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심해 저서생물 먹이 특성 분석

제 5 장

1. 심해 저서생물 먹이 특성 분석

3해역 (울릉분지, 강원, 경북)의 총 108개체의 대게, 홍게, 털게 시료 수집 (당일 공판장에 들어온 수산물 구입, 강원 시료는 속초에서 경북시료는 죽변과 영덕에서 울릉분지 시료는 해미래 동해탐사에서 채집된 시료 사용)하여, 습식 무게, 각장, 각고, 집게팔 두께 측정 및 사진 촬영 후 동위원소 분석을 위한 집게팔 근육조직 분리하고, 내용물 쏟아지지 않도록 각 개체의 위 절제 후 무게 측정하여 위내용물 분석(실체현미경 사용) 하였다. 그리고 절제되어 냉동

- 116 -

보관된 근육시료로 각 시료중 3개체 선별하여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분석하였다(그림 5-3-1~8).

그림 5-3-2. 죽변에서 수집한 대게(

Chionoecetes opilio

) 개체 및 분리된 위 사진

그림 5-3-3. 속초에서 수집한 대게(

Chionoecetes opilio

) 개체 및 분리된 위 사진

그림 5-3-4. 속초에서 수집한 붉은대게(

Chionoecetes japonicus

) 개체 및 분리된 위 사진

그림 5-3-5. 영덕에서 수집한 붉은대게(

Chionoecetes japonicus

) 개체 및 분리된 위 사진

- 118 -

그림 5-3-6. 속초에서 수집한 붉은대게(

Chionoecetes japonicus

) 개체 및 분리된 위 사진

그림 5-3-7. 울릉분지에서 무인잠수정 해미래로 채집한 붉은대게(

Chionoecetes japonicus

) 개체 및 분리된 위 사진

그림 5-3-8. 속초에서 수집한 털게(

Erimacrus isenbecki

) 개체 및 분리된 위 사진

각 개체별 위 내용물 분석 결과, 전 개체에서 식별가능한 먹이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심해 대게류의 경우 먹이가 위에 머무른는 시간이 3시간 정도로 매우 짧아 어업에 의해 포획된 개체의 경우 위 안에 소화가 안된 먹이를 발견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대게 및 홍게류와 함께 동해 심해 저서생태계 특성 이해를 위해 후포퇴-울릉분지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초대형 심해저서생물 (대게류의 잠재적 먹이원) 6종(귀꼴뚜기류, 물레고둥류, 집게류, 심해말미잘류, 빗살판불가사리, 살시빗살거미불가사리) 및 수산시장에서 구입한 동해산 심해새우류 (가시배 새우, 물렁가시붉은새우, 도화새우류) 3종 75개체 선별하여 습식무게, 각장, 각고, 측정 및 사진 촬영 후 동위원소 분석을 위한 근육조직 분리하고, 절제 되어 냉동보관된 근육시료로 각 시료중 3개체 선별하여 탄소, 질소 안정동위 원소비 분석하였다(그림 5-3-10).

- 120 -

[채집된 유용수산 자원인 대게, 홍게, 털게 각 개체 정보 및 위 내용물]

각 개체별 무게와 크기 요소를 종류별로 비교한 결과, 속초에서 채집된 홍게가 가장 무게가 많이 나갔으며, 죽변에서 실험용으로 채집된 대게 (주로 암컷)가 가장 가벼웠다(그림 5-39-)

홍게와 대게는 각 장, 각 폭, 집게발의 두께 역시 무게와 같은 구배를 보여서 죽변에서 실험용으로 채집된 대게가 가장 크기가 작았으며, 속초에서 구입한 홍게가 가장 큰 값을 보였다.

위 무게역시 같은 이유로 위 내용물 분석 결과, 전 개체에서 식별가능한 먹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 122 -

그림 5-3-9. 채집된 유용수산 자원인 대게, 홍게, 털게의 무게 및 크기 비교

그림 5-3-10. 분석에 사용된 유용수산자원의 잠재적 먹이원인 대형저서생물의 각 개체별 무게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