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81-89)

은퇴 남성이 손자녀를 양육하는 경험에서 나타나는 학습 양상을

연구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아직 조부모 의 손자녀양육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할머니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들이 대부분이다. 할아버지의 손자녀 양육이 늘어나고 있는 현 실에 비해 아직 이것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 다. 그런 점에서 할아버지의 손자녀 양육에 관한 본 연구는 할아 버지의 손자녀 양육 경험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은퇴 이후의 할아버지들의 손자녀 양육에 관한 연구이다. 손자녀 양육은 남성 은퇴자들이 가정 세계로 재진입하 면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 중에 하나이다. 남성 은퇴자들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남성 은퇴자들의 재취업, 은퇴 이후의 삶에 대 한 적응·만족도에 관한 연구들과 함께 가정에서 남성의 역할의 재 정립과 손자녀양육이라는 새로운 경험도 연구될 필요가 있다. 은 퇴자들의 삶의 일부분을 드러냄으로써 은퇴 이후의 삶을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은퇴 남 성 1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연구의 내용이 제한 적일 수 있다. 은퇴의 상황과 그 이후의 가정에서의 삶의 맥락은 사람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다양 한 변인들이 작용할 수 있으므로 할아버지들의 손자녀 양육 경험 에 대한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 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유진·한경혜(2004). “한국여성노인의 생애사분석을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인생전환점, 삶의 맥락, 적응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3): 99-126.

곽영순(2011). 질적 연구-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서울: 교육과 학사.

기영화(2011). 노인교육의 실제, 서울: 학지사.

김나연·김성희·정은하(2007). 남성노인의 은퇴 후 삶의 과정에 대 한 근거이론적 접근 -새로운 삶의 의미를 찾아서-. 한국가 족복지학, 21(0): 1-35.

김명자 외(2005). 남성퇴직자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2):143-158.

김애순·윤진(1995). 은퇴 이후의 사회·심리적 영향, 한국노년학회, 15(1):141-158.

김은주·서영희(2007).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실제에 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75-192.

김유미·김명희·정여주(2008).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양육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접근, 사회복지연구, 38: 123.

김윤주·방미란(2011). 손자녀를돌보는할머니의경험, 질적연구, 12(1):59-72

김정원·송경수(2015). 조기퇴직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전직과 의 비교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22(4): 207-223.

김희동(2013).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스트레스 유형이 우울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노동부(2008). 한국의 정년현황실태와 정년연장을 위한 여건 조성 방안 연구.

배진희(2007).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29: 67-94.

선태무·최은수(2012). 베이비붐세대의 은퇴에 대비한 평생교육정책 분석과 정책개발 탐색, 평생교육·HRD연구, 8(1): 83-105 성미애(1999). 남성 퇴직자의 생활태도 유형화 및 유형별 퇴직 후

적응도,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성미애·옥선화(2004). 여성 퇴직자의 퇴직 후 생활에 관한 질적 연 구: 교직·공무원 퇴직자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6(2):55-91.

안희란·김선미(2015). 손자녀 양육지원 경험에 대한 할머니들의 해 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9(1): 93-109.

원미라·이선희·김현경(2012). 손자녀를 돌보는 외할머니의 양육경 험: 근거이론적접근, 부모자녀건강학회지, 15(1): 39.

이가옥·이지영(2005). 남성 연소노인의 은퇴 후 적응과정과 노년기 조망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7(1): 93-120.

이승원 외(2008). 중·고령자의 은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 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 경영학 회지 12(1): 107-124.

이영숙·박경란(2013). 조부모됨에 대한 주관적경험연구 ,주관성연구 , 26-109.

이해숙·신효균(2013). 남성노인의 손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효 학연구 17:

이효선(2006). “질적 연구에 의한 한국 노인들의 삶의 이해”, 노인 복지연구 31(1): 73-99.

