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수용 및 인지적 재평가 기반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이 장노년의 주관적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이 장노년의 주관적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 S-Space (Halaman 39-78)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연구 1에서 설문 연구를 통해 장노년기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 및 우울의 관계에서 수용과 인지적 재평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면, 연구 2에서는 수용 기반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과 인지적 재평가 기반 정 서조절훈련프로그램을 장노년층에게 실시하고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탐 색하였다.

수용 및 인지적 재평가 기반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은 각각 총 4회기 (회기 당 2시간씩,총 8시간)와,총 8회기(회기 당 2시간씩,총 16시간)로 구성되고,훈련프로그램을 시작할 때와 프로그램을 종료할 때 동일한 설 문지로 사전-사후 측정치를 수집하였다.이렇게 수집된 자료들의 집단 간 비교 및 집단 내 비교를 실시하였다.

연구 2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수용 집단과 인지적 재평가 훈련 집단은 주관적 안녕감 수준 이 향상될 것이고,우울 수준은 감소할 것이다.

가설 2.주관적 안녕감 수준의 증가량과 우울 수준의 감소량은 수용 집단이 인지적 재평가 집단에 비해 더 클 것이다.

방 법

참여자

연구 2는 연구 1과 마찬가지로 서울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사전 승인을 받고 진행되었으며,본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들에게 연구에 대한 설명을 하고,연구 동의서를 받았다(IRB No.1307/001-005).

수용 집단은 서울시 관악구 소재의 I경로당을 이용하는 노년기 성인 들 중 자발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를 원하는 이들로 구성되었다.프로그 램의 1회기에 참석하고 사전 설문지에 응답한 인원은 총 13명이었으나, 여행,자녀 집 방문,배우자의 건강 악화 등의 이유로 프로그램에 도중 탈락한 인원이 5명이었다.프로그램 종료 시 사후 질문지에 응답한 인원 은 총 10명이었지만,그 중 8명만이 프로그램에 빠지지 않고 성실하게 참여하였다.이들 8명은 모두 여성 노인으로 평균 연령은 85.63세(표준편 차 3.82)였으며,연령의 범위는 80∼93세였다.

인지적 재평가 집단은 경기도 평택시 D마을의 주민들 중 만 55세 이 상의 성인들로 구성되었다.인지적 재평가 집단과 수용 집단을 동일한 배경의 참여자들로 구성하려고 노력하였지만,참여자 모집에 어려움이 있었다.대신 마을의 강제 이주 후에 정서조절,특히 분노조절에 어려움 을 겪고 있는 상당수의 D마을 주민들이 사회단체를 통하여 임상심리전 문가가 운영하는 상담센터에 정서조절프로그램을 의뢰하였고,본 연구자 는 이 프로그램의 보조 진행요원의 자격으로 참여하였다.자발적으로 프 로그램에 참여를 원하는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이 실시되었으 나,프로그램의 취지와 구성에 대한 이해가 수용 기반 집단 참여자들에 비해 어려웠으므로,한 회기에 진행될 수 있는 내용들을 2회기에 걸쳐 다루었다.

인지적 재평가 집단 프로그램의 1회기에 참석하고,사전 질문지에 응 답한 인원은 총 9명(남자 3명,여자 6명)이었으나,프로그램 도중 남성 참여자들이 여성 참여자들과 함께 정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것에 부

담을 느끼고 도중 탈락하였다.프로그램이 끝날 때 사후 질문지에 응답 한 인원은 총 8명이었고,그 중 6명이 사전-사후 질문지에 모두 응답하 였다.이들은 모두 여성 노인으로 평균 연령은 74.5세(표준편차 3.45)였으 며,연령의 범위는 68∼78세였다.

연구 2에 사용된 측정치들은 자기보고식 검사이나,연구 참여자들 가 운데 글자에 대한 해독이나 내용 이해가 힘들어서 설문 작성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 본 연구자가 질문을 직접 읽어주고 답을 하게 한 후 기입을 하는 방식을 택하였다.수용 및 인지적 재평가 기반 정서조절훈련프로그 램에 참여한 모든 분들께 감사의 뜻으로 소정의 기념품을 전달하였다.

측정 도구

삶의 만족도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연구 1과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 척도(PositiveAffectand NegativeAffect Schedule;PANAS).연구 1과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한국판 노인우울척도 단축형(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Version:GDSSF-K).연구 1과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였 다.

한국어판 수용-행동 질문지 II(Korean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K-AAQ-II).연구 1과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정서조절질문지(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ERQ).연구 1과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용 기반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 소개

