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직무스 트레스와 교수몰입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U시에 소 재한 유치원,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 23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고, 유아교사의 개 인변인은 <표 4>와 같다.
<표 4> 유아교사의 개인변인 (N=230)
구분 빈도 퍼센트
연령
25세 이하 43 18.7
26세~29세 75 32.6
30세~34세 66 28.7
35세 이상 46 20.0
합계 230 100.0
최종학력
2~3년제 대학 졸업 이하 121 52.6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109 47.4
합계 230 100.0
기관유형
유치원 86 37.4
어린이집 144 62.6
합계 230 100.0
<표 4>에 제시된 것과 같이 연구 대상인 유아교사의 연령에서는 25세 이하가 43명 (18.7%), 26세~29세가 75명(32.6%), 30세~34세가 66명(28.7%), 35세 이상이 46명 (20.0%)으로 26세~29세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유아교사의 최종학력은 2년~3년제 대학 졸업 이하가 121명(52.6%),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이 109명(47.4%) 으로 나타나, 최종학력의 비율은 2~3년제 대학 졸업 이하,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관 유형은 유치원 86명(37.4%), 어린이집 144명(62.6%)으로 어린이집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경력은 5년 미만이 83명(36.1%), 5년~7년 미만이 61명 (26.5%). 7년 이상이 86명(37.4%)으로 교사경력은 7년 이상이 제일 많고, 5년 미만, 5 년~7년 미만 순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유아교사의 담당연령을 살펴보면, 만 3세 104명(45.2%), 만 4세 77명(33.5%), 만 5세 49명(21.3%)으로 만 3세 담당 유아교사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는 만 4세, 만 5세 순으로 많았다.
구분 빈도 퍼센트
교사경력
5년 미만 83 36.1
5년~7년 미만 61 26.5
7년 이상 86 37.4
합계 230 100.0
담당연령
만 3세 104 45.2
만 4세 77 33.5
만 5세 49 21.3
합계 230 100.0
2. 연구도구
1)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D'Arienzo, Morraco와 Krajewski(1982)의 교사 직무스트레스 질문지(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 그리고 김정휘(1992)의 교사 척도를 참고로 보육교사에게 적합 하도록 제작한 신혜영(2004)의 도구를 토대로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4개의 하위요인 원장과의 관계(11문항), 교육 및 사무(8문항), 동료와의 관계(5문항), 학부모와의 관계(3문항)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Likert식의 5단계 평정 척도로 채점 방법은 ‘전혀 그렇지 않다’는 1점, ‘그 렇지 않다’는 2점, ‘보통이다’는 3점, ‘그렇다’는 4점, ‘매우 그렇다’는 5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5>에서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를 제시하였으 며,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Cronbach‘s
⍺
값을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 레스를 측정하는 27문항의 전체 신뢰도는 .79이며, 하위요인별로 원장과의 관계 11문 항의 신뢰도는 .69, 교육 및 사무 8문항의 신뢰도는 .69, 동료와의 관계 5문항의 신뢰 도는 .75, 학부모와의 관계 3문항의 신뢰도는 .79로 나타났다.<표 5>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 번호 문항 수 Cronbach‘s
⍺
원장과의 관계 9, 10, 11, 13, 14,16, 18, 19, 20, 22, 27 11 .69 교육 및 사무 2, 4, 5, 7, 8, 15, 23, 26 8 .69 동료와의 관계 3, 6, 12, 21, 24 5 .75
학부모와의 관계 1, 17, 25 3 .79
전체 27 .79
2) 교수몰입 측정도구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 측정을 위하여 송주연(2014)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교사 가 경험하는 몰입상황을 반영하여 개발하고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도구로서 유아교사의 몰입연구(김다은, 2019; 전윤희, 2018)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척도는 7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체적 계획(5문항), 반응(3문항), 조절(3문항), 도전 (3문항), 자연스러운 수행(15문항), 집중(4문항), 내적 동기(12문항) 총 45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Likert식의 5단계 평정 척도로 채점 방법은 ‘전혀 그렇지 않다’는 1점, ‘그 렇지 않다’는 2점, ‘보통이다’는 3점, ‘그렇다’는 4점, ‘매우 그렇다’는 5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교수몰입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6>에서 교수몰입 측정도구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를 제시하였으며,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Cronbach‘s
