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사업단 운영위원회를 통해 사회맞춤형학과 운영실적, 사업추진위원회의 성과 관련 환류조치를 바탕으로 대학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기준값을 기준으로 연도별 핵심 성과지표 및 자율성과지표의 목표치 설정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 이수 학생, 기업전문교수, 참여기업 담당자 등 매 학기 종료시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교과/비교과 프로그램 내용 및 운영방법을 연구 교수를 활용하여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및 환류 실시

사업단에서는 주기적으로 운영 성과 및 달성도를 분석하여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자체평가위원회를 연 2회 개최하여 사업단에서 운영한 제반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성과에 대한 평가, 성과확산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

사업추진위원회에서는 자체평가위원회의 평가 결과를 심의하여 사업의 추진방향 및 전략을 재설정하고 효율적인 성과 달성을 위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성과관리와 확산을 위한 환류 체계 강화

사업단 성과관리-분석 및 개선-환류 체계 검토를 위한 사업단 주간회의 운영

<✔연차

평가 결과 반영>

 성과지표와 LINC+사업 추진전략과의 연계성

구분 지표명 추진전략과의 연계성 비고

핵심

사회맞춤형학과 참여학생 수

◾사회맞춤형 학사제도 및 교육과정 개편과 연계

◾전주기 인재육성 통합관리 시스템 정착·운영과의 연계

◾수요 및 만족도 조사 체계와의 연계

◾취업·경력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과의 연계

▪사회맞춤형학사 운영 체계구축

 추적 및 사후관리를 통한 취업률 관리

GPS인재양성통합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진로․취업지원 관리 체계 정착

학년별/단계별 로드맵 제시 및 전 과정의 통합 상담 지원, 졸업과 동시에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GPS인재양성통합관리시스템 활용(http://gpsleader.mmu.ac.kr)

