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북한일반 투자환경 개선기준

북한의 국가위험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관련변수를 추출하는 작업은 우선적으로 북한의 일반적인 투자환경이 개선 또는 후퇴하는 추세를 파악할 수 있는 변수들을 설정하는 것이다. 앞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국가위험도 측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제적 변수는 북한의 일반적 투자환경 개선과 관련이 있다. 즉, 북한의 경상수지,

대북한 적용변수 선정 41

부채비율, 외환보유, 수출품목의 구성비율, 화폐의 경쟁력, 수입품목 의 구성비율 등이 북한경제의 건전도를 측정하는 일차적 척도가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연구의 주안점인 북한의 정치적 위험도 측정과 관련해서 북한의 일반적 투자환경의 개선 또는 후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는 정권교체, 정권의 정통성 위기, 사회변화 기대, 중산층 불만족, 채무 불이행 역사적 경험, 부패, 이데올로기, 인구분포, 노사관계, 사회적 격차, 사회적 불안정, 군부의 불안정, 영토분쟁, 엘리트 영향력, 민족 주의 성향, 사회혁명 등 국가위험도 측정의 정치적 변수들이 해당된 다. 이에 따라 분석가의 입장에서는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변수를 같 은 비중을 가지고 매일매일 점검하기보다는 중요도에 따라 우선 순위 를 설정해서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북한의 특수성을 감 안한 정치적 위험도 측정관련 중요변수를 추출하는 작업이 필수적으 로 요구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먼저 북한체제의 특성상 거의 변하지 않는 상수와 같은 역할을 하는 변수들을 제외하는 작업 에서 출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상기한 변수들 중에서 사회변화, 중산층 불만족, 노동조합, 계층 갈등, 영토분쟁, 민 족주의, 혁명의 개념에 해당하는 변수는 우선적으로 제외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변수들을 분류하면, 북한의 권력안정 과 관련된 변수와 기업활동을 보장 또는 제한하는 문제와 관련이 있 는 변수로 대별할 수 있다. 또한, 일반변수 중에서 경제적 요인관련 변수들을 분류하면 대외경제관계 변수와 채무변제 관련변수로 대별할 수 있다.

이러한 변수들을 통한 국가위험도 측정은 상기한 점검표 접근방식을 통해서 일별 감시와 즉각적 기록 및 월별, 분기별 평가 등 세가지 방 법으로 추진할 수 있다. 이와 관련, 국가위험도 측정은 사건이 발생했 을 경우에 해당 사건의 중요도를 평가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바, 사건발생 가능성, 시점, 위험도 가능성에 대한 해답을 구하는 과 정을 통해서 분석이 시도된다.

북한의 국가위험도 측정모델 43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