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표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25세 이하는 평균 3.12(SD=.79), 26세~29세는 평균 3.40(SD=.77), 30세~34세는 평균 3.25(SD=.80), 35세 이상은 평균 3.42(SD=.66)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35세 이 상이 가장 높고 그다음으로 26세~29세, 30세~34세, 25세 이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평균 및 표준편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ANOVA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교사의 최종학력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2~3년제 대학 졸업 이하는 평균 3.31(SD=.72),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은 평균 3.30(SD=.82)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 의 직무스트레스는 2~3년제 대학 졸업 이하,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순으로 높게 났으며, 이와 같은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t-test를 실 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아교사의 최종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유치원은 평균 3.29(SD=.79), 어린이집은 평균 3.32(SD=.76)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어린이집

N 평균 표준편차 F/t

교사경력

5년 미만 83 3.25 .77

.54 5년~7년 미만 61 3.39 .71

7년 이상 86 3.31 .81

합계 230 3.31 .77

담당 연령

만 3세 104 3.28 .81

1.96

만 4세 77 3.44 .69

만 5세 49 3.17 .78

합계 230 3.29 .77

이 유치원보다는 높았으며,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아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유형에 따라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교사의 교사경력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5년 미만은 평균 3.25(SD=.77), 5년~7 년 미만은 평균 3.39(SD=.71), 7년 이상은 평균 3.31(SD=.81)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 사의 직무스트레스는 5년~7년 미만이 가장 높고, 7년 이상, 5년 미만 순으로 나타났 으며, 이와 같은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ANOVA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아교사의 교사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교사의 담당연령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만 3세는 평균 3.28(SD=.81), 만 4세는 평균 3.44(SD=.69), 만 5세는 평균 3.17(SD=.78)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직무스트 레스는 만 4세가 가장 높고, 만 3세, 만 5세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평균의 차 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ANOVA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 스는 유아교사가 담당하는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유아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교수몰입의 차이는 어떠한가?

유아교사의 개인변인(연령, 최종학력, 기관유형, 교사경력, 담당연령)에 따른 교수몰 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살펴보고, 평균 및 표준편차 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t-test,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9>와 같다.

<표 9> 유아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교수몰입의 차이 (N=230)

N 평균 표준편차 F/t

연령

25세 이하 43 3.68 .51

.63 26세~29세 75 3.62 .51

30세~34세 66 3.69 .46

35세 이상 46 3.58 .38

합계 230 3.65 .47

<표 9>에 나타난 것과 같이, 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른 교수몰입은 25세 이하는 평균 3.68(SD=.51), 26세~29세는 평균 3.62(SD=.51), 30세~34세는 평균 3.69(SD=.46), 35세 이상은 평균 3.58(SD=.38)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은 30세~34세가 가장 높고, 그다음으로 25세 이하, 26세~29세, 35세 이상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평 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ANOVA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수

N 평균 표준편차 F/t

최종학력

2~3년제 대학 졸업 이하 121 3.62 .45

-0.88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109 3.68 .49

기관 유형

유치원 86 3.67 .48

.46

어린이집 144 3.64 .47

교사경력

5년 미만 83 3.59 .53

1.02 5년~7년 미만 61 3.65 .42

7년 이상 86 3.70 .44

합계 230 3.65 .47

담당 연령

만 3세 104 3.65 .49

.31

만 4세 77 3.66 .45

만 5세 49 3.60 .47

합계 230 3.65 .47

몰입은 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교사의 최종학력에 따른 교수몰입은 2~3년제 대학 졸업 이하는 평균 3.62(SD=.45),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은 평균 3.68(SD=.49)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 의 교수몰입은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2~3년제 대학 졸업 이하 순으로 높게 났으 며, 이와 같은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교수몰입은 유아교사의 최종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유형에 따른 교수몰입은 유치원은 평균 3.66(SD=.48), 어 린이집은 평균 3.64(SD=.47)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은 유치원이 어린이 집보다 높았으며,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t-test를 실시 한 결과 기관유형에 따른 교수몰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교사의 교사경력에 따른 교수몰입은 5년 미만은 평균 3.59(SD=.53), 5년~7년 미만은 평균 3.65(SD=.42), 7년 이상은 평균 3.70(SD=.44)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은 7년 이상이 가장 높고, 5년~7년 미만, 5년 미만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ANOVA분석을 실시한 결 과, 교수몰입은 유아교사의 교사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다.

