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수용 기반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 S-Space (Halaman 89-95)

연구 2의 수용 기반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은 총 4회기(회기 당 2시간 씩,총 8시간)로 구성된 집단 프로그램이다.본 프로그램의 진행방식은 매 회기 시작 전에 간단한 워밍업으로 분위기를 띄운 다음 수용에 대한 구체적인 주제를 설명하고 교육을 실시한 후 함께 연습을 한다.매 회기 를 마무리하기 전에 집단원들과 함께 교육 및 훈련에 대한 평가와 소감 을 자유롭게 주고받는다.프로그램의 기본 구성은 아래의 표와 같다.

<수용 기반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 기본 구성>

1회기.오리엔테이션

※ 1회기 목표

① 정서조절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② 안전한 집단 분위기를 형성한다.

※ 1회기 진행 과정

1.환영인사 및 진행자 소개

2.프로그램의 목적 및 특징 소개

① 다양한 정서조절방략 가운데 수용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하 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② 정서가 신체와 우리의 반응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한다.

③ 평소 정서조절이 잘 안 되어 힘들었던 경험이나,조절하기 힘든 정서가 있었는지 이야기해 본다.

3.별명 짓기와 자기소개

① 안전한 분위기에서 이야기를 하고,서로간의 친밀감을 높이기 위 해서 별명을 사용하고,명찰을 나누어 준다.

② 돌아가면서 간단히 자기소개를 하고 옆 사람에 대한 칭찬을 한다.

③ 별명은 옆 사람이 칭찬한 내용을 바탕으로 집단원들의 의견을 들 으면서 결정하도록 한다.

4.프로그램에서 지켜야 할 규칙

①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경청하기

② 할 말이 있어도 기다렸다가 발언권이 있을 때 말하기

③ 집단의 이야기는 소중한 비밀로 지켜주기

④ 비난,충고,평가는 되도록 삼가기

⑤ 꾸준히 참석하고 되도록 배운 내용을 혼자 연습해 보기

5.집단에서 바라는 점

① 프로그램 내에서 바라는 점 이야기하기

② 다른 참여자들과 리더에 대한 기대와 희망

6.사전 질문지 작성하기

2회기.마음챙김 명상

※ 2회기 목표

① 감정과 생각을 구분하고,촉발자극에 의해 감정과 생각이 생성되 는 과정을 지켜본다.

② 기술과 평가,혹은 묘사와 판단을 구분한다.

③ 마음챙김 명상(호흡명상)을 하면서 떠오르는 생각,감정,느낌 등 을 알아차린다.

※ 2회기 진행 과정

1.워밍업

① 앞,뒷사람 어깨를 안마해 주면서 자연스럽게 긴장을 완화한다.

2.감정과 생각을 구분하기

① 정서가 생성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예를 들어,‘화’라는 감정이 생길 때 분노보다 앞서서 나타나는 느낌은 무엇인지,어떤 생각을 하게 되는지,어떤 행동으로 옮기게 되는지,행동으로 옮 기기 전에는 어떤 충동이 드는지 살펴본다.

② ‘화’가 나는 구체적인 상황을 그림 및 칠판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촉발자극:남편이 나를 비난하고 무시하는 말을 함

-감정/신체반응:짜증,슬픔,심장 요동치고,가슴이 답답함을 느낌, 머리가 아픔,목이나 어깨가 결림 등

-나의 반응:같이 소리치고 싸운다.운다,감정을 억제한다 등

기술/묘사 평가/판단

1.달걀은 동그랗고 하얗다. O

2.달걀은 맛있다. O

3.우리는 결혼한 지 40년이 되었다. O

4.남편은 나를 더 이상 사랑하지 않는다. O 5.남편은 일주일에 소주 한 병을 마신다. O

6.내 남편은 술꾼이다. O

7.나는 심장이 두근거리고 숨이 가빠졌다. O

8.나는 늙어서 더 이상 쓸모가 없다. O

9.아들이 바빠서 요즘 연락이 뜸하다. O

10.아들은 나를 보고 싶어 하지 않는다. O 3.기술과 평가(묘사와 판단)을 구분하기

① 촉발 사건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할 때,그 생각은 주로 기술과 평 가로 구분될 수 있다.우리가 사건에 대해 부정적인 정서를 가지 게 되는 이유는 주로 평가나 판단과 같은 생각 때문이므로,어떤 것이 평가/판단인지 알아보는 연습을 한다.

