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시장화가 식량권과
Ⅱ. 북한의 시장화 추세와 특징
시장화(marketization)란 다양한 차원인 동시에 매우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개념이다. 계획화(planning)와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시장화 를 상정한다면, 이는 시장 메커니즘의 도입 및 확산, 시장의 발생 및 확대, 시장요소라고 부르는 제도적 특징들의 연결체 등으로 규정할 수 있다.2 사회주의 국가에서 발견되는 시장화 현상들은 주로 암시장을 중심으로 불법적인 형태의 경제활동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 다. 다만 국가가 이러한 활동 중 일부분을 묵인하거나, 종종 나중에 필 요에 의해서 공식적으로 허용함에 따라서 소위 합법적 2차경제의 영역 이 형성되기도 하고, 공식적인 1차경제 내에 시장경제적 요소가 도입 되기도 한다. 사회주의 국가경제의 시장화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서 시 장화 요소의 작동 여부를 기준으로 경제활동을 구분하고자 한다. 따라 서 계획경제 내부에도 시장화 영역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것은 다시 합법적인 부문과 비합법적인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3
1_United Nations Human Rights 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OHCHR), Human Rights Indicators: A Guide to Measurement and Implementation (Geneva and New York, 2012), p. 89.
2_양문수, “북한 시장화에 대한 재조명,” KREI 북한농업동향, 제14권 3호 (한국농촌경 제연구원, 2012), pp. 1∼3.
3_임강택, 북한경제의 시장화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2009), p. 92.
1 2 3 4 5 6
북한경제의 시장화 현상을 유형화 하면 ① 국가 공식경제 내의 합법 적인 시장화 현상, ② 국가 공식경제 내의 불법적인 시장화 현상, ③ 국가 공식경제 밖에서의 합법적인 시장화 현상, ④ 국가 공식경제 밖 에서의 불법적인 시장화 현상 등으로 나눠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시장화 현상이 확대되면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은 첫째, 국가의 공식적 인 계획부문과 비공식부문이 시장화 현상을 통해서 밀접하게 연계되 어 있으며, 둘째, 공식적인 계획부문에서의 시장화 현상이 증가하고 있 다는 사실이다. 또 시장 현황을 살펴볼 때 북한의 경우에도 생산재시 장, 소비재시장, 노동시장, 자본시장 등이 형성되고 있다. 그러면 사회 주의 북한경제에서 국가는 내각경제부문의 시장 활용, 당·군기구(일명 특권경제부문)의 외화벌이사업 등에서 시장을 활용하고 있다.
국가의 공식경제부문과 민간의 비공식경제부문은 아래 <그림 2-1>
과 같이 구분되면서도 서로 중첩되는 영역이 있다. 북한 시장화 현상 의 구조적 특징을 두 측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국가의 공식경제부문과 민간의 비공식경제부문과의 관계 측면에서 볼 때 합법적 공간은 공생 적 협력관계, 불법 공간에서는 경쟁적 기생관계를 보인다. 둘째, 내각 경제, 특권경제, 민간(비공식)경제 등 경제 부문 간 관계면에서 볼 때 특권경제가 타 경제부문에 대해 배타적이고 일방적인 수탈관계를 형 성하는 가운데 다양한 방식으로 기생적 협력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 으로 파악된다.4
4_위의 책.
그림 2-1 국가의 공식부문과 민간의 비공식부문과의 관계
출처: 임강택, 북한경제의 시장화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2009), p. 175.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북한 시장화의 특징으로 시장화의 장기화 및 정착, 시장화의 대외의존적 성격과 함께 시장의 초보적 독과점화 및 정 경유착형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꼽힌다. 시장에 대한 단속과 통제의 본격화는 주민들의 상행위 비용을 증가시키고 상층부 상인들의 독과 점적 지위를 공고하게 한다. 그런 과정에서 정경유착형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발생하는데, 그것은 시장의 낮은 제도화 수준,5 국가재정 부족, 반시장화정책 등을 배경으로 한다. 특히, 시장의 불법화, 시장 진입장 벽의 강화와 같은 정부의 반시장화정책은 시장을 둘러싼 부패를 일으켜 생계추구형 상행위에 참여하는 주민들의 생존권을 침해할 수 있다.6
북한의 극심한 식량위기 시기인 1995∼1997년 동안 북한 주민들이 배급식량에 의존하는 경우는 고위층 가족에 국한되고 대다수는 시장 거래와 야생 대용식품에 의존하였다. 주민들의 시장을 통한 식량난 극
5_북한 시장의 제도화 추이에 대한 논의는 정은이, “북한시장의 제도화 수준에 관한 분석: 공설시장의 외형적 발전을 기반으로,” 북한경제리뷰, 5월호 (한국개발연구원, 2010), pp. 41∼47.
6_양문수, “북한의 시장화: 추세와 구조 변화,” KDI 북한경제리뷰, 6월호 (한국개발연 구원, 2013), pp. 61∼68.