유아교사의 담당연령에 따른 교수몰입은 만 3세는 평균 3.65(SD=.49), 만 4세는 평 균 3.66(SD=.45), 만 5세는 평균 3.60(SD=.47)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은 만 4세가 가장 높고, 만 3세, 만 5세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평균의 차이가 통 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ANOVA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교사가 담당하 는 연령에 따른 교수몰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유아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가?

유아교사의 개인변인(연령, 최종학력, 기관유형, 교사경력, 담당연령)에 따른 교사-유 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살펴보고, 평균 및 표준편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t-test, ANOVA 분석을 실 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10>과 같다.

<표 10> 유아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N=230)

N 평균 표준편차 F/t

연령

25세 이하 43 3.90 .66

2.28 26세~29세 75 3.74 .71

30세~34세 66 3.91 .54

35세 이상 46 3.63 .63

합계 230 3.80 .64

최종학력

2~3년제 대학 졸업 이하 121 3.81 .55

.49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109 3.77 .74

기관 유형

유치원 86 3.85 .61

1.03

어린이집 144 3.76 .66

교사경력

5년 미만 83 3.82 .70

.08 5년~7년 미만 61 3.81 .60

7년 이상 86 3.77 .62

합계 230 3.80 .64

담당 연령

만 3세 104 3.82 .63

.15

만 4세 77 3.76 .61

만 5세 49 3.80 .72

합계 230 3.80 .64

<표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25세 이하는 평균 3.90(SD=.66), 26세~29세는 평균 3.74(SD=.71), 30세~34세는 평균 3.91(SD=.54), 35세 이상은 평균 3.63(SD=.63)로 나타났다. 즉,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30세~34세가 가장 높고, 그다음으로 25세 이하, 26세~29세, 35세 이상순으로 나타났 으며, 이와 같은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ANOVA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교사의 최종학력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2~3년제 대학 졸업 이하는 평 균 3.81(SD=.55),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은 평균 3.77(SD=.74)로 나타났다. 즉, 교사- 유아 상호작용은 2~3년제 대학 졸업 이하,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순으로 높게 났 으며, 이와 같은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t-test를 실시 한 결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교사의 최종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유형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치원은 평균 3.85(SD=.61), 어린이집은 평균 3.76(SD=.66)로 나타났다. 즉,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치원이 어린이집보다 높았으며,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 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유형에 따 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교사의 교사경력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5년 미만은 평균 3.82(SD=.70), 5년~7년 미만은 평균 3.81(SD=.60), 7년 이상은 평균 3.77(SD=.62)로 나타났다. 즉,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5년 미만이 가장 높고, 5~7년 미만, 7년 이상 순으로 나타났으 며, 이와 같은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ANOVA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교사의 교사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교사의 담당연령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만 3세는 평균 3.82(SD=.63), 만 4세는 평균 3.76(SD=.61), 만 5세는 평균 3.80(SD=.72)로 나타났다. 즉, 교사-유아 상 호작용은 만 3세가 가장 높고, 만 5세, 만 4세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ANOVA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유 아 상호작용은 유아교사가 담당하는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수몰입,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수몰입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전에 먼저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상관분석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11>과 같다.

<표 11>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표 11>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r=-.39, 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직무스트레스 전체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정서적 상호작용(r=-.35, p<.01), 언어적 상호작용(r=-.39, p<.01), 행동적 상호작용 (r=-.38, p<.01)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원장과의 관계는 정서적 상호작용(r=-.41, p<.01), 언어적 상호작용(r=-.43, p<.01), 행동적 상호작용(r=-.41, p<.01),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체(r=-.44, p<.01)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교사-유아 상호작용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체)

직 무 스 트 레 스

원장과의 관계 -.41** -.43** -.41** -.44**

교육 및 사무 -.13* -.17** -.17** -.17*

동료와의 관계 -.39** -.43** -.45** -.44**

학부모와의 관계 -.17** -.22** -.21** -.21**

직무스트레스(전체) -.35** -.39** -.38** -.39**

*

p<.05,

**

p<.01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