이화진(2004). 조손세대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조부모의 정신건 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임병우 외(2013). 고학력 남성 베이비부머의 정년퇴직 후 심리적 특성변화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한케어복지학, 18:

97-132.

정은경(2009). 생후 36개월 미만아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되기 경 험의 의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87-108.

조용환(2005).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서울: 교육과학사.

진지혜·안정신(2012). 유아의 기질과 조부모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 계, 한국노년학 32(4): 85-106.

최가영 외(2001). 노년기근로자의 퇴직현상에 관한 심층적 연구, 한국노년학, 21(1): 73-92.

통계청(2015). 2014년 사회통계조사 주요결과, 통계청 보도자료.

통게청(2015).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한국노동패널조사(2003). 중고령자부가조사 자료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5). 맞벌이 가구의 영아양육을 위한 조부모 양육지원 활성화 연구.

한경혜·주지현·정다겸(2009).생애과정관점에서 본 저소득층 조손가 족 조부모의 사회적 배제경험과 적응, 한국가족복지학, 26-87.

한숭희(2005). 포스트모던 시대의 평생교육학. 서울: 집문당.

(2009). 학습사회를 위한 평생교육론. 서울:학지사.

한정란(2010). 노인교육의 이해. 서울: 학지사.

한혜경(2003). 조기퇴직자의 우울감과 영향요인 연구. 한국가족복 지학 11:81-100.

Atchely, R. C. (1971). Retirement and leisure participation:

continuty or crisis?

The Gerontologist, 11(1): 13-17.

(1976).

The Sociology of Retirement. New

York: Schenkman.

(2000).

Social Forces and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9th ed. Belmint, CA: Wordsworth.

Merriam, S. B., & Caffarella, R.(1991).

Learning in adulthood.

San Francisco: Jossey Bass.

Merriam, S. B.(1988). 허미화 역(1994). 질적 사례연구법. 양서 원

Packer, M.(2011). The Science of Qualitative Resear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adley, J. P.(2006). 신재영 역(2006), 참여관찰법. 서울: 시그마 프레스.

Thomas, J. L.(1989). "Gender and Perceptions of

Grandparenthood."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29,

269-282.

Abstract

A study case on the Grandparenting Experience of an Older Man

Jun Sat Byul Lifelong Learning, Departmen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older man's experiences as a primary caregiver to grandchildren who their children are working couple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ing: 1) How does a grandfather experience when he raises his grandchildren as a retiree?, 2)How has he changed while he has been grandparenting as a primary caregiver? 3) How is the experience of grandparenting expanded? To answer these three questions,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used. The participant of this case is an older man who was retired early and has been grandparenting, who lives in A city.

The stories of his grandparenting has been collected for six times and his grandparenting diaries, his lecture materials has been read for several times. The meaning of the grandparenting and his feelings as grandfather and retiree has been analyz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he, who were retired early, started to do grandparenting with worries about the future, and he thought that he was not a main caregiver at first. He thought that he is just a "good grandfather" not a

"caregiver".

As his wife moved other city because of her job and his daughter was sick, he played the main role as caregiver. First, he played a main role of caregiver because he didn't make money, had a lot of time and experiences of caregiver.

Second, he had many difficulties because his weakness as an older man. He felt very tired and guilty for not helping his grandchild especially cooking. He tried to overcome it. He tried to fill his lack of knowledge of cooking and child caring by asking his daughter, searching internet and watching TV programs. Third, he tried to care his grandchild by "normal standard". He worried about his grandchild's normal development. So he read many books of infant development and searching informaion about caregiving. He wrote many posts on his blog of her developments. And he checked the "normal development" of his grandchild. He asked his daughter about her standards of raising her daughter and let her raise her daughter as her values. Fourth, he had many meanings of grandparenting. He forgot his worries about retirement when he cared his grandchild. As she loved him most, he was thankful of her and satisfied with grandparenting. And he felt that she healed him as she cared him.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8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