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지 미 해군은 무인자율수중체계 관련 연구개발, 구매, 유지보수를 위해 약 19억 달러를 투입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연구개발 환경으로 특허 출원이 증가하는 것 으로 사료됨
Ÿ 일본의 경우에는 80년대부터 연구개발 활동이 시작되었으며, 일본 및 유럽의 경우 출원건수가 많지는 않으나 꾸준히 연구 개발 활동을 이어가는 것으로 사료됨 o 주요 출원국 내·외국인 특허출원 현황
[그림 2-78] 주요 출원국 내·외국인 특허출원현황
Ÿ 전세계의 44%(456건)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미국특허청에 출원된 특허의 내외 국인 비율을 살펴보면, 내국인이 76%(346건), 외국인이 24%(110건)의 특허를 출 원하여 내국인에 의한 특허 출원이 주도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국국적 출원인 에 의한 특허 출원을 좀 더 살펴보면 독일, 프랑스, 영국, 일본, 한국 국적의 출원 인 순으로 특허 출원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됨
Ÿ 다음으로 28%(291건)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한국특허청에 출원된 특허의 내외 국인 비율을 살펴보면, 내국인에 의한 출원이 92%(268건)로 내국인에 의한 특허 출원이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국인에 의한 특허 출원은 미국 국적(65%, 13건)의 출원인에 의한 출원이 주요한 것으로 분석됨. 기술 주도국으로 최근 특허 출원이 증가한 한국의 경우, 내국인 출원 비율이 92%로 기술자립도가 매우 높다 고 할 수 있음
Ÿ 20%(202건)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일본특허청에 출원된 특허의 내외국인 비율 을 살펴보면, 내국인에 의한 출원이 81%(163건)으로 내국인에 의한 특허출원이 주도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국인에 의한 특허 출원은 미국 국적(82%, 32건)의
출원인에 의한 출원이 주요한 것으로 분석됨
Ÿ 유럽특허청(8%, 83건)의 경우에는 유럽 국적의 내국인이 57%(47건), 외국인 43%(36건)으로 다른 주요출원국과 비교하여 내외국인 점유율 차이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국인의 경우 미국 국적 출원인이 61%(22건)로 가장 많이 출 원한 것으로 조사됨. 유럽의 경우에는 다른 주요출원국과 비교하여 외국인에 의한 출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해외기술이 많이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됨
나. 기술 성장단계 파악
o 무인자동화 해양관측 플랫폼 기술의 전체 및 해당 국가의 기술 위치를 포트폴리오로 나타낸 것으로, 전체 출원 동향을 5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각의 구간별 특허 출원인 수 및 출원건수를 나타내어, 특허 출원 동향을 통한 기술의 위치를 살펴봄
o 각 구간은 1구간: ~1988년, 2구간: 1989년~1995년, 3구간: 1996년~2002년, 4구간:
2003년~2009년, 5구간: 2009년~2017년(미공개구간 일부 포함)으로 나누어 분석 o 포트폴리오로 나타난 전체 특허의 기술 위치는 특허 출원인과 특허 출원건수가 지속
적으로 증가하는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o 한국특허의 기술 위치를 살펴보면, 1구간 및 2구간의 경우에는 출원인 및 출원건수가 미미하였으나, 3~5구간으로 갈수록 출원인수 및 출원건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꾸 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는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o 미국특허의 기술 위치를 살펴보면, 1구간 및 2구간의 태동기에서 3~5구간의 성장기 로 출원인 수 및 출원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됨
o 일본특허의 기술 위치를 살펴보면, 1~3구간에서 출원인 수 및 출원 건수가 지속적으 로 증가하였으나, 4구간 및 5구간에 들어서며 출원건수가 다소 감소하고 출원인은 소 폭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성장기에서 성숙기도 진입하는 것으로 분석됨 o 유럽특허의 기술 위치를 살펴보면, 1~4구간에서 출원인 수 및 출원 건수가 지속적으
