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가.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일-생활 균형(WLB)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를 통해 일반적으로 포함시킨 성장, 가정, 여가에

관한 영역을 삶의 영역의 주요인자로 보았다. 근로시간의 단축의 정도를 독립변수로, 일-생활(일-성장, 일-가정, 일-여가) 균형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인구통계학적특성을 통제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한 결과는 아래 <표 4-7>에서 <표4-9>과 같다.

(1)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일-성장 균형과의 관계

독립변수인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종속변수인 일-생활 균형의 하위 특성인 일-성장 균형, 일-가정 균형, 일-여가 균형과의 관계를 회귀식으 로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아래의 <표 4-7>은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일-성장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 중회귀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표4-7]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일-성장 균형과의 관계

모형 비표준화계수 t 유의

확률 TYPE

Ⅲ SS

b 표준오차

(상수) -1.002 0.468 -2.140 0.033

통제변수

성별 -0.030 0.141 -0.210 0.831 9.845 나이 0.008 0.018 0.470 0.640 0.032 근속연수 -0.066 0.080 -0.820 0.412 0.155 직급 -0.175 0.104 -1.690 0.093 0.477 결혼여부 0.526 0.140 3.760 0.000 2.008 독립변수 근로시간단축 0.313 0.043 7.350 <.0001 9.988

R2=.202 F=6.49***(P=<.0001)

종속변수 : 일-생활 균형(일-성장 균형) *** p<0.001, **p<0.01, *p<0.05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종속변수인 일-생활 균 형 특성 요인인 일-성장 균형에 유의미하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는 일-생활 균형에 정(+)의 영향력을 행 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종 제곱합을 활용하여 변수의 상대적 중요 성을 살펴보면 근로시간 단축 정도, 성별, 결혼여부 순으로 중요하다. 근 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일-성장 균형의 변동을 더 설명해 준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일-가정 균형과의 관계

[표4-8]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일-가정 균형과의 관계

모형 비표준화계수 t 유의

확률 TYPE

Ⅲ SS

b 표준오차

(상수) 0.065 0.448 0.140 0.885

통제변수

성별 0.000 0.135 0.000 0.998 0.000 나이 -0.012 0.017 -0.670 0.503 0.291 근속연수 0.082 0.077 1.070 0.284 0.745 직급 -0.251 0.099 -2.530 0.012 4.151 결혼여부 0.164 0.134 1.220 0.223 0.967 독립변수 근로시간단축 0.235 0.041 5.760 <.0001 21.471

R2=.175 F=5.43***(P=<.0001)

종속변수 : 일-생활 균형(일-가정 균형) *** p<0.001, **p<0.01, *p<0.05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종속변수인 일-생활 균 형 특성 요인인 일-가정 균형에 정(+)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제3종 제곱합을 활용하여 변수의 상대적 중요성을 살펴보면 근로 시간 단축 정도, 직급, 결혼여부 순으로 중요하다.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 가 상대적으로 일-가정 균형의 변동을 더 설명해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일-여가 균형과의 관계

[표4-9]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일-여가 균형과의 관계

모형 비표준화계수 t 유의

확률 TYPE

Ⅲ SS

b 표준오차

(상수) 0.270 0.504 0.530 0.593

통제변수

성별 -0.057 0.152 -0.380 0.706 0.117 나이 -0.024 0.019 -1.250 0.212 1.287 근속연수 0.097 0.087 1.120 0.262 1.036 직급 -0.009 0.112 -0.080 0.934 0.006 결혼여부 -0.162 0.151 -1.080 0.283 0.951 독립변수 근로시간단축 0.301 0.046 6.550 <.0001 35.212

R2=.175 F=5.41***(P=<.0001)

종속변수 : 일-생활 균형(일-여가 균형) *** p<0.001, **p<0.01, *p<0.05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종속변수인 일-생활 균 형 특성 요인인 일-여가 균형에 정(+)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제3종 제곱합을 활용하여 변수의 상대적 중요성을 살펴보면 근로 시간 단축 정도, 나이, 근속연수 순으로 중요하다.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 가 상대적으로 일-여가 균형의 변동을 더 설명해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가설 1>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클수록 일-생활 균형이 더 높을 것이다.”는 채택이 되었다.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일-생활 균형 요소 3가지 요인인 일-성장 균형, 일-가정 균형, 일-여가 균형에 유의미 하게 정(+)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클수록 일과 성장의 균형, 일과 가정의 균형, 일과 여가의 균형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4) 근로시간 단축으로 생긴 여유시간과 종속변수와의 관계

<가설 1>에 대해 근로자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생긴 여유시간이 일- 생활 균형의 3가지 요인인 일-성장 균형, 일-가정 균형, 일-여가 균형 중 어느 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4-10] 근로시간 단축으로 생긴 여유시간과 종속변수와의 관계

모형 비표준화계수

t 유의

확률 TYPE b 표준오차 Ⅲ SS

(상수) 2.257 0.054 42.050 <.0001

종속변수

일-성장 균형 0.382 0.059 6.480 <.0001 39.393 일-가정 균형 0.290 0.063 <.0001 20.042 일-여가 균형 0.378 0.055 <.0001 44.635

R2=.284 F=42.66***(P=<.0001)

제3종 제곱합을 통한 분석결과, 시간에 대해 일-생활 균형의 3가지 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을 살펴보면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 일-가정

균형 순으로 영향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근로자는 근로 시간 단축으로 생긴 여유시간을 여가에 가장 많이 활용한다는 결과를 도 출할 수 있다.

