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성능시험을 통한 선행안전난간의 안전인증고시 개정(안) 제시
6.2 성능시험 방법
선행안전난간대는 상부난간대-교차가새 일체형(1종)과 수직재-난간대 구조(2종)로 구 분된다. 선행안전난간대의 경우 삼각형 개구부 또는 사각형 개구부로 작업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으므로 최대 공간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시험기준과 같이 개구부 각 공간의 내접원 바깥지름(D)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공간의 안전기준 적합성을 평가하며, 시험을 위해 바깥지름(D)이 60cm인 기준틀을 제작하여 개부구 공간에 기준틀이 통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시험을 하였다.
6.2.2 처짐 및 휨시험
선행안전난간대의 안전난간으로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으로 국내 안전인증 기준(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33호), 일본 공업규격(JIS A 8961) 및 일본 가설공업회 승인기준을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2가지의 성능시험방법에 대해 검토후 <표 6-2>와 같이 선정하였다.
첫째, 국내 안전인증기준의 이동식비계 난간틀 시험은 처짐 및 휨시험 전용 시험장 치에 시험시료인 난간틀을 가로로 고정한 후 추를 매달아 시험을 진행하며, 이 방법은 바닥에서 시험이 진행되므로 추락의 위험성이 낮아진다. 또한, 시험을 위한 도르레나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설비없이 시험이 가능하다.
둘째, 일본 공업규격(JIS A 8961) 및 일본 가설공업회 승인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선행안전난간대의 처짐 및 휨시험은 비계에 선행안전난간대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르 래를 이용하여 추를 매달아 처짐량 및 휨강도를 확인한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시험 시 추를 매달 때 시험자의 추락 또는 낙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국내 안전인증기준의 이동식 비계용 난간틀 및 조립식 안전난간의 시험 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표 6-2> 선행안전난간대의 처짐 및 휨시험
<측면도> <평면도>
1. 처짐시험
1) 수직재에 체결된 선행 안전난간을 조립된 상태 그대로 시험장치에 설치하여 상부난간대 중 앙부에 하중이 30㎏f 및 120kgf 인 추를 매달아 변위측정기로 수직방향 변위량을 측정함.
2. 휨시험
1) 수직재에 체결된 선행 안전난간을 조립된 상태 그대로 시험장치에 설치하여 상부난간대 중앙부에 하중이 160 ㎏f인 추를 매달아 선행 안전난간의 파괴 유무를 확인함.
2) 수직재에 체결된 선행 안전난간을 조립된 상태 그대로 시험장치에 설치하여 중간난간대 또 는 가새재의 중앙부에 하중이 120 ㎏f인 추를 매달아 선행 안전난간의 파괴 유무를 확인함.
6.2.3. 가새의 압축시험
교차가새형의 선행안전난간대는 안전난간과 가새의 역할을 하고, 상부난간대와 교차 가새가 일체로 제작된다. 상부난간대를 제외한 교차가새는 X자 형태로 틀형 비계용 교차가새와 구조가 거의 유사하고, 바깥지름이 21.7mm로 국내 안전인증 고시(고용노 동부 고시 제2020-33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틀형 비계용 교차가새의 바깥지름(21.4mm 이상)과 비슷하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선행안전난간의 가새로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틀형 비계용 교차가새 압축시험 방법(<표 6-3>)을 준용하였다. 선행안전난간대는 상부난간대와 교차가새가 일체로 제작·설치되지만 선행안전난간대의 가새로서의 성 능을 확인하기 위해 상부난간대를 해체한 상태로 <표 6-4>와 같이 시험을 실시하였다.
<표 6-3> 틀형 비계용 교차가새 시험기준(고용노동부, 2020)
<측면도> <평면도>
교차가새의 압축시험은 위의 그림과 같이 상부보 A, 하부보 A, 가이드슬리브 및 가이드 파 이프와 구형틀을 사용하여 시험기의 상·하 가압판 중심에 상부보 A 및 하부보 A와 구형틀 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교차가새 2개를 한조로 하여 시험기에 부착하고 압축하중을 가하여 하중의 최대값을 측정한다.(이 경우, 교차가새 핀의 이탈방지기능을 작동시킨 상태에 서 재하 속도는 분당 8㎜ 이하로 한다.)
<표 6-4> 선행안전난간대의 압축시험(상부난간대 해체 상태)
<측면도> <평면도>
선행안전난간대의 상부난간대를 해체한 상태로 수직재에 체결하여 시험체를 눕힌 상태로 선 행안전난간이 체결된 접합부 4개소를 가력보에 압축하중을 가하여 하중의 최대값을 측정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