로 증가하였으나, 5구간에서 출원인 수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보여짐. 해당 구간은 미공개 특허가 존재하는 구간이며, 출원인 및 출원 건수의 감소가 크지 않은 것으로 유럽 특허의 경우에는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됨
[그림 2-79] 각 출원국가별 기술시장 성장단계(전체). 1구간: ~1988년, 2구간:
1989년~1995년, 3구간: 1996년~2002년, 4구간: 2003년~2009년, 5구간:
2009년~2017년(미공개구간 일부 포함)
다. 주요출원인 특허동향
o 무인자동화 해양관측 플랫폼 기술의 주요 출원인 Top20을 추출한 결과, 상위 20개 출원인 중 한국 및 미국 국적이 6개사, 일본 국적이 5개사, 유럽(독일) 국적이 3개사 로 주요출원국의 국적이 고루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국의 IBM, 한국의 한국해 양과학기술원 및 대우조선해양, 일본의 NEC가 이 분야에서 다수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o 이들 주요 출원인들의 주요 시장국과 최근 연구활동 및 주력 기술분야를 파악하기 위 하여 주요 시장국별 출원 건수, 최근 5년간의 특허출원 증가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주요 출원인들은 미국과 한국, 일본에서 주로 활동하는 것으로 분석됨. 이는 출원인 국적과 유사하게 주요 시장국이 결정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 5년간의 특허 출원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대우조선해양 83%, BOEING CO 75%, 한국해양과학기 술원 69%, 한국해양대학교 및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각각 67%로 한국 국적 출원인 의 특허출원 증가율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확인됨
o 해당분야의 상위 20개의 출원인들은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에 대한 기술 분야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생산자료 관리 및 무인장비 운영제도 기술 분야에 주력하는 것으로 조사됨
o 한국 국적 출원인들은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 기술 분야에 강점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미국 국적 출원인들은 생산자료 관리 및 무인장비 운영제도 기술 분야 에 강점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됨
o 일본 및 유럽 국적 출원인들은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 기술 분야에 강점을 보이고 있음
o 출원국가별 주요 출원인 Top10을 살펴보면, 한국특허청의 경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과 대우조선해양이 각각 24건으로 가장 많이 특허 출원을 진행하였고 다음으로 현대 중공업과 한국해양대학교가 뒤를 잇고 있음
o 미국특허청을 살펴보면, IBM 31건, US NAVY 22건, MICROSOFT 15건으로 IBM사 의 연구개발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조사됨. 일본특허청의 경우에는 NEC 23건, HITACHI 19건, MITSUBISHI HEAVY 10건으로 조사되었으며, 유럽의 경우에는 SIEMENS AG 및 ATLAS ELEKTRONIK 각각 5건으로 조사됨
분석항목
출원인
출원 인 국적
주요 IP시장국 (건수, %) 최근 5년 출원 비율
주력기술 분야
한국 미국 일본 유럽 IP
시장국 KR US JP EP 종합
IBM 미국 0
(0%)
31 (86%)
4 (11%)
1
(3%) 미국 11% 생산자료 관리 및 무인장비 운영제도 한국해양과학
기술원 한국 24
(92%) 0 (0%)
1 (4%)
1
(4%) 한국 69%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 대우조선해양 한국 24
(100%) 0 (0%)
0 (0%)
0
(0%) 한국 83%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
NEC 일본 0
(0%)
1 (4%)
23 (96%)
0
(0%) 일본 0%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 US NAVY 미국 0
(0%)
22 (100%)
0 (0%)
0
(0%) 미국 9%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 MICROSOFT 미국 0
