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 장
4. 퇴적물내 식물플랑크톤 군집 조사
- 102 -
ST04에서 규조강은 100m에서 5.0%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고, 1000m, B.D.에서 각각 72.7, 82.4%로 높게 나타났고, 와편모조강은 100m에서 45.0%의 높은 분포로 나타났다. 침편모조강은 B.D.를 제외한 전체 수심에서 11.5~57.4%의 분포를 보였다.
ST05에서 규조강은 200, 300m에서 각각 77.8, 80.0%로 높은 분포를 나타내고, 와편모조강은 표층에서 200m까지에서 6.1~35.9%의 분포를 보였으며, 500m 이상의 수심에서는 25.0~100%의 분포로 나타났다. 침편모조강은 표층에서 100m까지 8.7~29.4%로 낮은 비율로 분포하였고, 300m와 1250m에서 각각 20.0, 11.0%로 나타났다.
울릉분지인 EC-trap의 군집구조를 살펴보면, 규조강은 전체 수심에서 0.0~35.6%의 분포를 보였고 100m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 와편모조강은 표층에서 200m까지 11.2~26.2%의 분포를 나타냈고, 500m, 1250m, B.D.에서 각각 21.1%, 37.5%, 50.0%로 관찰됨. 침편모조강은 100m와 2000m 이상의 수심을 제외한 정점에서 35.0~7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났다..
ST02, ST03, ST04, ST05, EC-trap은 ST01과는 다른 분포를 보였다. 후포뱅크 내쪽의 ST01은 모든 수심에서 규조강이 50.0% 이상의 분포를 보였지만, 후포 뱅크 외쪽 정점들은 규조강, 와편모조강, 침편모조강, Others가 고른 분포를 나타냈다.
3cm에서는 1.04x105 cells g-1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고, 4cm에서는 1.60x105 cells g-1, 5cm에서는 3.44x105 cells g-1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ST03에서는 1cm에서는 3.02x105 cells g-1, 2cm에서는 3.20x105 cells g-1, 3cm에서는 5.43x105 cells g-1, 4cm에서는 2.28x105 cells g-1, 5cm에서는 3.57x105 cells g-1의 분포를 보였다.
ST04에서는 1cm에서는 5.16x105 cells g-1, 2cm에서는 8.19x105 cells g-1, 3cm에서는 2.22x105 cells g-1, 4cm에서는 1.28x105 cells g-1, 5cm에서는 8.33x105 cells g-1의 분포를 보였다.
그림 5-2-4. 후포뱅크-울릉분지 퇴적물 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A) ST01, B) ST02, C) ST03, D) ST04, E) EC-trap]
- 104 -
울릉분지인 EC-trap에서는 1cm에서는 4.42x105 cells g-1, 2cm에서는 4.09x105 cells g-1, 3cm에서는 3.32x105 cells g-1, 4cm에서는 3.42x105 cells g-1, 5cm에서는 2.28x105 cells g-1의 분포를 보였고, 표층인 1cm에서 가장 많은 현존량을 보였고, 가장 깊은 5cm에서 가장 적은 현존량을 보였다.
표영생태계와 퇴적물 내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을 비교하면, ST04에서 표영 생태계·퇴적물에서 모두 높은 현존량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4년 5월 후포뱅크 ST01의 깊이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은 16~19 종으로 확인되었고, 5cm를 제외한 모든 깊이에서 제1 우점종은
Paralia sulcata
로 나타났으며, 5cm에서는Fragilaria cylindrus
가 제1 우점종으로 나타났음.ST02의 깊이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은 13~19 종으로 확인됨. 1cm에서는
Fragilaria cylindrus
가 제1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2cm, 3cm, 5cm에서는Paralia sulcata
가 제1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4cm에서는Thalassiosira
sp.가 제 1 우점종으로 나타났다.ST03에서의 깊이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은 14~18 종으로 확인되고, 각 깊이별 제1 우점종을 살펴보면, 1cm, 3cm, 4cm에서는
Paralia sulcata
로 분석되었으며, 2cm에서는Thalassiosira
sp., 5cm에서는Fragilaria cylindrus
로 분석되었다.ST04의 깊이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은 16~20 종으로 확인되었다. 1~5cm 모든 깊이에서 제 1 우점종은
Fragilaria cylindrus
으로 나타났음.울릉분지인 EC-trap에서의 깊이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은 8~18 종으로 확인 되었다. 3cm를 제외한 모든 깊이에서
Thalassiosira
sp.가 제 1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3cm에서는Fragilaria cylindrus
가 제1 우점종으로 나타났다.모든 정점의 퇴적물 내 식물플랑크톤은 규조강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 ST01~03의 제1 우점종으로 출현한
Paralia sulcata
는 저서성이며 수괴의 혼합으로 부유하는 종으로 낮은 광도, 수온, 염분에 대한 내성이 강한종으로 알려져 있다(Werner 1977). ST01 5cm, ST02 1cm, ST03 5cm, ST04의 전체 깊이, EC-trap 3cm에서 제1 우점종으로 나타난Fragilaria cylindrus
는 Taylor 등 (1997)의 퇴적물 내 규조류 분포 연구에 따르면, 세포가 작고 규조각이 약하지만 표영생태계에서 현존량이 높아 퇴적물 내에서 역시 현존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Station Depth 1st % 2st % 3st %
ST01
1cm Paralia sulcata 29.5% Unidentified (pennate) 15.8%Thalassiosira sp. 11.6%
