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사회복지 분야

가. 투자 방향

○ 지역특성과 산업현장 수요에 맞는 맞춤형 일자리 창출 및 취업 지원 으로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 퇴직 신중년에게 사회공헌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서비스를 확산하고, 고 령화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

○ 경쟁력 있는 사회적 경제 구현

○ 시민과 더불어 지역상생 실현 및 지속성장 기반 구축

○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취약계층 일자리창출 및 사회적가치 실현 ○ 인권정책 시행으로 시민 행복도 향상 및 인본공동체 구현

○ 저소득 장애인의 생활안정 지원,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발굴·보급으로 사회참여 기회제공

○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장애인 자립생활 기반 구축 ○ 장애인활동지원 내실화 및 발달장애인 지원 강화

○ 다양한 계층의 복지욕구 해결을 위한 맞춤형 노인복지 시책 추진 ○ 노인복지시설 등의 확충 및 노인맞춤 돌봄서비스 확대 지원

○ 현대식 장사시설과 환경친화적 공원의 만남을 통한 휴식공간 조성 ○ 호국·보훈의식 함양 사업 추진

○ 국가보훈대상자의 명예를 기리고 애국·애족정신을 함양 ○ 여성친화도시 지원 확대로 함께 사는 양성평등 문화 확산

○ 경력단절여성 등 취업지원으로 구직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촉진 ○ 여성권익 증진을 통한 양성평등 강화

○ 부모와 아이가 행복한 책임보육 실현

○ 부모의 눈높이에 맞는 안심보육 환경 조성

○ 임신·출산·양육 지원을 통한 출산 육아 친화 환경 조성 ○ 육아에 대한 사회적 연대 책임 강화

○ 가정양육 중심의 인천형 혁신육아 활성화 ○ 지역 중심의 육아 돌봄 체계 구축

○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 지원 및 청소년 여가문화 공간 확충

- 162 -

○ 위기청소년 사회안전망 구축 운영 및 자립기반 조성

○ 아동청소년의 건전육성 및 복지증진과 수요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 ○ 건강가정 육성 및 취약위기가족 지원

○ 행복한 다문화가족, 함께하는 다문화사회 구현

○ 저소득, 주거 취약계층이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생활 영위와 삶의 질 향 상을 위한 다양한 실태를 조사, 맞춤형 주거복지 사업 추진

나. 투자 중점사업

【 기초생활보장 부문 】

○ 소득・주거형태・임차료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거급여 지원 (임차 급여, 수선유지 급여)

- 주거급여(억원) : (’20) 1,262 → (’24) 6,310 ○ 저소득층 자활, 자립지원을 위한 지원 체계 구축

【 취약계층지원 부문 】

○ 저소득 장애인 생활안정 지원 및 양질의 장애인 일자리 보급 - 장애인일자리 참여자 : ( ̕20) 778명 → ( ̕24) 942명 ○ 지역사회 장애인 차별 및 학대 예방, 장애인식개선 교육

○ 장애인 자립생활 기반 구축

○ 장애인 활동지원 확대 및 발달장애인 지원체계 구축

- 장애인활동지원 수혜자 수 : ( ̕20) 5,140명 → ( ̕24) 5,500명

【 보육 ․ 가족 및 여성 부문 】 ○ (재)인천여성가족재단 운영 ○ 여성정책 추진역량 강화

- 여성친화도시 조성관련 군구 특색사업비 지원 및 광역협의체 운영 - 스마트우먼 2040 프로젝트 지속 추진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운영 및 취업지원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확대 운영: 8개소 → (’24) 9개소

○ 여성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지원 확대

- 가정․성폭력․성매매 피해자 보호시설 및 주거지원 : 6개소 - 가정폭력 피해 상담소 지원 : 8개소

- 성폭력 피해 상담소 지원 : 3개소 - 성폭력 피해자 지원(해바라기센터) : 3개소 - 성매매 피해자 지원 : 2개소

- 여성긴급전화1366센터 운영 : 365일․24시간 신고접수 및 상담 - 여성폭력 예방 교육 및 홍보 : 일반시민, 초등학생, 장애 아동 ․ 청소년 등 - 무인여성안심택배 서비스 : 52개소(’19. 9.) → 80개소 확대(’24.)

