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취득물건 거래동향

구 분 증가요인 감소요인

3. 세외수입 전망

(단위: 백만원, %) 구 분 중 기 재 정 계 획

합 계 비중 연평균

신장률 비고

2020 2021 2022 2023 2024

합 계 1,680,205 1,840,522 2,018,815 1,984,710 1,822,163 9,346,415 100 2.0 경상적 세외수입 1,074,981 1,206,163 1,175,563 1,249,728 1,173,390 5,879,824 62.9 2.2

재산임대수입 12,868 12,977 13,137 13,286 13,432 65,700 0.7 1.1

사용료수입 535,817 568,315 581,973 605,616 607,208 2,898,929 31 3.2

수수료수입 22,946 23,178 23,417 25,090 25,129 119,760 1.3 2.3

사업수입 477,109 574,767 530,463 579,014 500,722 2,662,075 28.5 1.2

징수교부금수입 4,247 7,588 7,700 7,876 8,056 35,467 0.4 17.4

이자수입 21,994 19,339 18,872 18,845 18,842 97,893 1 △3.8

임시적 세외수입 605,224 634,359 843,252 734,982 648,773 3,466,591 37.1 1.8

재산매각수입 213,974 157,106 157,106 157,106 217,106 902,398 9.7 0.4

부담금 309,205 398,733 607,019 498,143 341,414 2,154,513 23.1 2.5

과징금및과태료등 3,676 3,632 3,595 3,558 3,520 17,982 0.2 △1.1

기타수입 57,607 57,038 57,574 58,102 68,543 298,863 3.2 4.4

지난연도수입 20,763 17,850 17,958 18,074 18,190 92,834 1 -3.3

○ (세외수입)

- 체납정리 목표 설정 및 중점 추진과제 선정을 통한 징수대책 추 진 등 체납징수 관련 제도적 기반 강화 , 지방세외수입 운영실적 분석 · 진단 내실화 등으로 체납징수율 제고 노력

4. 보전수입등 및 내부거래 전망

(단위: 백만원, %) 구 분 중 기 재 정 계 획

합 계 비중 연평균

신장률 비고

2020 2021 2022 2023 2024

합 계 2,102,975 1,932,187 2,028,664 2,023,766 2,083,898 10,171,490 100 △0.2

잉여금 548,047 491,870 487,835 373,434 432,448 2,333,634 22.9 △5.8

전년도이월금 0 0 0 0 0 0 0 0

융자금원금수입 21,223 21,719 21,896 21,292 21,548 107,678 1.1 0.4

예치금회수 228,997 218,136 238,893 253,684 267,496 1,207,207 11.9 4

전입금 1,021,135 977,931 1,029,243 1,124,517 1,113,063 5,265,888 51.8 2.2 예탁금및예수금 283,574 222,531 250,797 250,839 249,343 1,257,084 12.4 △3.2

○ (보전수입등내부거래 전망) 원도심활성화 등 SOC 사업 투자 확대

로 잉여금은 감소하는 반면 , 회계간 전출입금 및 기금의 여유자금

Ⅱ 채무 전망 및 관리계획

1. 채무전망

○ 인천시의 채무는 ‘18 년 결산기준 최초로 채무비율 20% 미만 (2003 년 이후 ) 을 달성하였고 재정여건 전망에 따른 부족재원과 他 지자체 채무수준을 감안하여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전망임 .

○ 불요불급한 지방채 발행은 억제하되 시민들의 삶과 밀접한 사업 ( 장기미집행공원 등 ) 위주의 신규 발행도 검토하고 있으며 ,

○ 2019 년 이후에도 채무를 지속적으로 상환하고 , 지방채 차환 ( 고금리

→저금리 ) 등을 통해 재정건전화를 위한 노력 지속 수행 ※ 채무규모 : (‘20년) 19,094억원 → (‘24년) 18,100억원

※ 채무비율 : (‘20년) 16.1% → (‘24년) 14.0%

2. 관리계획

○ 재정계획과 연계하여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는 한도 내 ( 채무비율 20% 미만 )

에서 재정 운영 *

* 향후 장기미집행공원, 노후 수도관 관련 지방채는 여건에 따라 추가 발행 검토

○ 지방채 상환 : 순세계잉여금의 여유재원 발생 시 고금리 지방채 (3~4%) 위주의 조기상환 ( 수시 ) 검토 예정

- 60 -

○ 세입기반 확충

- 재정분권 감안 , 지방세 및 세외수입 등 자주재원 확충 - 국고보조금 및 보통교부세 관리 강화

○ 기타 관리방안 : 일반회계 순세계잉여금의 30% 이상은 지방채 상환 기금으로 적립

○ 향후 5 년간 채무전망

(원금기준, 단위 : 백만원 / %)

구 분

'18년말

잔액

'19년말 잔액 (예상)

지방채 발행 계획

2020 2021 2022 2023 2024 연평균

증가율 지방채 잔액

2,048,871 1,956,558

1,909,361 1,900,471 1,876,563 1,842,217 1,810,024 △1.33 지방채 추가발행계획 376,500 292,800 242,800 242,800 242,800 △10.39 지방채 상환계획 423,697 301,690 266,708 277,146 274,993 △10.24

<추가발행계획> 125,298 382,100 376,500 292,800 242,800 242,800 242,800 △10.39 1. 일반회계 - - 160,000 50,000 100,000 100,000 100,000 △11.09 2. 기타특별회계 - 82,000 90,000 116,300 16,300 16,300 16,300 △34.76 - 도시철도사업특별회계6) - - - 16,300 16,300 16,300 16,300 - - 원도심활성화특별회계 - 82,000 90,000 100,000 - - - △100.0

3. 공기업특별회계 - - - -

4. 기금 125,298 126,000 126,500 126,500 126,500 126,500 126,500 0.00 - 지역개발기금 125,298 126,000 126,500 126,500 126,500 126,500 126,500 0.00

5. 임대형민자사업(BTL)7) - 174,100 - - - -

<상환계획> 321,347 474,413 423,697 301,690 266,708 277,146 274,993 △10.24 1. 일반회계 137,736 172,215 185,402 160,712 124,313 123,027 123,079 △9.74 2. 기타특별회계 19,687 37,463 46,600 3,375 3,115 14,900 14,400 △25.44 - 도시철도사업특별회계 19,687 37,463 46,600 3,375 -  2,900 2,400 △52.36 - 원도심활성화 특별회계 - - - - 6,000 12,000 12,000 - 3. 공기업특별회계 15,109 94,235 10,915 7,889 6,346 4,621 1,880 △35.58 - 하수도사업특별회계 15,109 13,709 10,915 7,889 6,346 4,621 1,880 △35.58 - 경제자유구역특별회계 - 80,526 - - - - - - 4. 기금 148,815 162,400 180,780 129,714 126,934 134,598 135,634 △6.93 - 지역개발기금 148,815 162,400 172,380 121,014 117,934 125,298 126,034 △7.53 5. 임대형민자사업(BTL) - 8,100 8,400 8,700 9,000 9,300 9,600 3.39

6) 도시철도공채 발행 : 2028년까지 총 1,304억 발행 계획

Ⅲ 통합재정수지 전망과 관리방안

1. 통합재정수지

○ (개념)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을 포함한 자치단체의 1년간 순수한 재정활동으로 순 수입에서 순 지출을 뺀 금액

*순세계잉여금을 포함하고, 내부거래를 제거

○ (산정식) 순수입 - {순지출 + 순융자 (융자지출-융자회수)}

2. 통합재정수지 전망

(단위 : 백만원)

구 분 201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