②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집단원들에게 칭찬 스티커를 주어 참여를 독 려한다.

4.마음챙김 호흡 명상하기

① 감정과 생각,기술과 평가를 구분했던 것을 유념하면서 떠오르는 생각,감정,느낌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는 연습을 한다.

② 호흡 명상을 하면서 어떤 것도 판단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③『마음챙김 명상 멘토링』(김정호,2011)에 수록되어 있는 마음챙김 호흡 명상 지시문 인용.

5.회기 마무리 및 과제 부여

① 마음챙김 명상을 혼자 연습해 보고,다음 시간에 경험 나누기

3회기.경험적 회피와 수용

※ 3회기 목표

① 경험하고 싶지 않은 것들을 바꾸기 위해 그 동안 어떤 전략들을

통제 가능 통제 불가능

1.다른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는 것 O

2.내가 다른 사람들에게 말하는 방식 O

3.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행동하는 방식 O

4.내가 다른 사람들에게 행동하는 방식 O

5.때때로 나에게 떠오르는 생각들 O

6.나의 생각과 느낌에 내가 반응하는 방식 O

7.다른 사람들이 나를 좋아하는지 여부 O

8.내게 남은 귀중한 시간을 어떻게 보낼 것인지 O

9.내가 늙어서 병이 들거나 몸이 약해지는 것 O 10.나에게 소중한 사람들을 대하는 것 O

써 왔는지 확인한다.

② 바꿀 수 없는 것을 바꾸려고 노력하기보다 수용하도록 돕는다.

※ 3회기 진행 과정

1.워밍업

① 슈퍼스타 게임: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자신이 오늘 했던 사소한 일을 이야기하면 모든 사람들이 크게 박수치면서 그 사람이 슈퍼 스타인 것처럼 환호한다.

2.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 복습 및 과제 피드백

① 마음챙김 명상을 혼자 하였는지 확인하고,과제 실시 중 어려움이 있었는지 확인한다.

3.평소 다루기 어려웠던 감정을 다루는 전략 확인

① 그 동안 고통스러운 감정,생각,신체적 감각 등을 다스리기 위해 어떤 전략을 써왔는지 검토하고 그 전략의 효과를 확인한다.

②『분노의 갑옷을 벗어라』(Eifert,McKay,& Forsyth,2006)의 “괴 물과의 줄다리기”은유를 사용하여 이해를 돕는다.

4.통제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구분

① 자신이 바꿀 수 있는 것과 바꿀 수 없는 것을 구분하여,내가 바 꿀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둔다.

5.마음챙김 명상

①『분노의 갑옷을 벗어라』(Eifert,McKay,& Forsyth,2006)의 “시 냇물에 나뭇잎 띄워 보내기”연습:떠오르는 생각,감정 등을 나 뭇잎이 시냇물에 흘러가듯이 띄워 보내고 그저 바라본다.

6.회기 마무리 및 과제 부여

① 마음챙김 명상을 혼자 연습해 보고,다음 시간에 경험 나누기

4회기.기꺼이 경험하기와 수용

※ 4회기 목표

① 자신이 원하는 가치를 찾고 그에 따라 행동하도록 노력한다.

② 프로그램 마무리를 한다.

※ 4회기 진행 과정

1.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 복습 및 과제 피드백

2.자신이 원하는 가치/소망을 찾고 기원하는 나무 만들기

① 남은 생에 동안 원하는 가치나 소망이 무엇인지 찾고 그에 따른 삶을 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될지 생각해 본다.

② 소망 나무를 함께 만들며 자신이 원하는 가치나 소망이 담긴 열매 를 나무에 붙인다.

3.자비 명상

① 그 동안 열심히 살아온 자신을 격려하고,자신에게 자비를 베푸는 마음을 가진다.

4.프로그램에 참여한 소감 나누기

5.사후 설문지 작성하기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 S-Space (Halaman 8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