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Dalam dokumen 비영리 (Halaman 74-99)

이상의 내용과 본 연구의 한계점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를 임의 표집하여 이에 재학 중 인 5, 6학년 학생 707명을 대상으로 최초 선정하였으나 그 중 SNS와 셀피를 모 두 사용하는 학생 321명을 최종 대상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대상자 선정 과정에서 충분한 수를 확보하지 못해 모집단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 하였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 는 학교홈페이지, SNS 링크 등을 활용하여 SNS와 셀피를 사용하는 학생이 설문 에 참여하도록 독려하고 특정 지역에 한정되지 않도록 연구대상 표집의 범위를 확대하여 후속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들은 자기보고 방식을 따르고 있어 응답자가 의 도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응답하거나 방어적인 태도로 임하여 응답결과가 실 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자기보고 및 타인 보고에 의한 측정을 병행하여 자기보고식 검사의 한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대상인 초등학교 5, 6학년은 성격이 형성되고 있는 시기이므로 현재의 자기애 성향을 고정된 성격으로 규정하는 데 무리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부모양육태도의 영향으로 형성된 자기애 성향이 성장 과정에서 유지 되거나 변화하여 SNS 및 셀피 행동에 주는 영향에 대해 종단적 연구를 통해 살 펴볼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를 통해 자기애적 웅대성이 부정적 양육태도와 SNS 동기의 관계 를 매개하고 자기애적 취약성에 따라 셀피 동기가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 나 SNS 빈도와 셀피 빈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서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자기애 성향 이외에 SNS·셀피 동기 및 빈도에 직접 효 과와 매개 효과를 가지는 변수의 존재와 효과 크기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셀피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고 셀피 동기를 측정하는 도구가 개발되 지 않아셀피 동기를 하위 요인으로 구분하거나 이를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셀피 동기에 대한 간학문적 접근을 통해 이를 측정하는 변인을 타당하게 탐색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강선모(2012). 대학생의 과보호 및 부모화 경험이 내현적 자기애 성향에 미 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4), 53-78.

강지연(2017).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희진(2017).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서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권석만, 한수정(2000). 자기애성 성격장애. 서울: 학지사.

권지애(2017). 자기애와 SNS 중독의 관계: SNS 사용동기의 매개효과. 대구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소희(2017).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청소년 또래관계 간 상관관계 메타분 석.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인희, 심민선(2014). 페이스북 프로필 사진의 유무와 매력도가 친구 맺기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31(1), 95-123.

김재희(2017). 내현적 자기애, 자기대상화 및 자기제시동기와 셀카 중독경향 성간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태현(2016).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외모 만족도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영(1999).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상인(198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인지양식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마혜정(2004).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기애. 단국대학 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성연, 이숙(1990).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대한 가정학회지, 28, 141-156.

참 고 문 헌

박수연(2014).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 감의 매개효과.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5).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송희승(2013).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문제행동 예측 모형. 단국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신민주(2012).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거 부민감성의 매개효과 및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경일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신상기(2014). 욕망의 시각화, 셀프카메라(셀카)의 나르시시즘. 디지털디자인 학연구, 14(1), 533-541.

안서연(2016). 셀프카메라 행위가 20대 여성들의 외모 존중감, 자기 노출 욕 구, 외모 개선 욕구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프로테우스 효과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진원(2012). 병리적 자기애 성향자의 웅대성과 취약성에 따른 정서적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윤경(2012). SNS 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의 관 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숙경(2016). 어머니 양육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청소년간의 지각차이 및 관 련변인.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유재학, 서민재, 박지선(2013). 아동기 외상경험과 문제행동에 대한 청소년 자신과 부모 평가 간의 관계.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4(1), 34-43.

윤라경(2010). 어머니와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이상적 양육태도와 실제 양 육태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슬기(2016). 대학생의 자존감, 자기애 및 우울이 셀카 집착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정혜(2006). 자기애 측정도구(ISP)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윤혜신(2003). 자녀의 내현적 자기애 성격 성향 정도와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민(2014).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을 매개로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 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우(2015). 용어로 보는 IT 스마트폰: 컴퓨터와 휴대전화의 만남.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0716&cid=59088&categ oryId=59096 에서 2015년 5월 7일 자료 얻음

이수림, 이문희(2014). 상담 및 심리치료 성과의 효과적 핵심 요인-정신화 (mentalizing)의 이해와 적용. 인간연구, 27, 95-139.

이영은, 박현주, 허창구(2016). 내현적 ․ 외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0(1), 63-80.

이원영(1983). 어머니의 자녀 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 발달과의 관련성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정권, 최영(2015).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연구. 한국언론학보, 59(1), 115-148.

이충효(2015). 초·중·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 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해령(2010).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무조건적 자기수용 및 심 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이홍표(2003). 도박 동기와 병적 도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1), 169-189.

장휘숙(2010). 아동심리학. 서울: 박영사.

정원식(1975). 인간과 교육. 서울: 배영사.

정은선(2008).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 인성과 완벽주의의 매개역할.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은지(2013). 지각된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대학생활 적응: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 성향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은혜(2010).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자존감수준과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다현(2014). SNS 중독경향성과 병리적 자기애, 정서 표현성, 친구 지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가톹릭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성현, 서경현(2013).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 제시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39-238.

조진행(2018).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SNS이용동 기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매개된 조절효과.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조현정(2016).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내현적 자기애 관계 연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진창현, 여현철(2011). 소셜 미디어의 수용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자기효능감, 자기표현, 사회문화적 영향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24(3), 1295-1321.

최영민(2011). 쉽게 쓴 자기심리학. 서울: 학지사.

최진희(2010). 중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의 연구. 경 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현아, 송현주(2017). 청소년의 품행장애, 심리적 외상과 정신화 능력에 대 한 고찰.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14(1), 111-126.

미국정신분석학회(2000). 정신분석용어사전.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한국인터넷진흥원(2018). 2017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보고서.

https://isis.kisa.or.kr/board/?pageId=060100에서 2018년 3월 28일 자 료 얻음.

한국정보화진흥원(2018).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최종보고 서.http://www.

nia.or.kr/site/nia_kor/ex/bbs/List.do?cbIdx=65914에서 2018년 4월 2 일 자료 얻음.

한상현(2004).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정서지능 및 인터넷 중독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수정(2016). 자기애성 성격장애. 서울: 학지사.

Dalam dokumen 비영리 (Halaman 7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