⍺
값을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몰입도 를 측정하는 45문항의 전체 신뢰도는 .77이며, 하위요인별로 구체적 계획 5문항의 신 뢰도는 .74, 반응 3문항의 신뢰도는 .77, 조절 3문항의 신뢰도는 .76, 도전 3문항의 신 뢰도는 .75, 자연스러운 수행 15문항의 신뢰도는 .71, 집중 4문항의 신뢰도는 .73, 내적 동기 12문항의 신뢰도는 .71로 나타났다.<표 6> 교수몰입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 번호 문항 수 Cronbach‘s
⍺
구체적 계획 1, 2, 3, 4, 5 5 .74
반응 6, 7, 8 3 .77
조절 9, 10, 11 3 .76
도전 12, 13, 14 3 .75
자연스러운 수행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15 .71
집중 30, 31, 32, 33 4 .73
내적 동기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12 .71
전체 45 .77
3) 교사-유아 상호작용 측정도구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APECP 평가척도(1987), NCAC(1993), 유아 교육프로그램척도(1996), 한국교육개발원평가기준(2000)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측정 문항을 추출하여 이정숙(2003)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3개 하위요인으로 정서적 상호작용(10문항), 언어적 상호작용(10문항), 행 동적 상호작용(10문항)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Likert식의 5단계 평정 척도로 채점 방법은 ‘전혀 그렇지 않다’는 1점, ‘그 렇지 않다’는 2점, ‘보통이다’는 3점, ‘그렇다’는 4점, ‘매우 그렇다’는 5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은 수준임을 의미한다.
<표 7>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측정도구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를 제시 하였으며,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Cronbach‘s
⍺
값을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 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30문항의 전체 신뢰도는 .95이며, 하위요인별로는 정서 적 상호작용 10문항의 신뢰도는 .93, 언어적 상호작용 10문항의 신뢰도는 .92, 행동적 상호작용 10문항의 신뢰도는 .93으로 나타났다.<표 7> 교사-유아 상호작용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Cronbach‘s
⍺
정서적 상호작용 1, 6, 8, 10, 15, 17, 19, 24, 26, 28 10 .93 언어적 상호작용 2, 4, 9, 11, 13, 18, 20, 22, 27, 29 10 .92 행동적 상호작용 3, 5, 7, 12, 14, 16, 21, 23, 25, 30 10 .93
전체 30 .95
3. 연구절차
1) 예비조사
본 연구를 시작하기 이전에 연구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설문지 작성 소요 시간 및 각 문항의 적절성 등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U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유치원 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9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13일부터 16일까지 예비조사를 하 였다. 29명의 유아교사에게 설문 문항이 이해되지 않거나 애매한 문항, 내용의 의미전 달이 적절하지 못한 문항, 수정이 필요한 사항 등 응답자의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고 최종적으로 아동학 전문가 2인에게 검토를 의뢰하여 수정·보완 작업을 통하여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2) 본조사
본 연구를 위해 U시에 소속된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기관장에게 연락하여 연구목적 에 대한 안내 및 동의를 구하였고 동의한 유아교육 기관의 재직 중인 유아교사 250명 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20년 7월 20일부터 8월 11일까지 유아교육 기 관 원장 또는 교사에게 직접 설문 QR코드를 전송하여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를 이용 해 설문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총 250부를 전송받았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 지 20부를 제외하고 23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수몰입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개인변인에 따른 변인들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t-test) 과 F검증 (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전체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P earson’s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넷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수몰입이 교사- 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