구분 지표명 추진전략과의 연계성 비고

참여학생의 만족도

◾의견수렴 및 만족도 조사 체계와의 연계

◾수요 및 만족도 조사 체계와의 연계

◾핵심인재양성 및 취업률 향상 프로그램 운영

▪사회맞춤형 환류체계고도화

참여기업의 만족도

◾GLOCAL 및 산업체중심 교육과정 체계 정착 및 운영과의 연계

◾산학협력우수교원 확보와의 연계

◾차세대 산학협력 지원시스템과의 연계

◾의견수렴 및 만족도 조사 체계와의 연계

◾수요 및 만족도 조사 체계와의 연계

◾첨단 산업체 밀착형 실습체계 운영과의 연계

◾사회맞춤형 교육과정 개편 및 운영과의 연계

◾산학협력 우수교육 확보 및 지원시스템 정착과의 연계

▪사회맞춤형 환류체계고도화

▪GLOCAL 및 산업체 중심 교육과정체계 구축

협약기업 취업률

◾현장실무중심 교육과정과의 연계

◾사회맞춤형 학사제도 개편 및 정착과의 연계

◾차세대 산학연계 관리시스템 정착과의 연계

◾핵심인재 양성 및 취업률 향상 프로그램 운영과의 연계

▪핵심인재양성 및 취업률 향상

지율 성과지표

GLOBAL

성과지수 ◾핵심인재 양성 및 취업률 향상 프로그램 운영과의 연계 ▪GLOCAL해양전략 산업연계강화 PRACTICAL

성과지수

◾현장실무중심 교육과정과의 연계

◾핵심인재 양성 및 취업률 향상 프로그램 운영과의 연계

◾사회맞춤형 교육과정 개편 및 운영과의 연계

▪현장실무중심 인재양성 SOCIAL

성과지수 ◾핵심인재 양성 및 취업률 향상 프로그램 운영과의 연계 ▪핵심인재양성 및 취업률 향상

학년별 로드맵 구성

책임지도 교수제 운영을 통한 GTO5(Graduation to 5 years) 관리 체계 구축

구분 운영 방법

학생 관리

◾지속적인 학생 현황 관리를 통해 맞춤형 취업지원체계 확보

◾취업성공 선배의 진출경로를 직무별/기업별/트랙별로 구체적인 정보 제공

◾졸업생과 재학생 간 취업성공 요인(스펙)에 대한 Gap 제시로 자기개발 동기 부여 제공

◾취업성공자의 현 근무기업 및 관련 직무에 대한 정보 제공과 멘토-멘티 연결고리 확보

◾졸업 이후 동문 간 의사소통 및 상호교류를 위한 GPS-Job Planet 형성

협약기업조기취업

◾협약기업에 조기취업이 가능하도록 직무교육의 사전 실시 및 이수학생의 취업경쟁력 향상

◾취업 후 승선 시 요구되는 공인교육증명서를 트랙과정에서 취득함으로써 산업체 비용 절감

◾현장 실무형 인재 양성으로 졸업과 동시 배치 가능하도록, 실무배치에 요구되는 다양한 직무교육을 조기에 이수 완료(실무배치 기간 약 3개월 단축)

◾참여기업이 대학에 출원한 장학사업 확대 및 트랙 참여학생 장학연계 - 우수인재 조기 확보 및 우선취업 확정 가능

- 우수인재의 롤모델 정립으로 재학생의 자기주도적인 경력개발 및 참여 동기 제고

추적관리

◾상시 취업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제고 기반 조성

◾GPS인재양성통합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취업자의 졸업 후 추적관리

◾선박에 승선 중인 취업자와의 지속적인 실시간 의사소통 및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앱 기반 인적자원관리 프로그램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 성과물)을 활용하여, 책임지도 교수와의 상담 및 동일 직무 관심 후배와의 원격 멘토링 실시

◾약정기업 취업자의 만족도조사, 취업현황 및 이직률을 분석하여 트랙운영 개선에 환류

사후관리

◾재직자 파워업 프로그램(Power-Up Program)

- 경력지킴이 커리어 코칭을 통한 최신 전문지식 공유

- 경력 단절 예방 프로그램 운영, 자격증 취득을 위한 전문과정 운영

◾미취업자(이직자) 파워업 프로그램(Power-Up Program)

- 취업 준비과정 상담 및 운영,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취업 정보 제공

1.2. 20년도 성과관리 계획 1.2.1. 핵심 성과지표 달성 계획

핵심성과지표 총괄표

지표명(단위) 목표값

1차년도

(‘17.6~‘18.2) 2차년도

(‘18.3~‘19.2) 3차년도

(‘19.3~‘20.2) 4차년도

(‘20.3~‘21.2) 5차년도 (‘21.3~‘22.2)

사업본 사회 맞춤형

학과참여 학생 수 신규협약

② 본

사업 채용 약정학생 신규 인원 수 협약

③ 본

사업 참여 학생 신규 만족도 협약

사업본 참여 만족도기업 신규협약

⑤ 본

사업 협약 기업 신규 취업률 협약

핵심 성과지표 1 : 사회맞춤형학과 참여학생 수 ※사회맞춤형학과별로 작성

사회맞춤형학과명(협약반)

구분

목표값

협약반 명 운영시작

년도 ‘20년도

(‘20.3~‘21.2) ‘21년도 (‘21.3~‘22.2) 액화가스추진선박운용트랙 2017 전체참여 학생 수

해당연도 졸업예정학생 수

선박ICT트랙 2017 전체참여 학생 수

해당연도 졸업예정학생 수 스마트액체화물제어트랙 2020 전체참여 학생 수

해당연도 졸업예정학생 수

합 계 전체참여 학생 수

해당연도 졸업예정학생 수

목표값 설정근거

◾사회맞춤형학과 참여학생수는 채용약정인원의 1.5배수이내에서 선발

◾1차년도 목표값 202명을 기준으로 5년 후 11%(1차년도 대비) 상향된 값을 목표로 함

◾2020년 신규 협약반 참여학생 인원을 목표로 함

추진방안

◾우수학생 유치를 위한 설명회 및 홍보 확대하며, 협약기업과 학생 만족도조사를 통한 개선사항 도출 및 환류

◾협약기업이 배석하는 교육과정운영위원회 개최 시 채용약정에 대한 이행여부와 대책에 대하여 협의

측정방법 ◾학사관리를 통한 ‘참여학생 수’ 확인

핵심 성과지표 2 : 채용약정인원 학생 수 ※사회맞춤형학과별로 작성

사회맞춤형학과명(협약반)