○ 출산․육아 종합인프라 구축

- 보편화된 출산문화로 정착된 산후조리원 이용에 어려움을 취약계층의 경제적 부담 경감

- 육아종합지원센터 기반으로 영유아들이 미세먼지, 계절적 요인 등 외부 환경에 안심하고 놀수 있는 체험 및 놀이공간 제공

○ 저출산 극복개선을 위한 시책 추진

- 육아코디네이터 사업 및 저출산 극복 지역 네트워크 구축사업 지원 - 출산․육아 열린광장 2020 및 I-Mom 출산 축하금 지원

○ 임신부 건강관리 지원

- 난임부부 시술비, 청소년 산모 및 고위험임산부 지원 -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임신·출산(I-Mom)건강관리서비스 및 I-Mom 방문건강관리 - Non-stop 출산장려사업 지원

○ 영유아 건강관리 지원

-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의료지원, 선천성대사이상 검사비 지원, 신생아 난청조기진단비 지원, 영유아 건강검진 지원 등

○ 시설보육과 가정양육의 균형감 있는 지원

- 어린이집 이용 전계층 전연령 보육료 전액 지원 - 어린이집 등 시설 미이용 아동 양육수당 지원 - 취약계층 100% 책임 보육 실현

- 어린이집 청정무상급식 지원 ○ 고품질의 공보육 인프라 구축

- 164 -

- 국공립 어린이집 및 공공형어린이집, 인천형어린이집 ○ 보육교직원 처우개선 지원 및 전문성 향상

- 보육교사 처우개선비 지급

- 보육교사 연가, 결혼 등에 따른 공백시 대체교사 지원

-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내실화 및 표준보육과정 등 교사교육 강화 ○ 아이돌봄 지원 서비스 제공

○ 공동육아나눔터 설치 및 가족품앗이 운영

- 공동육아나눔터 설치 및 가족품앗이 운영 : 25개소/20,500명 - 공동육아나눔터 확대 설치 : 연차별 2개소(2020년까지 25개소) ○ 혁신육아카페(가칭) 설치 및 운영

※ (’19) 시범 3개소 → (’20) 30개소 → (’21) 60개소 → (’22) 100개소 ○ 아동수당 지급을 통한 아동의 건강 성장 지원 및 아동양육에 대한

국가 책임성 강화 : (’20) 154,187명 → (’24) 125,587명 ○ 지역아동센터 방과후 돌봄서비스 기능 강화

- 지역아동센터 기능 확대 : (’20) 179개소 → (’24) 180개소 - 아동복지교사 파견․지원 : (’20) 174명 → (’24) 178명 ○ 다양한 가족지원 사업을 통한 건강가정 조성

-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 운영 : 9개소 - 가족친화인증준비기업군 구성   운영 : 146개소 ○ 한부모가족의 생활안정 및 자립지원

○ 다문화가족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으로 안정적 정착 지원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지원 : 9개소

- 결혼이민자 자립 및 사회통합 지원 : 10개 사업

【 노인 ․ 청소년 부문 】

○ 기초연금 지원사업 : (’20) 277,735명 → (’24) 359,077명 ○ 노인일자리 사업을 통한 사회참여 활성화

- 일자리수 : (’20) 41,090개 → (’24) 50,677개

○ 봉안당 안치단 제작 설치 : (’21) 17,552기 추가 설치 ○ (1석 5조) 인천 청년사랑 프로젝트 : 800명

○ 구직 청년을 위한 「드림체크카드」 : 320명

○ 재직청년을 위한 「Dream For 청년통장」: (’20) 400명 → (’24) 700명 ○ 저소득 취약계층 일자리제공을 위한 재정지원

- 사회적기업 일자리창출(명) : (’20) 415 → (’24) 435 - 지역공동체 일자리창출(명) : (’20) 400 → (’24) 800 - 공공근로 일자리창출(명) : (’20) 650 → (’24) 850 ○ 경쟁력있는 사회적경제기업 육성

- 사회적기업 (개소) : (’20) 195 → (’24) 240 - 마을기업 (개소) : (’20) 65 → (’24) 90 - 협동조합 (개소) : (’20) 530 → (’24) 730

○ 공공청소년수련시설 확충 : (’20) 14개소 → (’24) 18개소 ○ 위기청소년 상담 및 보호 프로그램 확대를 통한 사회안전망 구축

【 노동부문 】

○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 취업목표(명) : (’20) 1,000명 → (’24) 1,300명

○ 뿌리산업 평생일자리창출사업(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연계) - 지원대상자(명) : (’20) 400명 → (’24) 700명

○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신중년 일자리지원사업) - 참여자(명) : (’20) 100명 → (’24) 200명 ○ 근로자문화센터 및 남동근로복지관 운영 위탁 대행 - 이용인원(명) : (’20) 3,750명 → (’24) 3,950명 ○ 노사단체 지원을 통한 건전한 노사 협력문화 정착

- 지원규모 : (’20)17개 사업 1,253백만원 → (’24) 17개 사업 1,253백만원 ○ 인권단체, 시민사회, 공직자와의 소통․협력을 통해 인권환경 개선 및

인권문화 확산 : (’20) 10회 1,500명 → (’24) 10회 2,000명 ○ 인권침해 구제(상담)

【 보훈 부문 】

○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실현으로 나라사랑 정신 함양 - 대상자 : 14개 단체 / 32,780명

○ 참전유공자(65세 이상 16,859명) 지원을 통한 예우와 나라사랑 정신 함양

- 166 -

구 분 단위 계 획 기 간

2020 2021 2022 2023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