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윤리활동지원사업

Dalam dokumen 2018년 - 인문사회분야 학술 (Halaman 131-137)

I. 인문사회분야

3. 연구윤리활동지원사업

가 사업 개요

사업 목적

ㅇ 연구윤리 교육 지원, 교재 제작·보급을 통해 연구자의 연구윤리 의식을 고양하고 범국민 연구윤리 의식 확립

ㅇ 연구윤리 현황 파악 및 제도개선을 추진하여 대학 등 학계의 연구 윤리 확립 도모

지원근거 및 추진경과 ㅇ 지원근거

- 「학술진흥법」

제15조

(연구윤리의 확보)

및 동법 시행령 제16조

(연구

윤리 확보를 위한 지원)

및 제17조

(대학 등의 조치)

※ 학술진흥법 제15조 ① 교육부장관은 학술진흥을 방해하는 연구자의 연구 부정행위를 방지하고 건전한 학술연구의 기풍이 조성될 수 있도록 연구 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이하 "연구윤리지침"이라 한다)을 마련하는 등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시책을 세우고 추진하여야 한다.

ㅇ 추진경과

- (’07) 「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

제정

- (’09) 「

1

차 연구윤리 확립 종합 추진계획

(’10∼’12)」

수립

- (’10)

과학기술분야 연구윤리 확립 법적 근거 마련

(

과학기술기본법 개정

)

- (’11∼’12) 「

학술진흥법

및 동법 시행령 전부 개정

(

연구윤리 조항 신설

)

- (’15)

사이버 연구윤리 교육 시스템 오픈

,

「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 」 개정

- (’16)

사이버 연구윤리교육 연구책임자

,

공동연구원 의무 이수화

- (’17)

연구윤리 교육

(온/오프라인)

지속 확대 추진

2018

년 사업내용

과제명 사업내용 수행기관 지원규모

대학 연구윤리 의식 강화를 위한 중장기 계획

∙대학 연구윤리 의식 강화를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 - -

학문분야별 가이드라인 마련 및 포럼 개최

∙학문분야별 자율적 연구윤리 가이드라인 마련 및 포럼을 통한 공유·홍보

공모*

(5개내외) 50백만원 방문형·집합형

연구윤리 교육(오프라인)

∙교원, 연구원, 대학(원)생 등 교육 대상

맞춤형 연구윤리 강좌 운영 국가과학

기술인력 개발원**

200백만원 사이버 연구윤리 교육

실시 및 시스템 운영

∙사이버 연구윤리 교육 콘텐츠의 품질

제고 및 교육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 215백만원 연구윤리 정보 제공 및

인식 확산 활동 지원

∙연구윤리정보센터 운영, 연구윤리 콘텐츠

(교재,동영상등) 개발, 상담·자문 등 서울교대** 230백만원 연구윤리 조사·연구 ∙국내 연구윤리활동 실태 및 인식 조사연구재단 10백만원 * 공모를 통해 학문분야별 학회 선정(5개내외,40백만원) 및 포럼 개최(연구재단, 10백만원) ** 2017년 다년도 공모(3년, ∼’20.3월까지)로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및 서울교대 선정·지원 ※ 수행기관 및 지원규모는 향후 일부 조정될 수 있음

2017

년 사업 추진 실적

구분 추진실적 교육 프로그램 제공

수요자 맞춤형 연구윤리 교육

․교육실시(51회)

․교육수료(4,747명)(11.28.기준)

․대상별(대학(원)생,교수,전문강사 양성) 연구윤리 교육

사이버 연구윤리 교육 ․교육실시(상시),

․교육수료(22,199명)(11.28.기준)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원, 대학(원)생 대상 사이버 연구윤리 교육(이공/

인문사회계) 제공 연구윤리 정보 제공 및

인식 확산

․교육콘텐츠 제공(5,076건)

․자문/상담(525건)

․연구윤리 관련 동향, 규정, 책자 등 제공

연구윤리 포럼 ․포럼 개최(1회)

․포럼 참가(353명) ․미래산업사회와 연구윤리 국내 연구윤리 활동

실태 조사

․연구부정행위 유형 등 현황 조사(대상 199개교, 응답 184개교)

기대효과

ㅇ 연구윤리 교육 및 관련 정보 제공 등을 통해 대학 등 학계에 올바른 연구윤리 인식 확산

ㅇ 새 정부의 국정기조를 반영하여 연구윤리 인식 제고 등을 통한

건전한 연구문화 조성 지원

나 2018년 사업계획

◇ 대학 연구윤리 인식 제고를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을 통한 장기적

이고 체계적인 연구윤리 정책 추진 방향 제시 및 학문분야별 가이드라인 마련을 통해 학문분야별 세부 기준 정립·공유

연구윤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사이버 연구윤리 교육 의무 이수 및 교육 대상별 수요자 맞춤형 연구윤리 교육 지원

연구윤리 기준 마련 및 확산

(

종합계획 수립

)

대학의 연구윤리 확립을 위한 「대학 연구윤리 인식 제고를 위한 중장기 계획」

(5)

