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용체계 마련
3. 심해 해양생물 자원 뱅크 구축
동해 심해 해양생물자원 뱅크를 구축하기 위하여 자료관리 설계 및 GIS 기반 데이터 모델 및 심해환경 및 생물을 DB화를 시도하였으나 1차년도 평가 결과 연구내용 축소로 중단되어 본 보고서에는 1차년도에 개발한 것까지만 기록하여 남겨두었다
- 144 -
가. 동해 심해 자료관리 기본 설계
[자료관리 항목 선정 및 기초관리 설계]
동해 심해 해양자료 관리항목으로 해수환경정보, 서식생물정보, 해저환경 정보 기본해양지리정보로 분류하고 각 항목별 속성정보를 아래와 같이 선정 하였다.
구분 항목 속성
해수환경정보 물리 및 화학적 요소
해류, 수온, 염분, 밀도, Par, 엽록소, 용 존산소, 영양염, TCO2, 금속성분, 유기물 서식생물정보 저서‧간극‧부유생
물 출현종, 개체수
해저환경정보 해저지형, 퇴적물 DGPS, 수심, 입도, 영양염, 금속성분
공통정보 조사정점도 위도, 경도
기본해양지리
정보 해안선, 등심선 공간정보, 수심 [연구해역 자료관리 항목]
GIS 기반에 동해 심해 해양자료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는 방안으로 다음표와 같이 자료표준화 설계, 관리 모델 설계, 분석 모델 설계, 테이블 설계, 레이어 설계를 수행하였다.
구분 내용
자료표준화 설계
조사자료의 수집‧분류를 통하여 구조화를 위한 자료의 표 준화 설계
관리 모델
설계 위치정보 기반의 속성정보 연계를 위한 데이터 모델 설계 분석 모델
설계 다양한 주제별 분석 및 평가를 위한 데이터 모델 설계 테이블 설계 자료저장을 위한 필드항목 및 규격, 관계성 등 설계 레이어 설계 GIS 데이터 특성을 갖는 데이터셋과 피쳐클래스의 설계 [GIS 기반 데이터 모델 설계]
동해 심해 해양자료는 ArcGIS의 Common Marine Data Model을 적용하여 연구해역에서 조사된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그림 6-1-10와 같이 데이터 모델 을 설계하고, 각 속성은 데이터셋 별로 GIS 피쳐 유형인 점(point), 선(line), 면(polygon), 래스트(raster)로 객체 클래스(feature classes)로 정의함.
그림 6-1-10. 동해 심해 해양자료 데이터 모델
- 146 -
나. 심해 환경/생물정보 DB화
동해 심해환경 및 생물자료의 DB는 설계한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물리 환경, 해수화학환경, 대형저서생물, 중형저서생물, 부유생물, 해저지형, 퇴적물 데이터셋을 정의하였고, 각각의 데이터셋에는 관리항목에서 선정한 속성정보를 객체클래스로 생성하여 ArcGIS의 Personal Geodatabase로 구축하였다(그림 6-1-11).
그림 6-1-11. 동해 심해 해양자료의 데이터셋과 테이블
동해 심해 해양자료의 DB 구축을 위해 기존 울릉분지 및 심해연구에 대한 문헌조사를 수행하고, 문헌조사를 통한 동해 울릉분지 또는 심해에 대한 연구 사례가 부족한 실정이었으며, 수행된 연구분야로는 지질/지구물리, 해양물리, 해양화학 분야 순으로 나타났다.
문헌조사로 울릉분지 또는 심해 대한 관측 데이터를 취득하기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동해 울릉분지 주변에 수행된 조사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조사 정점도를 디지타이징하여 DB로 구축하였다(그림 6-1-12).
연구분야 연구내용
지질/지구물 리
- turbidites-debrites identified from Chirp
- 울릉분지 가스하이드레이트 지질, 지화학 및 안정성 연구 - 울릉도와 독도 주변 지체구조
- 울릉분지 고환경과 화산활동 연구, 한러 조사단의 탄성파, 중력, 코어링
- 제4기 퇴적물 유기물 기원, 지화학
- 돌고래 시추공, 층서, 지질, 고퇴적환경, 지구조 - 망간산화물, 철산화물의 유기물 분해 기여율 - 울릉분지 지구조 및 성인, 중력, 자력이상, 탄성파 - 가스하이드레이트 함유 퇴적물
- 울릉분지 남서부 단층구조 분포 - 제4기 탄성파 층서 및 퇴적역사
- 동해남부해역과 울릉분지 퇴적상, 주상퇴적물, 표층퇴적물 - 가스하이드레이트 탐사
생물
- 동해 독도 주변 대형저서동물 군집 연구
- 물리, 화학적 외압에 의한 플랑크톤 군집 반응, CTD, 영양염, 플랑 크톤 조사
물리
- 울릉분지 물리적 특성, 동해 중층수
- ARGO자료를 이용한 울릉분지 및 독도 주변 해황 변동성 - 울릉분지 해저경계면 용존산소
- 동해 중남부 수괴분포 및 화학적 특성 연구를 위한 CTD, 무기영 양염 조사
- 와류가 영양염, 엽록소에 미치는 영향, CTD, 영양염, 엽록소 관찰 화학 - 이산화탄소 저장 탐색
[문헌조사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