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합도 지수 χ² df p TLI CFI RMSEA
측정모형 191.476 66 .000 .910 .934 .077
[표 Ⅳ-4]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
측정변인 잠재변인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S.E. C.R.
감독 ← 긍정적양육태도 1.000 .584
합리적 설명 ← 긍정적양육태도 1.167 .663 .130 8.951***
애정 ← 긍정적양육태도 1.289 .868 .131 9.869***
비일관성 ← 부정적양육태도 1.000 .546
과잉기대 ← 부정적양육태도 .827 .411 .124 6.690***
과잉간섭 ← 부정적양육태도 1.198 .613 .130 9.190***
학대 ← 부정적양육태도 .835 .633 .108 7,733***
방임 ← 부정적양육태도 1.045 .719 .128 8.188***
착취 ← 자기애적웅대성 1.000 .489
웅대한 환상 ← 자기애적웅대성 2.145 .866 .266 8.066***
자기희생자기고양 ← 자기애적웅대성 1,766 .715 .225 7.861***
변동하는 자존감 ← 자기애적취약성 1.000 .948
평가절하 ← 자기애적취약성 .843 .774 .049 17.084***
특권분노 ← 자기애적취약성 .790 .738 .050 15.921***
[표 Ⅳ-5] 측정모형의 경로계수 추정치
***p<.001
나. 연구모형 검증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애 성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부 모양육태도의 하위 요인을 외생변수, 자기애 성향의 하위 요인을 종속변수로 하 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연구모형 1로 명명하였다. 설정된 연구모형의 적 합도 검증을 위하여 절대적합지수인 χ², RMSEA와 증분적합지수인 TLI, CFI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적합도 지수는 [표 Ⅳ-6]에 제시하였다. 앞서 제시한 모형 적합도 수용기준에 따라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연구모형은 수용할 만한 수준의 적합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TLI>.90, CFI>.90, RMSEA<.08).
[그림 Ⅳ-2] 측정모형 검증 결과
χ² df p TLI CFI RMSEA
감독 34.607 15 .003 .963 .980 .064
합리적설명 69.143 23 .000 .938 .960 .079
애정 64.034 23 .000 .951 .969 .075
비일관성 67.057 23 .000 .929 .955 .077
과잉기대 51.539 22 .000 .956 .973 .065
과잉간섭 55.286 22 .000 .955 .972 .069
학대 53.801 22 .000 .956 .973 .067
방임 39.152 15 .000 .956 .977 .071
[표 Ⅳ-6] 연구모형 1의 적합도 지수
다. 연구모형 분석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애 성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 1의 경로계수 추정치를 산출하여 [표 Ⅳ-7]에 제시하였다.
경로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S.E. p
감독 → 자기애적웅대성 .025 .022 .081 .757
감독 → 자기애적취약성 -.751 -.322*** .160 .000 합리적설명 → 자기애적웅대성 .080 .084 .066 .226 합리적설명 → 자기애적취약성 -.494 -.247*** .128 .000
애정 → 자기애적웅대성 .072 .056 .170 .408
애정 → 자기애적취약성 -1.055 -.389*** .170 .000 비일관성 → 자기애적웅대성 .488 .259* .189 .010 비일관성 → 자기애적취약성 2.324 .588*** .189 .000 과잉기대 → 자기애적웅대성 .345 .389*** .075 .000 과잉기대 → 자기애적취약성 .555 .293*** .124 .000 과잉간섭 → 자기애적웅대성 .160 .214** .297 .003 과잉간섭 → 자기애적취약성 .659 .424*** .096 .000 학대 → 자기애적웅대성 .225 .190* .098 .009 학대 → 자기애적취약성 1.158 .413*** .182 .000
방임 → 자기애적웅대성 .172 .125 .103 .095
방임 → 자기애적취약성 1.337 .471*** .202 .000 [표 Ⅳ-7] 연구모형 1의 경로계수 추정치
*p<.05, **p<.01, ***p<.001
이에 따르면 감독에서 자기애적 취약성(β=-.322, p<.001), 합리적 설명에서 자기애적 취약성(β=-.247, p<.001), 애정에서 자기애적 취약성(β=-.389, p<.001)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일관성에서 자기애적 웅대 성(β=.259, p<.05)과 자기애적 취약성(β=.588, p<.001), 과잉기대에서 자기애 적 웅대성(β=.389, p<.001)과 자기애적 취약성(β=293, p<.001), 과잉간섭에 서 자기애적 웅대성(β=.214, p<.01)과 자기애적 취약성(β=.424, p<.001), 학
대에서 자기애적 웅대성(β=.190, p<.01)과 자기애적 취약성(β=.413, p<.001), 방임에서 자기애적 취약성(β=.471, p<.001)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 났다.
이상을 종합하면 긍정적 양육태도의 하위 요인인 감독, 합리적 설명, 애정은 자 기애적 웅대성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애적 취약성에 이르는 경로가 모두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양육태도를 구성하는 하 위 요인 5개 중 방임을 제외한 4개 요인은 자기애적 웅대성과 자기애적 취약성 에 이르는 경로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방임은 자기애적 취약성에 이르 는 경로만이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7]을 토대로 연구모형 1 의 경로를 도식화하면 [그림 Ⅳ-3]와 같다.
[그림 Ⅳ-3] 연구모형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