수용 기반 프로그램은 총 4회기(회기 당 2시간씩,총 8시간)로 구성되 며,수용전념치료(ACT)에서 수용을 훈련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과제들로 이루어져 있다.1회기는 오리엔테이션 시간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구 성원들로부터 자기소개,참여 동기 및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를 듣고,프 로그램에서 지켜야 할 규칙 등을 정했다.2회기는 감정과 생각,평가와 기술을 구분하는 교육을 간단히 실시한 뒤 마음챙김 호흡 명상을 하며 떠오르는 생각,감정,느낌을 알아차리는 연습을 하였다.3회기는 고통스 러운 감정,생각,혹은 신체적 감각 등을 다스리기 위해 그 동안 어떤 전 략을 써 왔는지 검토하고,그 전략이 얼마나 효과가 있었는지 확인하였 다.또한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것과 통제할 수 있는 것을 구분하는 교 육을 간단히 실시하고,통제할 수 없는 것을 수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내용의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괴물과의 줄다리기”와 같은 은유를 사용하였다.4회기는 참여자들이 원하는 가치 있는 삶을 살기 위해서 고통스러운 감정,생각 등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사회적 행동에 참여하는 것을 연습하고,수용을 촉진하기 위해 자비명상 을 실시하였다.마지막으로 프로그램 평가 및 참여 소감을 나누는 것으 로 프로그램을 종료하였다.각 회기의 목표 및 주요내용을 표 6에 개략 적으로 소개하였으며,더 상세한 내용은 부록 8에 제시하였다.

수용 기반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

회기 주제 주요 활동

1 오리엔테이션

-리더 및 집단원 소개

-참여 동기 및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 듣기 -프로그램 규칙 설정

2 마음챙김 명상

-감정과 생각,기술과 평가를 구분하는 교육 - 호흡 명상하며 떠오르는 생각,감정,느낌을 알

아차리기

3 경험적 회피와 수용

- 고통스러운 감정,생각,신체적 감각 등을 다스 리기 위해 그 동안 어떤 전략을 써 왔는지 검토 하고 그 전략의 효과 확인하기

- 통제할 수 있는 것과 통제할 수 없는 것을 구분 하는 교육(“괴물과의 줄다리기”)

-연습:“나뭇잎을 시냇물에 띄워 보내기”

4 기꺼이 경험하기 와 수용

-자신이 원하는 가치를 찾고 그에 따라 행동하기 -프로그램 평가 및 참여 소감 나누기

-연습:자비명상

표 6.수용 기반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의 기본 구성

인지적 재평가 기반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 소개

인지적 재평가 기반 프로그램은 총 8회기(회기 당 2시간씩,총 16시간) 로 구성되었다.Beck의 인지치료에 기초하여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감정 과 행동,생각 반응을 확인하고 생각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함으로써 인 지적으로 정서를 조절하고자 하는 과제들로 이루어져 있다.1회기는 오 리엔테이션 시간으로 프로그램의 취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고,2회기 는 1회기에 이어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고,규칙을 정하였다.1회기와 2회기는 리더와 집단원들 간에 라포를 형성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 다.3회기는 정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정서 경험에 수반되는 생각,

인지적 재평가 기반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

회기 주제 주요 활동

1 오리엔테이션 -리더 및 집단원 소개

-프로그램 내용 및 취지 설명 2 집단 구조화 -프로그램 목표 및 규칙 설정

3 정서 교육

-정서에 대한 교육

-정서경험에 수반되는 감각,생각,행동,건강 상 태 등 분석,정서표현양식 확인

4 자동적 사고 탐색

- 상황에 대한 A-B-C 연습 (상황-생각-감정 및 행동 반응)

-상황에 대한 자동적 사고 탐색

5 대안적 사고 찾기

- 자신이나 상황에 대한 부정적 생각을 집단원들 과 함께 나누고 이에 대한 대안적 생각 공유하 기

6 긍정적 사고 경험 -자신에 대해 긍정적 사고 경험 -집단 구성원끼리 서로 칭찬하기

행동,감각 등을 확인하였다.4회기는 3회기에 이어 상황-생각-감정을 분석하고,감정에 대한 자동적 사고를 알아차리는 연습을 하였다.5회기 는 전통적인 인지치료(CT)에서 주로 사용하는 ABCDEF 기법을 통해 비 합리적인 신념을 합리적인 것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대안적인 사고를 연 습하였다.6회기에서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 사고를 경험할 수 있는 시간 을 가졌다.7회기에서는 특정한 사건이나 경험을 긍정적이고 의미 있는 관점에서 재해석할 수 있도록 인생 회고록을 쓰게 하였다.마지막 8회기 는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와 참여 소감을 나누는 것으로 프로그램을 종료 하였다.각 회기의 목표 및 주요내용을 표 7에 개략적으로 소개하였다.

표 7.인지적 재평가 기반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의 기본 구성

7 인생 재해석하기 - 인생 회고록을 쓰면서 특정한 사건이나 경험을 긍정적이고 의미 있는 관점에서 재해석하기

8 종결 -자신이 원하는 소망 기원하기 -프로그램 평가 및 참여 소감 나누기

통계 분석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통해 진행하였고,각 집단의 사전동질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전측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 하였다.각 집단의 참여자가 각각 8명,6명으로 그 숫자가 적으므로 모수 와 통계량의 관계를 다루지 않는 비모수통계기법을 통해 각 집단 내의 사전-사후 측정치를 비교하고,집단 간의 사전-사후 변화량을 비교하였 다.집단 내의 사전-사후 측정치는 비모수통계기법 중 Wilcoxon 부호- 서열검증을 통해 검증하였고, 집단 간의 사전-사후 변화량은 Kolmogorov-Smirnov와 Mann-WhitneyU검증을 사용하였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 S-Space (Halaman 3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