약당사자가 개최하는 국제적인 축제, 박람회, 포럼, 전시회, 회의, 세미나 및 그 밖의 문화 행사에 참여의 지원

- 문화 예술 관련 여러 기관 사이의 협력과 직접적인 접촉의 증진 - 두 나라의 권한당국 또는 기구 사이의 교류와 협력에 관한 구체적인 운영계획의 수립

- 고고학적, 문화적 및 역사적 유산의 보존과 복원 뿐 아니라 문학작품의 번역과 박물관, 도서관 및 기록보존소 사이의 교류를 포함한 고고학, 역사, 문화 및 언어 연구에서의 협력의 장려 - 언론, 라디오 및 텔레비전 부문 사이, 그리고 언론인,

그 밖의 대중매체 대표 사이의 직접 접촉과 협력 관계의 발전을 장 려․지원

- 체육기구 및 협회 사이의 상호교류를 증진시키고 경기 및 회의 그 밖의 관련 활동에 참가하기 위하여 운동선수 및 코치

그 밖의 인사의 교환을 장려함으로써 체육 및 체육교육 분야의 협력을 강화

교육협력

- 학술기관, 학교 및 정부 기관 사이의 직접적인 협력의 구축 - 교육 및 교육방법의 경험을 교환하기 위하여 전문가, 학자, 학생 및 학술기관 관계자의 상호방문의 증진

- 타방체약당사자의 국민에 대한 장학금의 수여를 통하여 학생 교류의 증진

- 세미나, 회의, 심포지엄 및 토론회 그 밖의 행사에 상호 참여와 제3국에서 개최되는 그러한 행사에 공동 참여의 장려

출처 : 외교통상부 in www.mofat.go.

(2) 한국 정부의 태국 지원

한국의 태국 지원은 한국국제협력단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대 태국 무 상협력지원사업은 프로젝트, 봉사요원 파견, 연수생 사업 등 다양한 분야

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초기에는 해외봉사단 파견이나 프로젝트 사업 등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나, 태국의 경제성장이 진행되면서 최근 들 어 연수생 사업, 전문가 파견, 개발조사 등의 사업지원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표 Ⅴ-8> 대 태국 무상협력사업실적 및 지원현황, 1991-2001

(단위 : 백만원) 국가명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태국(A) 148 401 255 358 500 924 694 1,156 450 736 773 총계(B) 17,376 23,168 24,605 30,774 37,959 43,250 52,761 53,776 45,116 51,276 69,718 A/B(%) 0.85 1.73 1.04 1.16 1.32 2.14 1.32 2.15 1.00 1.44 1.11 출처 : 한국국제협력단, 대외무상원조 1991-2002 통계 각 권 참조

<그림 Ⅴ-3> 대 태국 무상협력사업실적 및 지원 추이, 1991-2001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연도

지원액(백만원)

출처 : 한국국제협력단, 대외무상원조 1991-2002 통계 각 권 참조

나 . 경제교류관계 현황

한국과 태국은 1961년 무역협정 체결 이후 본격적인 경제교류가 진행 되고 있으며 양국간 통상확대에 따라 1975년부터 한․태 통상장관회담이

150 동북아 문화공동체의 동아시아 지역 확대방안을 위한 기초연구

정기적으로 개최되어 경제교류에 대한 현안들을 논의하고 있다.

(1) 산업교역 관계

우리나라 입장에서 볼 때 태국은 동남아 인접국으로 간접수출이 가능 한 역내경제의 중심시장이다. 그러나 교역기반이 아직까지 충분히 구축되 어 있지 못한 상태이다. 백화점, 슈퍼마켓, 유통센터, 주유소 등에 구미, 일본자본이 진출해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주요 유통망에 진출 하지 못하고, 주로 태국이 발주하는 공사수주, 한국투자업체의 원자재 수 요, 태국 내 수입대리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상품에 대한 인지도는 자동차업계의 본격적인 진출과 함께 90년대 들어 크게 상승하 고 있다.

90년대 양국간 교역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으나 97-98년 양국의 외 환위기로 급격히 위축되었다가 ’99년 이후 회복세로 반전하였다. 대 태국 교역은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나, 2000년 이래에는 흑자 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태국 수출의 상당부분이 우리 진출 기업들의 산 업용 원부자재 수입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 기업들은 태국의 경제성 장, 수출증대 및 고용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 들어 2002년도에는 태 국경제호전에 따라 IT제품위주의 대 태국 수출이 증가하여 전년도대비

26.4%가 증가한 23.4억 달러에 달하였으며, 국내경기회복에 따라 대 태국

수입은 원자재, 부품 및 농수산물 중심으로 전년대비 7.1% 증가한 17억 달러에 달했다. 2003년에도 태국경제의 호조세 지속에 따라 전지, 전자부 품, 휴대폰 등 IT제품위주의 대 태국 수출이 증가하여 전년대비 8.07%가 증가한 25.2억 달러을 기록하였으며, 대 태국 수입도 원자재, 부품 및 농 수산물 중심으로 전년대비 11.4% 증가한 18.9억 달러을 기록하여 무역수 지는 6.26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의 대 태국 수출변화를 자세히 살펴보면, 96년까지 지속적인 증가 세를 유지하였으나 아시아지역 외환위기인 97년 이후 큰 폭으로 감소한

후 99년부터 완만한 회복세를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