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장률 6.48%를 활용하여 타년도 비중을 추정
<표 4-6>
세계 탈모케어 화장품 시장규모 전망
(단위: 백만 달러)
유 형 2021 2022 2023 2024 2025 CAGR
Shampoos 29,654 30,725 31,835 32,985 34,176 3.6%
탈모케어 샴푸 비중2) 45.5% 48.4% 51.5% 54.9% 58.4% 6.48%
탈모케어 샴푸 13,482 14,874 16,409 18,103 19,972 10.32%
Hair Loss Treatments 976 1,011 1,048 1,085 1,126 3.7%
탈모완화 제품 14,458 15,885 17,457 19,188 21,098 9.91%
1) 성장률 6.48%를 활용하여 타년도 비중을 추정 2) 환율 1$= 1,296원(2022년 12월 기준)
<표 4-7>
국내 탈모케어 화장품 시장규모 전망
(단위: 백만 달러)
유 형 2021 2022 2023 2024 2025 CAGR
Shampoos 552 574 596 619 642 3.9%
탈모케어 샴푸 비중1) 45.5% 48.4% 51.5% 54.9% 58.4% 6.48%
탈모케어 샴푸 251 278 307 339 375 10.56%
Hair Loss Treatments 10 10 10 10 10
제품 (백만 달러) 261 288 317 349 385 10.21%
(억 원)2) 3,383 3,732 4,108 4,523 4,990
KISTI Data Insight
탈모방지, 탈모완화를 기능으로 하는 기능성 제품인 두발용 제품 관련하여 분석하였 다. 두발용 제품은 화장품에 포함되어, 화장품 산업의 특징을 그대로 투영하고 있다.
글로벌 화장품산업은 전 세계적 불황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지속적으로 창출되는 미래 유망산업으로 위상을 넓혀가고 있다. 특히 새로운 소비 트렌드 부상과 유통 채널의 다 변화로 인해 앞으로의 성장이 더욱 기대되는 분야이다.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화장품 시장은 표준산업분류상 ‘화장품 제조업(C20423)’에 속 하며, 해당 제품은 기능성 화장품의 일부이다. 화장품 중 특히 탈모 케어 시장의 성장 세는 뚜렷하다. 탈모관련 환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 다. 병원의 처방전을 요구하는 탈모 치료제는 고객들의 심리적 장벽이 높기 때문에 병 원 방문 이전에 자가치료를 시도하는 사람들이 많으며, 주로 헤어제품을 중심으로 수 요가 형성되어 있다.
최근 탈모증 환자의 절대적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거에는 주요 고객층으로 여기지 않았던 20~30대와 여성의 비율이 높아졌다. 낮아진 연령층 과 여성비율 증가는 탈모를 예방하고자 하는 잠재적 고객층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두발류 제품인 샴푸는 다양한 소재 적용을 위한 기술개발의 확대와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및 K-뷰티의 주목으로 이에 대한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탈모 케어관련 국내 공공연구개발은 2000년 이후 대학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약 370여 과제가 수행되었으며, 주로 보건의료, 생명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신소재 및 천연소재 개발 등에 집중되었다. 탈모관련 기능성 화장품 등의 제조 및 판매업체는 2020년 기준 약 1,088개 기업이 있으며, 이중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31개(2.85%) 업 체이지만 전체 매출의 약 97%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다수의 중소기업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각국의 연구비 지원 및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며, 그 결 과 연구 및 기술 개발관련 논문과 특허가 대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탈모 예방 및 완화, 치료 등 모발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수의 업체가 상당히 많은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특히 탈모 완화, 모발 재생, 두피 관리 샴푸가 유망하며, 프리미엄 헤어케어 제품 시장도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는 천연 식물 소재의 샴푸와 프 리미엄 헤어제품을 찾고 있으며, 이에 제조기업들은 샴푸의 성분·효능·품질의 고급화 전략을 바탕으로 한 경쟁력이 필요하다. 이에 소비자 니즈에 맞춰 기술혁신을 기반으 로 품질력을 제고시키고, 타겟 고객에 맞는 세분화된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
0 5
CHAPTER
탈모완화 화장품 제품의 시장은 2020년 13,162백만 달러, 원료는 263백만 달러의 규모에서 2025년 21,098백만 달러, 원료는 약 422백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된다. 국내 시장에서 탈모케어 제품은 연평균 성장률 약 10.2%로 성장하여 2025년 4,99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탈모 완화 및 개선을 위한 제품관련 산업과 소재개발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므로써, 이용자의 관심을 고려한 제품개발에 대 한 지속적인 니즈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장 전망과 산업의 동향 파악을 위해 해당 산업의 전문가나 관련 시장보고서를 참 고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의 신뢰성을 위해 가능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즉, 정성적인 측면에서의 시장 수요 등에 있어서, 쇼핑데이터나 검색어를 통한 시장의 추이를 파악하고, 수요의 성장 정도를 제시하며 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하였다. 그리 고 데이터를 활용한 이러한 시도는 근거 데이터의 신뢰성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이번 보고서에서는 기존 자료의 신뢰도에 대한 문제는 제시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한 한 계를 가진다.
