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기술 성장단계 파악
[그림 2-82] 각 출원국가별 기술시장 성장단계(무인장비 자율운용 및 해양통신(A)).
1구간: ~1988년, 2구간: 1989년~1995년, 3구간: 1996년~2002년, 4구간:
2003년~2009년, 5구간: 2009년~2017년(미공개구간 일부 포함))
Ÿ 무인장비 자율운용 및 해양통신(A) 분야의 포트폴리오로 살펴본 전체 특허의 기술 위치는 특허 출원인과 특허 출원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성장기에 있는 것으 로 분석됨
Ÿ 한국특허의 기술 위치를 살펴보면, 1~3구간의 경우에는 출원인 및 출원 건수가 미 미하였으나, 4~5구간으로 갈수록 출원인수 및 출원 건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꾸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는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Ÿ 미국특허의 기술 위치를 살펴보면, 1구간에서 5구간까지 지속적으로 출원인수 및 출원 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기술 위치는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Ÿ 일본특허의 기술 위치를 살펴보면, 1~3구간에서 출원인 수 및 출원 건수가 지속적 으로 증가하였으나, 4구간 및 5구간에 들어서며 출원건수 및 출원인 수가 소폭 감 소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성숙기에서 쇠퇴기로 들어 선 것으로 분석되나 특 허건수 및 출원인수가 적어 연구개발 관심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사료됨
Ÿ 유럽특허의 기술 위치를 살펴보면, 1~4구간에서 출원인 수 및 출원 건수가 지속적 으로 증가하였으나, 5구간에서 출원인 수 및 출원 건수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 타남. 해당 구간은 미공개 특허가 존재하는 구간으로 유럽 특허의 경우에는 성장 기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됨
o 연도 구간별 소분류 기술 동향
[그림 2-83] 소분류별/연도별 특허동향(무인장비 자율운용 및 해양통신(A)).
해상/수중 항법 및 장애물 회피 경로계획 기술 (AA), 딥러닝 기반 비행/항해 향상 기술 (AB), 광해역 관측을 위한 장거리 통신 (AC), 이종 통신 중계를 위한 게이트웨이 (AD), 통신 지연 최소화를 위한 URLLC (AE).
Ÿ 무인장비 자율운용 및 해양통신(A) 분야는 총 5개의 소분류로 나뉠 수 있으며, 전 체적인 특허 동향을 살펴보면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특허 출원이 증가하는 양상 을 보이고 있음
Ÿ 각 소분류별 기술은 해상/수중 항법 및 장애물 회피 경로계획 기술 (AA), 딥러닝 기반 비행/항해 향상 기술 (AB), 광해역 관측을 위한 장거리 통신 (AC), 이종 통신 중계를 위한 게이트웨이 (AD), 통신 지연 최소화를 위한 URLLC (AE)로 구분됨 Ÿ 해상/수중 항법 및 장애물 회피 경로계획 기술 (AA)은 90건(35%)으로 무인장비
자율운용 및 해양통신(A) 분야 중 가장 많은 특허 출원이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
었으며, 1970년대 후반부터 연구개발이 시작되어 꾸준히 진행되어오다 최근 2010 년 이후 특허 출원건수가 급상승하며 장애물 회피 관련 기술 분야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료됨
Ÿ 딥러닝 기반 비행/항해 향상 기술 (AB)은 9건(4%)으로 무인장비 자율운용 및 해 양통신(A) 분야 중 가장 적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해당 기술은 비교적 최근인 2013년 이후 첫 특허 출원이 이루어진 것으로 신기술 연구 개발 분야로 고려될 수 있음
Ÿ 광해역 관측을 위한 장거리 통신 (AC) 기술은 85건(33%)으로 무인장비 자율운용 및 해양통신(A) 분야 중 두 번째로 많은 특허 출원이 진행되었으며, 다소 출원 건 수의 증감은 있으나 AA 기술 분야와 함께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 로 분석됨
Ÿ 이종 통신 중계를 위한 게이트웨이 (AD) 기술은 38건(15%)으로 조사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 연구개발이 시작되어 지속적인 특허 출원 활동이 이어지고 있음 Ÿ 통신 지연 최소화를 위한 URLLC (AE) 기술은 33건(13%)으로 조사되었으며,
1990년대 중반 연구개발이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 지속적인 특허 출원 활동이 이 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나.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B) o 주요 출원국 연도별 특허동향
[그림 2-84] 연도별 특허동향(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B))
Ÿ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B) 기술(총 319건)의 연도별 주요출원국 특허동향을 살
펴보면, 미국이 110건(35%)로 가장 많은 특허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음으 로 한국 103건(32%), 일본 73건(23%), 유럽 33건(10%))으로 조사됨
Ÿ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비교적 빠른 1960년대 중반 연구개발이 시작되었으며, 다소간의 출원 증감이 있으나 꾸준히 특허 출원이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됨. 2000 년 중반 및 2012년 이후 급격하게 특허 출원이 증가하며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 폼(B) 기술 분야의 연구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보이며, 전체적인 출원 동향은 증가 하는 것으로 분석됨
Ÿ 한국특허청의 경우, 2000년 중반 이전까지의 연구개발 활동은 미미한 것으로 조사 되었으나 2007년을 기점으로 급격한 출원 증가를 보이며 연구 개발 활동이 활발 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됨
Ÿ 미국특허청의 경우에는 1960년대 후반부터 연구개발 활동이 시작되었으며, 꾸준히 특허 출원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특히 2010년 이후 특허출원이 급상승 하며 한국과 함께 관련 분야의 연구 개발을 주도하는 것으로 분석됨
Ÿ 일본 및 유럽특허청의 경우에는 1980년대 중반부터 연구개발 활동이 시작되었으며, 특허 건수가 많지는 않으나 현재까지 꾸준히 특허 활동을 지속하는 것으로 조사됨 o 기술 성장 단계 파악
Ÿ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B) 분야의 포트폴리오로 살펴본 전체 특허의 기술 위치 는 특허 출원인과 특허 출원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Ÿ 한국특허의 기술 위치를 살펴보면, 1구간 ~ 3구간의 경우에는 출원인 및 출원 건 수가 미미하였으나, 4 ~ 5구간으로 갈수록 출원인수 및 출원 건수가 크게 증가하 고 있어, 꾸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는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Ÿ 미국특허의 기술 위치를 살펴보면, 1구간 ~ 2구간에서 소폭 출원인 수 및 출원 건 수의 감소가 보였으나 이후 5구간까지 지속적으로 출원인수 및 출원 건수가 증가 하는 것으로 기술 위치는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Ÿ 일본특허의 기술 위치를 살펴보면, 1 ~ 2구간에서 출원인 수 및 출원 건수가 증가 하였으나, 3구간에서 출원인 수의 감소를 보이고 있으며 4구간에서는 출원 건수는 감소하였으나 출원인 수에서 소폭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5구간에 들어서며 다 시 출원건수 및 출원인 수가 소폭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쇠퇴기에서 회 복기의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B) 기술에 대한 연구 개 발 환경이 다시 조성된 것으로 보여짐
Ÿ 유럽특허의 기술 위치를 살펴보면, 1 ~ 4구간에서 출원인 수 및 출원 건수가 지속 적으로 증가하고 5구간에서 출원인 수의 정체 현상이 보여지나, 기술의 위치는 성 장기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그림 2-85] 각 출원국가별 기술시장 성장단계(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B)).