1 2 3 4 5 6
복 노력은 북한 정부의 통제와 묵인 가운데서 비공식적이지만 시장화 를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다음은 그 구체적인 현상이다. 첫 째, 자영업의 묵인이다. 재산이나 후견이 있는 개인이 국영공장, 기업 소, 무역회사, 인민반의 이름을 빌려 자영업을 행해 이윤을 창출하는 것이다. 자영업은 물물교환, 상품유통, 음식업의 범위를 넘어 가내수공 업까지 확대되어 갔다. 그 과정에서 형식상 매대의 소유권은 기업소 등에 있지만 사용권, 수익권은 개인에 속하면서 소유권의 분화가 일어 난다. 둘째, 장세의 징수이다. 규모가 큰 장마당에서는 농민시장관리소 가 설치되고 거기에 속한 관리인들이 상인들에 일종의 영업세 명목으 로 장세를 징수하는 것이다. 관리인들은 밀수품 단속도 하지만 장마당 에서의 합법적 시장활동에 대해 거래 품목에 따라 장세를 징수하고, 경 우에 따라서는 수입의 일부를 국가에 납부하도록 독려하기도 한다. 이 는 북한 정부가 시장활동을 새로운 국가수입 원천으로 삼고 있음을 말 해준다. 셋째, ‘자금조’의 등장이다. 자금조는 일정 기간의 계약을 통해 사적 상행위를 공공기관의 보호를 받으며 행하는 것을 말한다. 자금조 는 기업소 등 국영기관들이 1990년대 중반 이후 심각한 경제난으로 자 금을 조달하는 과정에서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었다. 자금조는 국가기 관과 개인이 합작해 시장활동을 통해 이윤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주목 할 만한 현상이다. 공생관계에 들어선 사회주의 국가기관과 자본주의 적 상인은 이윤을 3:7의 비율로 배분하는데, 상인은 70%를 운영자금 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재산을 축적하 고 그것을 새로운 시장활동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넷째, 국가가 인정 한 전문 비즈니스맨, 즉 외화벌이꾼의 등장이다. 자금조가 아무리 국가 기관의 보호를 받는다 하더라도 그것은 일시적 계약에 의한 것이지 법 의 보호에 의한 것은 아니다. 그에 비해 외화벌이꾼은 국가기관의 합
법적 상행위이다. 이들은 특산물 판매에서 시작해 임가공을 통한 경제 활동, 나아가 자금 융통 및 노동력 확보 등 사적 경제활동에도 관여하 고 있다. 이상과 같은 북한에서의 시장화 현상은 국가의 암묵적 승인 으로부터 시작된 것도 있지만, 아래로부터의 자연발생적인 관행으로 성립된 것도 있다.7 이상과 같은 배경과 추세 속에서 주민들의 장사 경 험은 비공식 수입의 원천이 되었다. 그리고 그런 수입은 증대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8비공식적 경제활동에 의해 규정되는 소유관계의 변동과 시장화 추세는 북한의 계획경제시스템을 침식해왔다.
2010년대 들어 북한의 시장화는 소비재, 유통부문을 중심으로 자체
영역을 확대해나감은 물론 계획경제의 보완재로서도 기능하며 그 양 적 규모를 늘려가고 있다.9 2014년 상반기 북한경제는 시장가격과 환 율에서 안정을 보였는데, 이는 식량 증산에 따른 곡물가격의 안정과 함 께 북한 정부의 시장에 대한 통제 중단 혹은 장려도 크게 작용한 것으 로 분석되었다.10 이제는 시장화의 양적 확대가 질적 변화를 촉진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상품화·화폐화의 진전은 시장화의 중요한 조건을 형성하면서 시장화를 촉진한다. 동시에 시장화도 상품화·화폐 화의 진전을 촉진하는 측면이 있다. 도로변 편의시설에서의 주차비 징 수, 개인 운송업 및 각종 수리소의 등장 및 확산은 돈을 주고받는 거래 의 대상(상품)이 늘어난다는 것, 즉 상품화의 확대를 의미한다. 아울러
7_정광민, 북한기근의 정치경제학: 수령경제·자력갱생·기근 (서울: 시대정신, 2005), pp. 162∼163, 166∼172.
8_김병로, “탈북자 면접조사를 통해 본 북한사회의 변화 2008∼2011,” 현대북한연구,
15권 1호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미시사연구소, 2012), p. 52.
9_북한에서 시장화의 전개과정과 그 추세에 대한 종합적 이해는 김병연, 북한 경제에서의 시장과 정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이석, 북한 계획경제의 변화와 시장화 (서울: 통일연구원, 2009) 참조.
10_이석, “2014년 상반기 북한경제 동향: 관찰, 분석, 그리고 해석,” KDI 북한경제리뷰, 7월호 (한국개발연구원, 2014), pp. 3∼11.
1 2 3 4 5 6
오토바이의 보급 확대는 교통의 발달을 의미하는데, 그것이 상품 유통, 나아가 시장화를 촉진하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일이다. 요컨대, 북한에 서는 이제 경제위기도 장기화되고 있지만 시장화 역시 ‘장기화’되고 있다.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