수립하여 체계적인 연구윤리 지원 방향 마련

※ 연구부정행위의 범위, 연구부정행위 제재조치의 기준 마련, 연구윤리 인식 제고를 위한 지원 방안 등 마련

(가이드라인 마련)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의약학 등

학문분야별 특성을 반영한 연구윤리 가이드라인

*

마련

(5개내외 학회 × 8백만원 내외, 40백만원)

* 공모를 통해 학문분야별 학회 선정(5개내외)으로, 논문 투고 및 게재기준, 표절 및 중복게재 등 연구부정행위 유형, 검증 및 판정에 대한 절차․기준 등 포함

(포럼개최)

수립된 분야별 가이드라인을 연구윤리 포럼 개최를

통해 전 학문분야 공유 및 홍보·안내

(10백만원)

-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윤리 인식제고 및 다양한 학문분야 연구자들

간의 토론의 장 마련

방문형

·

집합형

(오프라인)

연구윤리 교육

ㅇ 교육 대상·분야별 맞춤형 연구윤리 교육을 통해 질적 심화 제고

- (

방문형 교육

)

대학 내 교수

,

대학

(

)

생 및 인문사회 연구기관 내

연구원 대상 찾아가는 연구윤리 교육

*

제공

(약45개,4,350명 목표, 155백만원)

* 대학(약40개교×3백만원, 120백만원) 및 연구기관(약5기관×3백만원, 15백만원) 대상 방문형 연구윤리 교육 실시

- (집합형 교육)

대학 및 연구기관 내 연구윤리 관련 업무 수행능력

제고를 위해 연구윤리위원회 실무자 대상 교육 제공

(약4회,80명 목표, 35백만원)

- (전문강사양성)

연구윤리 전문지식 및 교수법까지 포함한 전문강사

양성 교육과정으로 지속적인 역량 개발 지원

(약2,30명 목표, 30백만원)

사이버 연구윤리

(온라인)

교육 확대 및 내실화

(콘텐츠 개발)

사이버 연구윤리 기본과정 이수자를 위한 심화과정

추가

*

개발

(4차시, 17백만원)

및 외국인 대학(

)*

대상 사이버 연구 윤리교육 콘텐츠 제작· 보급

(15차시, 45백만원)

* 이공/인문사회/예·체능 심화과정(각2차시) 개발 완료(’17) 및 학문분야별 추가 심화과정 신규 제작·보급(’18)

** 외국인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위한 사이버 연구윤리교육 콘텐츠 신규 제작으로 인적 구성의 다양화에 대비

(안정적 운영 지원)

사이버 연구윤리 교육 대상자 확대

*

와 이에

따른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 및 접근 편의성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 추진

(약 152백만원)

* 학술연구지원사업 대상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원의 교육 의무화 및 그 외 학생연구원 등 교육 권고에 따른 교육 이수증 발급, 콘텐츠 개선·보완 추진

연구윤리 정보제공 및 인식확산 활동

(

연구윤리정보센터 운영

)

연구윤리 포털사이트

(www.cre.or.kr)

를 통한 올바른 연구윤리 문화 조성

,

연구인식 확산 연구윤리 관련 정보제공

- (콘텐츠 제작)

수요자 맞춤형 교육용 동영상

(3여편)

및 연구윤리

교육교재, Q&A 자료집 제작· 보급

※ 동영상 제작(3여편, 50백만원), 책자등 제작(웨비나·인포그래픽·웹툰 10회, 16백만원),

(상담·자문)

연구윤리 고민에 대한 신속·정확한 온· 오프라인 상시 상담 제공

(평균 연400여건 질의)

※ 연구부정행위 해당여부, 연구부정 제보·검증 처리방법, 연구윤리 교육 강사·

조사위원 등 다양한 내용 질의

연구윤리 조사

·

연구

ㅇ 효과적인 연구윤리 정책 개발을 위한 대학 연구윤리활동 실태 및 인식조사 연구

(1종 × 10백만원)

다 세부추진 일정

일정 추진내용

1분기

▪’18년도 연구윤리활동지원사업 세부 시행계획(’18.1월)

▪학문분야별 가이드라인 마련 공고·선정(’18.2∼4월)

▪사이버 연구윤리교육 심화과정 보급(’18.3월) 2분기

▪수요자 맞춤형 연구윤리 교육 및 사이버 연구윤리 교육 연차평가(’18.4월)

▪연구윤리 조사·연구 개시(’18.5월)

▪대학 연구윤리 의식 강화를 위한 중장기 계획 발표(’18.6월) 3분기 ▪연구윤리 정보제공 및 인식확산 연차평가(’18.7월)

▪대학·연구기관 방문형 연구윤리 교육 실시(’18.7월∼) 4분기 ▪학문분야별 가이드라인 발표 및 포럼 개최(’18.10월)

▪2019년도 연구윤리활동지원사업 기획 ※ 일정은 향후 조정될 수 있음.

라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개)

사업명 2017년 실적 2018년 계획

연구윤리활동지원사업 730 705

Dalam dokumen 2018년 - 인문사회분야 학술 (Halaman 13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