1구간: ~1988년, 2구간: 1989년~1995년, 3구간: 1996년~2002년, 4구간: 2003년~2009년, 5구간: 2009년~2017년(미공개구간 일부포함) o 연도 구간별 소분류 기술 동향
Ÿ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B) 분야는 총 6개의 소분류로 나뉠 수 있으며, 전체적 인 특허 동향을 살펴보면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특허 출원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 이고 있음
Ÿ 각 소분류별 기술은 무인장비 운영기술 (BA), 관측센서 통합기술 (BB), 음향 센서 를 이용한 음향 탐지 기술 (BC), 군집운용 전략설계기술 (BD), 무인장비 군집운영 체계 기술 (BE), 군집운용 플랫폼 구축 기술 (BF)로 구분됨
Ÿ 무인장비 운영기술 (BA)은 112건(35%)으로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B) 분야 중 가장 많은 특허 출원이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1970년대 후반부터 연구개 발이 시작되었으나 간헐적으로 특허 출원이 이루어졌고, 1990년 초반에 들어서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됨. 최근 2015년 이후 특허 출원건수가 급상승하며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B) 기술 분야를 주도하는 것으로 분석됨
[그림 2-86] 소분류별/연도별 특허동향(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B)).
무인장비 운영기술 (BA), 관측센서 통합기술 (BB), 음향 센서를 이용한 음향 탐지 기술 (BC), 군집운용 전략설계기술 (BD), 무인장비 군집운영 체계 기술 (BE), 군집운용 플랫폼 구축 기술 (BF).
Ÿ 관측센서 통합기술 (BB)은 95건(30%)으로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B) 분야에서 BA, BC 기술에 이어 세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해당 기 술은 또한 1970년대 후반부터 특허 출원이 시작되었으나 1990년 초반에 들어서며 지속적인 출원활동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됨. 최근 들어 다소 출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고 있으나 출원 증감을 반복하며 두드러진 특징을 보이고 있지는 않음 Ÿ 음향 센서를 이용한 음향 탐지 기술 (BC) 기술은 99건(31%)으로 무인장비 군집운 용 플랫폼(B) 분야 중 두 번째로 많은 특허 출원이 진행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 첫 출원을 시작으로 다소 출원 건수의 증감은 있으나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이 이 루어진 것으로 분석됨
Ÿ 군집운용 전략설계기술 (BD) 기술은 9건(3%)으로 조사되었으며, 1990년대 초반 연구개발이 시작되었으나 간헐적으로 특허 출원이 이어지고 있음
Ÿ 무인장비 군집운영 체계 기술 (BE) 기술은 3건(1%), 군집운용 플랫폼 구축 기술 (BF) 기술은 1건으로 조사됨
다. 생산자료 관리 및 무인장비 운영제도(C) o 주요 출원국 연도별 특허동향
[그림 2-87] 연도별 특허동향(생산자료 관리 및 무인장비 운영제도(C))
Ÿ 생산자료 관리 및 무인장비 운영제도(C) 기술(총 458건)의 연도별 주요출원국 특 허동향을 살펴보면, 미국이 214건(47%)로 가장 많은 특허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 으며, 다음으로 한국 117건(26%), 일본 103건(22%), 유럽 24건(5%)으로 조사됨 Ÿ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부터 연구개발 활동이 시작되었으며 꾸
준히 상승하다 2000년에 들어서며 다소 상승세가 주춤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최근 들어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됨. 연구개발 초기에는 일본이 주도하는 것으 로 보였으나 중반에 들어서며 미국의 주도로 특허 출원이 이루어졌으며, 최근 한 국의 특허 출원이 증가하며 연구개발을 주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Ÿ 한국특허청의 경우, 2000년 이전까지의 연구개발 활동은 미미한 것으로 조사되었 으나 1990년대 후반 이후 출원 건수가 증가하며 연구 개발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 지는 것으로 조사됨
Ÿ 미국특허청의 경우에는 1980년대 후반부터 연구개발 활동이 시작되었으며, 2000 년대 초반까지 상승 추세를 보였으나, 이후 다소 특허 출원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