2cm Paralia sulcata 40.8%Thalassiosira sp. 15.8% Unidentified (round) 9.9%
3cm Paralia sulcata 39.2%Thalassiosira sp. 23.8% Unidentified (round) 9.7%
4cm Paralia sulcata 24.6% Unidentified (round) 18.4%Thalassiosira sp. 17.5%
5cm Fragilaria cylindrus 23.5%Paralia sulcata 21.2%Thalassiosira sp. 18.8%
ST02
1cm Fragilaria cylindrus 18.6%Thalassiosira sp. 16.9%Paralia sulcata 11.9%
2cm Paralia sulcata 17.8%Fragilaria cylindrus 16.8%Thalassiosira sp. 13.9%
3cm Paralia sulcata 25.3% Thalassiosira sp. 18.4%Fragilaria cylindrus 16.1%
4cm Thalassiosira sp. 32.6%Paralia sulcata 22.5%Fragilaria sp. 12.3%
5cm Paralia sulcata 18.8%Thalassiosira sp. 17.4%Fragilaria cylindrus 15.9%
ST03
1cm Paralia sulcata 21.1%Thalassiosira sp. 18.4%Fragilaria cylindrus 17.5%
2cm Thalassiosira sp. 20.0%Fragilaria cylindrus 11.1%Fragilaria sp. 11.1%
3cm Paralia sulcata 34.6%Fragilaria cylindrus 16.2%Thalassiosira sp. 13.1%
4cm Paralia sulcata 30.5%Fragilaria cylindrus 22.1%Thalassiosira sp. 18.9%
5cm Fragilaria cylindrus 25.6%Paralia sulcata 20.9%Thalassiosira sp. 16.3%
ST04
1cm Fragilaria cylindrus 41.4%Paralia sulcata 18.4%Thalassiosira sp. 10.3%
2cm Fragilaria cylindrus 47.5%Thalassiosira sp. 8.5% Dictyocha fibula 5.1%
3cm Fragilaria cylindrus 28.9%Thalassiosira sp. 22.1%Paralia sulcata 9.4%
4cm Fragilaria cylindrus 32.1%Thalassiosira sp. 24.7%Paralia sulcata 14.2%
5cm Fragilaria cylindrus 20.4%Thalassiosira sp. 18.3% Unidentified (round) 10.8%
EC01
1cm Thalassiosira sp. 23.4%Fragilaria cylindrus 15.6% Unidentified (round) 14.1%
2cm Thalassiosira sp. 21.1%Fragilaria cylindrus 15.8%Paralia sulcata 15.8%
3cm Fragilaria cylindrus 29.7%Dictyocha fibula 13.5%Nitzschia sp1 13.5%
4cm Thalassiosira sp. 23.3%Fragilaria cylindrus 18.3%Paralia sulcata 16.7%
5cm Thalassiosira sp. 36.4%Fragilaria cylindrus 21.2%Tabularia fasciculata 15.2%
[5월 후포뱅크-울릉분지 퇴적물 내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 106 -
그림 5-2-5. 후포뱅크-울릉분지 퇴적물 내 중심규조류1; A)
Actynoptychus
senarius
, B) A.splendens
, C)Asteromphalus flabellatus
, D)Bacteriasturm elegans
, E) B.hyalinum
, F)Chaetoceros affinis
, G)Coscinodiscus centralis
, H) C.antiquus
, I) C.decrescens
, L) C.lineatus
그림 5-2-6. 후포뱅크-울릉분지 퇴적물 내 중심규조류2; A)
Cyclotella sp.
, B)Dictylum sp.
C)Odontella sp.
, D)Paralia sulcata
, E)Rhizosolenia calcar-avis
, F)Rh. styliformis
, G, H, I, J, K, L)Thalassiosira spp.
]- 108 -
그림 5-2-7. 후포뱅크-울릉분지 퇴적물 내 우상규조류; A)
Achnanthes coarctata
, B)Amphora holsatica
, C)Cymbella minuta
, D) C.entricosa
, E)Diploneis rouhialensis
, F) D.bombus
, G)Diploneis
sp1
, H)Diploneis sp2
, I)Grammatophora angulosa
, J)Fragilaria
cylindrus
, K)Nitzschia solgensis
, L)N. intermedia
]그림 5-2-8. 후포뱅크-울릉분지 퇴적물 내 우상규조류 및 규질편모류; A)
Nitzschia lanceolata
, B)Pleurosigma sp.
, C)Synedra sp.
, D, E)Trachyneis aspera
, F)Dictyocah fibula
, G) D.speculum
, H) D.speculum var. octonarium
2014년 5월 후포뱅크 ST01, ST02, ST03, ST04 정점과 울릉분지 EC-trap 정점의 퇴적물을 채집하여 정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부분의 정점에서 규 조강(Bacillariophyceae)이 주로 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그림 5-2-5~8).
출현종은 중심규조류인
Actynoptychus senarius
,A. splendens, Asteromphalus flabellatus
,Bacteriasturm elegans, Coscinodiscus centralis
,C. antiquus
,C.
lineatus, Paralia sulcata
등이 나타나며 우상규조류는Achnanthes coarctata,
Amphora holsatica, Trachyneis aspera
등이 출현하였고, 규질편모조류인Dictyocha fibula, D. speculum, D. speculum
var.octonarius
가 출현하였다.- 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