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전문가들에 의한 실제적인 국가위험도 측 정의 이전단계로 본 연구에서는 거시적으로 북한의 국가위험도를 측 정하기 위한 다양한 변수들을 구체적으로 점검하였다. 그 결과를 바

북한의 국가위험도 측정모델 51

탕으로 먼저, 대상시기를 1994년과 2000년의 두 시점으로 설정하고, 다음으로 실제 이 시기의 북한 국가위험도를 위에 제시한 통합점검표 를 통해서 예시적으로 측정하였다. 이러한 작업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94년의 북한상황을 반영하여 상기의 점검표에 따라 측정

한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알 수 있다. 우선적으로 일 반적 투자환경과 관련해서는 북한의 상황이 매우 열악한 상태였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치적 요인 중 권력안정성의 측면에서 보면, 김 일성의 사망으로 인한 권력승계 과정에서 비롯된 불안정성이 있었고, 다국적기업 활동의 자유보장 측면에서 보면, 당시 북한의 미흡한 개 방조치로 인해서 경제특구에서조차 자유가 보장되지 않았던 점을 대 표적으로 상기할 수 있다. 경제적 요인 중 대외경제관계 건전성의 측 면에서 보면, 북한은 당시 구사회주의권과의 경제관계는 악화되고 서 방권과는 경제관계를 형성하지 못한 상황이었으며, 채무변제능력의 측면에서 보면, 북한경제 전반이 파산상태로 치닫고 있는 상황과 외 화난으로 정상적인 무역거래를 할 수 없었다.

한편, 북한특유의 투자환경과 관련해서도 북한의 상황은 매우 좋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한기업 투자요인의 측면에서 보면, 남북 관계는 북한의 핵개발 문제로 인해서 경색된 상황이었으며, 동북아 경협발전의 측면만이 북한의 상황과 달리 중국의 개혁, 개방 가속화 로 인해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 외국기업 투자 요인의 측면에서도, 북한의 핵개발 문제로 말미암아 미국 및 일본과 의 관계개선을 추진할 수 없는 상황이었으며, 극히 소수의 외국기업 을 제외한 다국적기업들은 북한시장에 대한 선점효과를 고려조차 하 지 않는 상황이었다.

둘째, 2000년의 북한상황을 통합점검표를 통해서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알 수 있다. 우선적으로 일반적 투자환경 개선변수 중 정치요인을 보면, 권력안정성의 측면에서 김정일 정권이 공고화된 상 황이므로 매우 안정적이라 평가할 수 있으며, 기업활동의 보장측면에 서는 북한이 1990년대 중반이후 취한 다양한 개방조치로 인해서 상 당히 개선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경제요인 중 대외경제관계 건전성 변 수를 살펴보면, 북한의 구사회주의권 국가들과의 관계 복원 및 서방 권 국가들과의 관계개선 움직임으로 인해서 북한의 대외경제관계가 서서히 회복되고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채무변제능력의 측면에서 보면 북한은 여전히 정상적 무역관계를 영위할 수 있는 경 제를 운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편, 북한특유의 투자환경 개선변수 중 남한기업 투자요인을 보면, 남북 정상회담의 성사로 인해서 남북관계가 급속도로 진전하는 양상 을 보였기 때문에 2000년의 투자환경은 크게 개선되어 가고 있는 상 황이었다. 또한 동북아시아지역에서의 경제협력도 중국의 지속적 경 제발전에 힘입어 크게 진전되고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외국기업 투자요인의 측면에서 보면, 북한은 2000년에 결과적으로는 실패하였 지만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추진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반적 투자환경의 개선과 함께 외국기업들도 북한 을 잠재적 시장으로 간주하기 시작한 것도 이 시기라 할 수 있는 것 이다.

이와 같은 평가결과를 상대적으로 비교해서 보면, 북한의 투자환경

은 1990년대를 거쳐 2000년에 진입하면서 상당히 개선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국가위험도도 상당히 낮아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2001년과 2002년에 진행된 미국과의 대립관계는 북한의 투자환경을

악화시키는 주요변수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여타변수들의 긍정적 변화로 인해서 개선된 측면이 상쇄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북한

북한의 국가위험도 측정모델 53

의 1994년 국가위험도와 2000년 국가위험도를 비교해서 보면 2000

년의 국가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졌다고 할 수 있으나, 이후 대두 된 북한의 핵개발 의혹문제로 인해서 최근에는 북한의 국가위험도가 다시 악화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북한의 국가위험도는 김정일이 정권을 세습한 이후에 다소 개선되는 추세를 보였다 할 수 있으나, 최근의 핵개발 문제로 인해서 다시 악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국가위험도 측 정변수 중 하나로 설정한 북한의 대외관계 개선변수가 북한의 전반적 국가위험도를 측정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비추어 볼 때, 전반적으로 북한의 국가위험도 를 나타내는 지표 중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지표들은 점진적으로 개선되어 가고 있는 반면, 결정적인 변수들은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변화조짐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박석삼. 「기계설비 이전에 의한 대북투자의 제조업종별 유효성 분 석」. 서울: 한국은행 조사국, 1999.

신희선. 「북한의 대외개방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 숙명여자대학 교, 1998.

양운철 편. 「남북한 경제협력: 북한의 개방과 분단국 경험」. 서 울: 세종연구소, 1996.

윤기관. 「남북한 무역경제」. 대전: 충남대학교, 1999.

이동휘. 「미국의 대북한 경제제재: 완화 가능성과 전망」. 서울:

외교안보연구원, 1996.

. 「북한의 경제난과 선택: 대북한 경제제재를 중심으로」.

서울: 외교안보연구원, 1994.

장형수․이창재․박영곤. 「통일대비 국제협력과제: 국제금융기구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8.

전홍택. 「북한의 체제전환과 남북한 경제통합의 주요 과제」. 서 울: 한국개발연구원, 1996.

조명철․홍익표. 「북한의 외국인투자유치 정책과 투자환경」. 서 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8.

Aizenman, Joshua and Nancy Marion. Volatility, Invest

ment and Disappointment Aversion. Cambridg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95.

Belglini, Norman A. A Global Risk Management: How U

S International Corporations Manage Foreign Risk s. New York: Risk Management Society Publishin g, 1983.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