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으로 북한일반 투자환경 개선변수들은 권력안정 관련변수, 기 업활동 보장변수, 대외경제 관계변수, 채무변제 관련변수로 대별되는 바, 이들 변수들에 대한 점검을 통해서 북한의 투자환경이 개선 또는 악화될 것인지를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결정된 투자환 경지수가 국가위험도 지표에 반영된다.
북한의 국가위험도 측정모델 47
<도표 2> 북한일반 투자환경 개선변수간 상관관계
권력안정 관련변수
정치 요인 기업활동
보장변수 투자
환경 지수
국가 위험도
대외경제 지표 관계변수
경제 요인 채무변제
관련변수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국가위험도를 측정하는 변수로서는 정 치적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들 정치적 요인을 대별하면, 권력의 안정과 불안정을 가늠하는 변수들과 기업의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는가 제한하는가 하는 점을 측정하는 변수들로 나뉘어진다. 첫 째, 권력안정 관련변수로는 정권교체 가능성, 정통성 위기발생 가능 성, 사회적 무질서 양상, 군부의 불안정, 엘리트 영향력 등이 측정의 대상이 된다. 즉, 다국적기업이 대상국가에 진출하기 위해서 일반적으 로 고려하는 문제가 대상국가의 권력이 안정적인가 하는 문제이며,
이 문제를 측정하는 변수가 상기한 것들이다. 사실상 대상국가의 권 력이 불안정하다는 것은 다국적기업들에게는 불확실성을 안겨 주게 되는 것이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인 것이다.
둘째, 기업활동 보장변수로는 채무불이행 경험, 부패의 정도, 이데 올로기, 인구분포 등이 측정의 대상이 된다. 다국적기업이 개발도상국 에 진출하고자 할 경우에 관심을 가지는 두 번째 사항은 대상국가에 서 기업이 자유로운 활동을 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며, 이는 기업활 동 보장변수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사실상 현재 북한의 경우에는 자본주의 국가들과 비교하면 기업의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는 제반 장치가 매우 미비되어 있는 실정이지만, 북한 나름대로 시장경제의 장점을 받아들이려는 시도를 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변화를 추적하는 것이 중요한 일이 될 것이다.
다음으로 북한의 일반적 국가위험도를 측정하는 변수로서 경제적 요인을 고려하면, 대외경제관계의 건전성을 가늠하는 변수와 채무변 제 능력을 측정하는 변수로 나뉘어진다. 셋째, 대외경제관계 변수로서 는 경제적 변수 중에서 경상수지, 수출구성비, 수입구성비가 해당된 다. 상기한 바와 같이 대상국가의 수출이나 수입이 지나치게 한 분야 에 집중되어 있을 경우, 그 국가의 경제는 일정국가에 일방적으로 의 존되는 결과를 빚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며, 수입과 수출간 비중이 불균형한 현상도 대외경제관계를 의존적으로 만들게 됨으로써 한 국가의 경제를 정상적으로 운용하는데 장애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채무변제 능력을 가늠하는 척도로서는 부채비율 및 외환보유 고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이다. 한국도 외환위기 당시 지나친 외채 때문에 국가부도 상태에 직면한 바 있으며, 북한도 심각한 외화 난을 겪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분석가의 입장에서는 이러 한 변수들을 시계열적으로 측정하는 자세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변화
북한의 국가위험도 측정모델 49
를 추적해야 할 것이다. 즉, 북한의 국가위험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절대적 수치도 중요하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추세를 상 대적으로 평가하는 입장이 보다 중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