(0%)
15 (71%)
3 (14%)
3
(14%) 미국 5% 생산자료 관리 및 무인장비 운영제도 HITACHI 일본 0
(0%)
0 (0%)
19 (100%)
0
(0%) 일본 5% 생산자료 관리 및 무인장비 운영제도 ORACLE INT 미국 0
(0%)
12 (100%)
0 (0%)
0
(0%) 미국 8% 생산자료 관리 및 무인장비 운영제도 MITSUBISI
HEAVY IND 일본 0 (0%)
0 (0%)
10 (100%)
0
(0%) 일본 10%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 LOCKHEED 미국 0
(0%)
10 (100%)
0 (0%)
0
(0%) 미국 50%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
현대중공업 한국 9
(100%) 0 (0%)
0 (0%)
0
(0%) 한국 11% 무인장비 자율운용 및 해양통신 MITSUI ENG &
HIPBUILD 일본 0 (0%)
0 (0%)
9 (100%)
0
(0%) 일본 0%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 ATLAS
ELEKTRONIK 독일 0 (0%)
4 (44%)
0 (0%)
5
(56%) 유럽 22%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 BOEING CO 미국 0
(0%)
4 (50%)
3 (38%)
1
(13%) 미국 75% 무인장비 자율운용 및 해양통신 SIEMENS AG 독일 0
(0%)
2 (29%)
0 (0%)
5
(71%) 유럽 57%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 FURUNO
ELECTRIC CO 일본 0 (0%)
2 (29%)
5 (71%)
0
(0%) 일본 0%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
인하대학교 한국 5
(83%) 1 (17%)
0 (0%)
0
(0%) 한국 17% 생산자료 관리 및 무인장비 운영제도 SAP AG 독일 0
(0%)
5 (83%)
1 (17%)
0
(0%) 미국 17% 생산자료 관리 및 무인장비 운영제도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한국 4
(67%) 1 (17%)
1 (17%)
0
(0%) 한국 67% 생산자료 관리 및 무인장비 운영제도 한국해양
대학교 한국 6
(100%) 0 (0%)
0 (0%)
0
(0%) 한국 67%
무인장비 자율운용 및 해양통신 무인장비 군집운용
플랫폼 [표 2-14] 경쟁자 Landscape
[그림 2-80] 각 출원국가별 주요 출원인 특허동향(전체)
라. 신규 시장 진입자 현황
o 무인자동화 해양관측 플랫폼 기술 분야에 2013년 이후 신규로 시장에 진입한 출원인 을 각 주요출원국 별로 살펴봄
o 한국특허청의 경우 하나시스 및 창원대학교와 같이 자국 기업 및 대학/연구기관의 신규 진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국내 무인자동화 해양관츨 플랫폼 기술의 특허 출원 상승 동향(성장기)에 맞추어 연구개발 활동 저변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미국특허청의 경우에는 AMAZON TECH, GOOGLE 등이 신규로 진입한 것 으로 조사되었으며, 미국특허청 또한 특허 출원 상승 동향에 맞추어 신규 진입자가 증가하며 연구개발 활동 저변이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됨
o 반면, 일본 및 유럽의 경우에는 신규 진입자가 각 2개사로 조사되어 한국 및 미국과 비교하여 특허활동이 저조한 것으로 보이나 유럽의 CGG SERVICES SAS 사의 6건 특허 출원과 같이 연구개발에 집중하는 기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됨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출원인명 건수 출원인명 건수 출원인명 건수 출원인명 건수
하나시스 3 AMAZON TECH 4 OBIC 4 CGG SERVICES
SAS 6
창원대학교 3 GOOGLE 3 NIPPON
YUSEN KK 2 NOKIA
THCHNOLOGY 2 국민대학교 2 MESCAL IT
SYSTEM 3 썬커뮤니케이션 2 DELL
SOFTWARE 3
동명대학교 2 INTEL 3
지마텍 2 UNMANNED INNOVATIONS 2 지오테크시스템 2 SZ DJI
THCHNOLOGY 2
부경대학교 2 AWARE 2
서울대학교 2 CM HK 2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2 LIQUID
ROBOTICS 2 군산대학교 2 OCEANEERING
INT 2
[표 2-15] 주요 IP 시장국에서의 신규 진입자(잠재적 경쟁자). (2013~2017년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