나.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직무스트레스

연구문제 2에 대한 검증으로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를 독립변수로, 직무스트레스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인구통계학적특성을 통제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한 결과는 아래의 <표 4-11>에서 <표4-12>와 같다.

(1)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직무요구와의 관계

독립변수인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종속변수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특성인 직무요구와 직장문화와의 관계를 회귀식으로 살펴보면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아래의 <표 4-11>은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직무요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표4-11]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직무요구에 미치는 영향

모형 비표준화계수 t 유의

확률 TYPE

Ⅲ SS

b 표준오차

(상수) 1.638 0.531 3.080 0.002

통제변수

성별 0.097 0.160 0.610 0.545 0.321 나이 -0.042 0.021 -2.040 0.042 3.661 근속연수 0.229 0.092 2.490 0.013 5.442 직급 -0.332 0.116 -2.860 0.005 7.184 결혼여부 -0.031 0.157 -0.200 0.843 0.034 독립변수 근로시간단축 -0.033 0.048 -0.690 0.491 0.417

R2=.093 F=2.59*(P=<.003)

종속변수 : 직무스트레스(직무요구) *** p<0.001, **p<0.01, *p<0.05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종속변수인 직무스트레 스의 특성 요인인 직무요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종 제곱합을 활용하여 변수의 상대적 중요성을 살 펴보면 직급, 근속연수, 나이 순으로 중요하다. 직급이 상대적으로 직무 요구의 변동을 더 설명해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직장문화와의 관계

[표4-12]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직장문화에 미치는 영향

모형 비표준화계수 t 유의

확률 TYPE b 표준오차 Ⅲ SS

(상수) -0.290 0.507 -0.570 0.568

통제변수

성별 -0.088 0.153 -0.580 0.564 0.266 나이 0.046 0.020 2.370 0.018 4.477 근속연수 -0.168 0.087 -1.920 0.056 2.926 직급 -0.068 0.111 -0.610 0.542 0.297 결혼여부 -0.355 0.150 -2.370 0.018 4.484 독립변수 근로시간단축 -0.254 0.046 -5.560 <.0001 24.569

R2=.180 F=5.50***(P=<.0001)

종속변수 : 직무스트레스(직장문화) *** p<0.001, **p<0.01, *p<0.05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종속변수인 직무스트레 스의 특성 요인인 직장문화에 정(+)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제3종 제곱합을 활용하여 변수의 상대적 중요성을 살펴보면 근로시 간 단축 정도, 결혼여부, 나이 순으로 중요하다. 근로시간 단축 정도가 상대적으로 직장문화의 변동을 더 설명해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 구문제 2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는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직무스트레스 요소 2가지 요인인 직무 요구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으며, 직장문화에 유 의미하게 정(+)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근로시 간 단축의 정도가 직무요구를 높이거나 낮추지 않으며,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클수록 직장문화는 개선된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다. 근속연수, 직급, 결혼여부, 나이, 성별의 조절효과 검증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 3에 대한 분석으로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일-생활 균형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근속연수, 직급, 결혼여부, 나이, 성별의 조절효과에 대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가설 3-1>에서 <가설 3-10>을 검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은 변수들을 회귀식에 단계적으로 추가하는 과정에서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변수들을 독립변수와의 상호작용항으로 추가하였을 때의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느냐의 여부를 통해 알아보는 방법이다.

(1)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일-생활 균형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가 일-생활 균형(일-성장, 일-가정, 일-여가)과의 관계에서 근속연수, 직급, 결혼여부, 나이, 성별의 조절효과는

<표4-13>부터 <표4-27>와 같으며 조절변수이자 통제변수로서 근속연수, 직급, 결혼여부, 나이, 성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투입하였다.

① 근속연수의 조절효과 검증

우선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일-생활 균형과의 관계가 근속연수 요소에 의해 조절되는가를 검증하였고, 그 결과는 <표4-13>부터

<표4-15>와 같다.

[표4-13]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일-성장 균형 관계에서 근속연수 요소 조절효과

모형 비표준화계수

t 유의

b 표준오차 확률

(상수) -1.062 0.544 -1.950 0.052

통제변수

성별 -0.031 0.141 -0.220 0.824 나이 0.009 0.018 0.480 0.634 근속연수 -0.044 0.130 -0.330 0.738 직급 -0.178 0.105 -1.700 0.091 결혼여부 0.526 0.140 3.750 0.000 독립변수 근로시간단축정도 0.337 0.117 2.870 0.004

조절변수 근속연수×

근로시간단축정도 -0.008 0.039 -0.220 0.828

[표4-14] 근로시간 단축의 정도와 일-가정 균형 관계에서 근속연수 요소 조절효과

모형 비표준화계수

t 유의

b 표준오차 확률

(상수) 0.047 0.521 0.090 0.928

통제변수

성별 0.000 0.135 0.000 0.999 나이 -0.012 0.017 -0.670 0.506 근속연수 0.089 0.125 0.710 0.477 직급 -0.252 0.100 -2.510 0.013 결혼여부 0.164 0.134 1.220 0.224 독립변수 근로시간단축정도 0.242 0.112 2.150 0.032

조절변수 근속연수×

근로시간단축정도 -0.002 0.037 -0.070 0.947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