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수송용 석유 소비방정식을 이용한 북한 비공식 부문

Dalam dokumen PDF 북한의 경제개혁과 이행 - Kinu (Halaman 125-137)

우리는 앞에서 전기 소비량을 가지고 북한의 비공식 부문 규모를 추정할 경우 두 가지 커다란 어려움에 직면한다는 사실을 지적하였

다. 하나는 북한에 있어 전기 소비량과 GDP의 관계가 장단기적으로 매우 불안정할 위험이 있다는 점이었며, 다른 하나는 실제적인 추정 을 위해서는 기준년도의 비공식 부문 비중에 대해 임의적인 가정을 도입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북한의 비공식 부문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추정 방법이라면 이러한 문제점들로부터 상대적 으로 자유로운 방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염두에 두고 여기에서는 북한의 수송용 석유 소비 방정식을 이용하여 비공식 부 문의 규모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자.

추정 방법

북한에 있어 수송용 석유 소비라는 변수는 아마도 모든 에너지 소 비형태 가운데 여타의 경제 변수들에 의해 가장 체계적으로 설명되 는 안정적인 경제변수의 하나일 것이다. 에너지 형태의 특성상 기술 적으로 다른 에너지원으로 대체되기가 매우 어려운 에너지 공급 형 태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난방용) 전기소비의 경우 석탄이나 기 타의 땔감 등으로 대체되기가 상대적으로 쉬울지 모르지만, 수송용으 로 사용되는 디젤이나 가솔린이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대체되기는 상대적으로 더욱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이 변수는 북한당국의 에너 지 대체 노력과 같은 정책적 요인 보다는 소득이나 가격과 같은 경제 변수에 의해 더욱 체계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더욱이 이 변수는 북한 에서의 비공식 부문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북한 주민들이 당국 의 눈을 피해 시장 거래를 시도할 경우, 이를 위해 전기를 끌어다 쓰 는 것은 상대적으로 더욱 어려울지 모르지만, 사람과 물자를 시장으 로 이동하고 또 시장으로부터 이동해 오는 것은 거의 필수적이기 때

120

북한의 경제개혁과 이행

문이다. 이는 북한에 있어 수송용 석유 소비는 비단 공식부문의 경제 활동뿐만 아니라 비공식 부문의 경제활동 모두를 포괄하는 경제변수 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이 변수의 소비 방정식에는 공식 부 문의 경제변수들뿐만 아니라 비공식부문의 경제변수들 역시 모두 포 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만일 우리가 이 변수의 소비방정식 을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만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역으로 북한에서 의 공식부문의 경제활동과 비공식 부문의 경제활동 비중, 다시 말해 비공식 부문의 경제활동이 전체 경제(수송용 석유소비)에서 차지하 는 비중을 알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앞서 전기 소비량을 가지고 북한의 비공식 부문을 추정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여러 문제점들로부터 자유롭다는 이점 이 있다. 우선 특정연도의 비공식 부문의 규모를 일정하게 가정할 필 요가 없어진다. 공식부문과 비공식 부문의 경제 변수들을 모두 포함 한 수송용 석유소비 방정식이 얻어질 경우, 이를 토대로 해당연도의 비공식 부문 경제변수들의 값을 대입하면, 전체 방정식에서 그것의 비중을 곧바로 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전기 소비량에서와 같이 GDP와의 안정적 상관관계를 가정할 필요도 적어 진다. 물론 북한의 전체 GDP에서 비공식 부문의 비중이 정확히 얼마 인지를 산출하려면, 북한 GDP의 수송용 석유소비에 대한 탄력성을 산출해야만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관심을 갖는 것이 전체 GDP에 서 비공식 부문이 차지하는 절대적 비중이 아니라 그것의 변화 추세 일 뿐이라면, 굳이 북한 GDP와 수송용 석유소비의 탄력성을 산출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양자의 관계가 안정적이든 불안정적이든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기만 한다면, 수송용 석유소비 방정식에서 나타난 비 공식 부문의 비중의 변화방향과 북한 GDP에서 나타나는 비공식 부

문 비중의 변화 방향은 일치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북한 GDP상에서의 비공식 부문의 비중이 아니라 수송용 석유소비

방정식에서의 비공식 부문의 비중의 추세만을 도출하여 검토하기로 한다.65

추정 모델과 이용 데이터

우선 북한의 수송용 석유소비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가장 간단 한 방정식을 생각해 보자.

1 2 11 12 2

lnOCt=

α

lnyt+

α

PRt =

α

lnytf +

α

lnyift +

α

PRt (1)

α

1≥0,

α

11≥0,

α

12 ≥0,

α

2 ≤0

(단, OCt: 수소용 석유소비, yt: 실질 GDP, ytf : 공식부문 GDP, yift : 비공식부문 GDP PRt: 국제 석유가격, α α α α1, 11, 12, 2: 계수)

위의 식(1)은 북한의 수송용 석유소비가 소득과 가격이라는 두 가 지 변수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소득이 증가 할수록 그리고 가격이 하락할수록 석유소비는 증가한다는 것이다. 그 런데 북한의 소득은 두 가지의 형태가 존재한다. 하나는 공식부문에 서의 소득이고, 다른 하나는 비공식 부문에서의 소득이다. 식(1)에서 는 공식부문에서의 소득과 비공식 부문에서의 소득이 수송용 석유소

65이러한 방법은 락코(Lacko, “Hidden Economy-an Unknown Quantity”)가 전 기 소비방정식을 추정하여 비공식 부문의 비중을 추정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

다만, 그는 GDP의 전기 소비에 대한 탄력성을 가정하여 비공식 부문을 추정하고 있지만, 여기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생략하고 있다.