구분

목표값

협약반 명 운영시작

년도 ‘20년도

(‘20.3~‘21.2) ‘21년도 (‘21.3~‘22.2) 액화가스추진선박운용트랙 2017 전체참여 학생 수

해당연도 졸업예정학생 기준 채용약정 인원

선박ICT트랙 2017 전체참여 학생 수

해당연도 졸업예정학생 기준 채용약정 인원 스마트액체화물제어트랙 2020 전체참여 학생 수

해당연도 졸업예정학생 기준 채용약정 인원

합 계 전체참여 학생 수

해당연도 졸업예정학생 기준 채용약정 인원

목표값 설정근거 ◾2020년 신규 협약반 참여학생 인원을 목표로 함

추진방안

◾산학협력 활동을 통한 구인·구직 등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및 다수의 참여학생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채용약정기업과 주기적인 협의 실시

◾사업단 참여교수의 산업체 방문과 대학 총장이 직접 산업체 CEO 및 임원과의 산학 간담회를 통한 채용약정인원 증가

측정방법 ◾약정협약서 및 참여기업을 통한 ‘채용약정인원’ 확인

핵심 성과지표 3 : 참여학생의 만족도

구분 사회맞춤형학과명

(협약반 명)

목표값

‘20년도

(‘20.3~‘21.2) ‘21년도 (‘21.3~‘22.2) 본 사업 액화가스추진선박운용트랙, 선박ICT트랙

스마트액체화물제어트랙

목표값 설정근거 ◾2017년 사업계획서에서 제시한 목표값에 따라 설정함

◾신규협약반 목표값은 본 사업과 동일하게 적용함 추진방안

◾만족도 조사 결과의 활용성 및 중요성을 참여학생에게 공지함으로써, 만족도 조사의 참여율을 높임

◾만족도 조사의 결과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향후 사회맞춤형 프로그램의 참여율을 높임 측정방법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설문지 양식을 활용하여 정해진 기간에 전문 설문조사 수행 업체를 통해 전화 또는 e-mail 설문조사 실시

◾만족도는 100점 만점으로 작성하며,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기재

핵심 성과지표 4 : 참여기업의 만족도

구분 사회맞춤형학과명

(협약반 명)

목표값

‘20년도

(‘20.3~‘21.2) ‘21년도 (‘21.3~‘22.2) 본 사업 액화가스추진선박운용트랙, 선박ICT트랙

스마트액체화물제어트랙

목표값 설정근거 ◾2017년 사업계획서에서 제시한 목표값에 따라 설정함

◾신규협약반 목표값은 본 사업과 동일하게 적용함

추진방안

◾참여기업 만족도는 본 사업 추진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이므로 만족도 조사 결과는 본 사업 전반에 개선사항으로 활용

◾산업체 겸․초빙 교수에 대한 만족도 결과는 대학-산업체 간 공동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교과과정위원회에 환류할 수 있도록 하고, 참여기업에 대한 만족도 결과는 사업운영 전반에 활용

◾참여기업의 만족도 결과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환류하며, 개선 내용을 참여기업에 공유하여 대학의 적극적인 노력을 인지시킴

◾또한 산업체 입장에서 적합한 프로그램 내용, 본 사업 참여에 따른 긍정적 요소를 공유하여 참여기업을 확대

측정방법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설문지 양식을 활용하여 정해진 기간에 전문 설문조사 수행 업체를 통해 전화 또는 e-mail 설문조사 실시

◾만족도는 100점 만점으로 작성하며,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기재

핵심 성과지표 5 : 협약기업의 취업률

구분 사회맞춤형학과명

(협약반 명)

목표값

‘20년도

(‘20.3~‘21.2) ‘21년도 (‘21.3~‘22.2) 본 사업 액화가스추진선박운용트랙, 선박ICT트랙

스마트액체화물제어트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