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도구의 신뢰성이란 동일 대상에 대해 같은 측정도구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 그 측정결과 값들의 분산을 말한다. 즉 측정치 값의 차이가 작아야 신뢰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주로 측정도구의 내적일관성을 통해 판단한다. 내적일관성을 측정 시, 주로 사용되는 통계량으로는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alpha)가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한 연구로서 설문문항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크론바흐 알파 값을
산출하였고, 설문문항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내적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일반적으로 크론바흐 알파 값이 0.7 이상이면 내적 일관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0.6∼0.7이면 수용할만한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도 크론바흐 알파 값이 0.6 이상인 경우를 유의한 변수로 분석하였고. 결과는 <표 4-4>와 같다. 신뢰성 검증을 한 결과, 모든 변수의 크론바흐 알파 값이 0.6 이상으로 나타나 본 연구를 위해 만든 설문문항들이 측정도구로써 적정하다고 판단하였다.
[표4-4] 신뢰도 검증 결과
변수 세부항목 크론바흐알파값 측정문항 항목제거시
일-생활 균형
일-성장균형 .939
Ⅰ.15) 주 52시간제 시행 이 후 나의 목표와 비전을 생
각하는 시간이 더 많아졌다. .924
Ⅰ.16) 주 52시간제 시행 이 후 내 삶을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을 더 갖게 되었다. .920
Ⅰ.17) 주 52시간제 시행 이 후 경력관리에 더 많은 관
심을 갖게 되었다. .932
Ⅰ.18) 주 52시간제 시행 이 후 자기 개발에 더 신경을
쓰게 되었다. .919
Ⅰ.19) 주 52시간제 시행 이 후 일에 매몰되어 내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를 잊는 일 이 줄어들었다.
.933
일-가정균형 .825
Ⅰ.2)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회사 일을 집에 가지고 가는
경우가 적어졌다. .796
Ⅰ.3)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퇴근 후 회사 일에 대한 걱
정을 덜 하게 되었다. .697
Ⅰ.4)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일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가 족에게 푸는 경우가 줄었다.
.780
일-여가균형 .941
Ⅰ.8)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여가나 운동에 할애하는 시
간이 늘어났다. -
Ⅰ.9)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나는 여가활동이나 건강관리에
신경을 더 쓰게 되었다. -
직무스트레스
직무요구 .919
Ⅱ.1)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시간에 쫓기며 일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736
Ⅱ.2)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현재 하던 일을 끝내기 전에 다른 일을 하도록 지시받는 경우가 더 많아졌다.
.786
Ⅱ.3)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업무시간 중에 끝내야 할
업무량이 증가하였다. .789
Ⅱ.4)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동료나 부하직원을 돌보고
책임져야 할 부담이 늘어났다. .723
Ⅱ.5)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업무에 장시간 집중해야 하
는 경우가 늘어났다. .685
Ⅱ.6) 주 52시간제 시행 이 후 업무 수행 중에 충분한 휴식(짬)이 주어지지 않고 있다.
.683
Ⅱ.7)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일이 더 많아져서 직장과
가정에 다 잘하기가 힘들다. .686
Ⅱ.8)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해야
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766
직장문화 .909
Ⅱ.9)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회식 자리가 불편한 일이
줄어들었다. .905
Ⅱ.10)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기준이나 일관성 없는 업무
지시가 줄어들었다. .885
Ⅱ.11)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권위적이고 수직적인 직장
분위기가 줄어들었다. .883
Ⅱ.12)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직급의 차이 때문에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줄어들었다. .885
Ⅱ.13)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직군 차이 때문에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줄어들었다. .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