122

북한의 경제개혁과 이행

비에 각각 다른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고, 이를 표시하기 위해 각각 별도의 계수를 갖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다. 한편, 북한은 소비하는 수송용 석유의 거의 전량을 해외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그것의 소비 역시 국제 석유가격의 변동에 의해 영 향을 받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런데 식(1)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북한의 비공식 부문의 소득을 어떻게 표시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개념적으로 북한에서의 비공 식 부문의 소득은 비공식 부문에 대한 주민들의 참여 정도와 그곳(시 장)에서의 가격수준이라는 두 가지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다.

비공식 부문에 대한 주민들의 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또한 시장에서 의 가격수준이 높을수록 비공식 부문을 통해 얻어지는 소득은 더욱 높을 것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현재 이들 변수에 대해 서는 그 어떤 데이터도 입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어 려움에도 불구하고 북한 비공식 부문의 소득을 전혀 표현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북한 비공식부문에 대한 주민들의 참여의 정 도와 시장에서의 가격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의 대 체변수를 생각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대체변수의 하나는 북한 배급제의 안정성이라는 변수이며, 다른 하나는 북한 주민들이 느끼는 공식부문에서의 소득 하락이라는 변수이다.

북한과 같은 통제적인 사회주의 경제에서 비공식 부문이 활성화된 직접적인 계기는 식량배급으로 상징되는 북한의 배급제가 급속히 불 안정해졌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주민들이 더 이상 충분한 식량배급 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생존을 위해 시장이라는 비공식 부문에서의 활동에 매달릴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이는 북한의 배급제가 불안 정해질수록 주민들의 비공식 부문에 대한 참여도는 높아질 수 밖에

없을 것이며, 동일한 이유에서 시장가격 수준, 보다 정확히 표현하자 면, 시장가격과 공식가격의 괴리 역시 더욱 커졌을 것이라는 의미이 다. 한편, 북한 주민들의 비공식 부문에 대한 참여도는 그들이 공식부 문에서 얻는 소득이 하락하는 정도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북한에서 비공식 부문이 크게 비대하게 된 한가지 원인이 공 식부문의 침체로 상당수 주민들이 실질적인 실업자 신세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들을 감안하면 북한에서의 비공식 부문의 소득 은 기존 배급제가 불안정해 질수록 또한 공식부문의 소득하락 효과 가 클수록, 주민들의 비공식 부문 참여도가 높아지고 시장가격 역시 상승함으로써 더욱 늘어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제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북한 비공식 부문에서의 소득에 대한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생각해 보자.

^

1 1 1 2

lnyift =

β

(1−SIt)+

β θ

( −ytf)=

β

UIt+

β

IEt (2)

β

1≥0,

β

2 ≥0

[ , SIt : 이석(2004)1960년을 기준으로 한 북한 배급제의 상대적

안정성 지수

UIt : 북한 배급제의 상대적 불안정성 지수 (= −1 SIt)

^ t

yf : 공식부문 GDP 증가율

θ : 1971~2000년간 공식부문의 평균 GDP 증가율

IEt : 공식부문의 GDP 하락효과 지수 (

^ t

yf

θ

= − ) ]

우선 식(2)는 북한 비공식 부문의 소득이 배급제가 불안정해질수 록, 또한 공식부문에서의 소득하락 효과가 클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우선 배급제의 불안정성 대해서는 이석(2004)에 나타 난 북한 배급제의 상대적 안정성 지수를 이용하고 있다.66이 지수는

124

북한의 경제개혁과 이행

1960년 북한 배급제의 안정성을 1이라고 가정하고, 그 이후 배급제의

안정성 정도를 계량화 한 것이다. 위의 식(2)에서는 이 지수를 이용

해 1960년의 북한 배급제의 불안정성을 0으로 가정하고, 이후 북한

배급제의 안정성이 감소하면 그 수치가 증가하는 ‘배급제 불안정성 지수’를 선정해 이용하고 있다. 다른 한편 식(2)에서는 북한 공식부문 에서의 소득하락 효과 역시 계량화 하기 위해, 1970-2000년간 공식 부문의 평균 GDP증가율에서 각 연도 공식부문의 GDP 증가율을 차 감한 지표를 이용하고 있다. 이 지표의 수치가 커진다는 의미는, 해당 연도의 GDP 증가율이 지난 30년의 평균 증가율을 더욱 밑돌게 됨으 로써, 상대적으로 북한 주민들이 느끼는 공식부문의 소득하락 효과가 더욱 커진다는 의미이다. 요컨대 식(2)는 북한의 배급제가 불안정해 지고 북한 주민들이 느끼는 공식부문에서의 소득하락 효과가 클수록 비공식 부문에서 창출되는 소득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의미이다.

이제 위의 식(2)를 식(1)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11 1 2 2

lnOCt =

α

lnytf +

δ

UIt +

δ

IEt+

α

PRt (3)

δ α β

1= 12 1≥0,

δ

2 =

α β

12 2 ≥0

식(3)의 커다란 이점은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로도 북한 의 수송용 석유소비 방정식을 추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추정을 통해 북한 비공식 부문의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볼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북한의 수송용 석유소비가 비공식 부문의 경

66이석, “1980년대 북한의 식량생산, 배급, 무역 및 소비,” 󰡔현대북한연구󰡕, 제7권 1호 (2004).

Dalam dokumen PDF 북한의 경제개혁과 이행 - Kinu (Halaman 125-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