향후에도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검색이나, 분석방법 뿐 아니라, 신 뢰성 있는 데이터의 확보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연구개발에 대한 공공 R&D의 경우는 탐색 가능한 자료가 있으나, 기업의 활동과 관련된 데이터 확보에 어려 움이 있다. 이와같이 데이터를 통한 시장분석, 산업분석을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정제 된 데이터 확보와, 새로운 분석방법 개발 등에 대한 노력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 김동그라미, 늘어나는 탈모 인구, 커지는 탈모케어시장, kotra해외시장뉴스, 2018.11.25.• 김채봉, 황성완, 구글트렌드를 이용한 감염병 관심 동향 2004-2017년, 의료경영학연구, 제14권 1호
• 동훈, 중국 탈모방지제품 시장동향, kotra 해외시장뉴스, 2020.09.14.
• 소대섭, 이봉진, 탈모방지 화장품 시장동향, 공업화학 전망, 제22권 제1호, 2019
•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기능성화장품제품정보(심사)
•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기능성화장품제품정보(보고)
• 여원현, 코스맥스, 천연 기능성 소재로 MZ세대 맞춤형 헤어 케어 개발, 내외경제TV, 2022.01.12.
• 오정은, GD도 탈모샴푸 쓴다. 100만개, 1000만개씩 팔리는 탈모샴푸, 머니투데이, 2021.09.06.
• 이미경, 탈모인들 새 희망되나. 긴 생머리 전지현이 나섰다. 한경, 2021.12.05.
• 조희승, 여전히 탈모샴푸 점유율1위, 하이투자증권, 2021.06.30.
• 최선욱, 브라질 헤어 제품 시장동향, kotra해외시장뉴스, 2018.08.06.
• 하세가와요시유키, 일본 샴푸시장 동향, 2021,09,08, Kotra 해외시장뉴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효모균주 기반 고부가 기능성 소재의
고효율 발효 생산기술 기술가치평가보고서", 2022. 02
• 헤어케어화장품, 2016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 전략보고서, 2016 참조
• (사)대한화장품협회, COSMETIC REPORT, 제237호, 2020, Oct
• 2020년 화장품산업 분석 보고서, 보건산업진흥원, 2020.12
• Euromonitor International, 2021.02
• Global Personal Care and Cosmetic Ingredients Industry Consolidation, 2018, Frost&Sullivian, 2018, November
• Google (2020). Google Trends. Available from: https://trends.google.com/
trends/?hl=ko. Accessed March 30, 2020.
• KOTRA, 2018 글로벌 화장품 산업백서
• TS트릴리온 사업보고서 2020, 전자공시시스템
참고문헌
• 위키피디아• www.kisline.com
• kmaps.kisti.re.kr
• 아모레퍼시픽 홈페이지
• 피토스 홈페이지
• LG생활건강 홈페이지
• www.ntis.go.k
• trends.google.com
• datalab.naver.com
• https://unipass.customs.go.kr/ets/
• gpass.kisti.re.kr
• https://app.dimensions.ai/discover/publication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http://opendata.hira.or.kr/op/opc/
olapMfrnIntrsIlnsInfo.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