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인문사회분야
2. 학술자원공동관리체계 구축
가 사업 개요
□
사업 목적
ㅇ 대학의 교육 · 연구 지원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역할 강화
ㅇ 학술자원 확보와 공동 활용 지원을 통한 학술연구 기반 구축 강화 및 대학 간 지식정보 격차 완화
ㅇ 인문사회분야 연구 성과의 대중화 및 후속 연구 활성화 지원
□
지원근거 및 추진경과 ㅇ 지원근거
- 「
학술진흥법
」제
14조
(학술정보의 축적 등)및 제
16조
(학술 성과의 활용)- 「
대학도서관진흥법
」-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2016~2018)」
ㅇ 추진경과
- (‘05)
외국학술지지원센터 기본계획 수립
- (‘07)
기초학문자료센터 정보시스템 구축
- (’08)
학술정보 통계시스템 구축
- (’10∼’12)
학위논문 공유기반 조성 및 대학간행물
DB구축
- (’13) RISS
해외DB 통합검색 서비스 오픈
- (’13)
외국학술지지원센터 1개 센터 추가 지정
(10개 센터 운영)- (’14)
제2차 대학도서관발전종합계획 수립
(2014∼2018)- (’15)
대학도서관진흥법 및 시행령 제정
인문사회연구성과 협력네트워크 구축
(64개 기관 연계
)- (’16)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
(‘16-’18)수립
- (’16)
기초학문자료센터
-해외학술
DB社(EBSCO, Ex-Libris)간
DB연계
- (‘17)
기초학문자료센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간 인문사회
연구성과 DB 연계
- (‘17) ’17년 대학도서관진흥 시행계획 수립
- (‘17)
학술
DB대학라이선스 확대 도입
(총 28종, 세계 3대 과학자료 Cell 신규 도입)□
사업내용
세부사업명 사업내용 지원규모
국가학술자원관리 및 공동 활용
▪국가학술관리체제 구축
▪외국학술지지원센터(FRIC) 운영
▪학술DB 대학라이선스 구독 지원
▪대학도서관 평가
84.82억원
기초학문자료센터 구축
▪연구성과물 수집 및 DB 구축
▪기초학문자료센터(KRM) 운영 5.16억원
□
사업 추진 성과
[ 국가학술자원 관리 및 공동활용 ]
ㅇ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2016~~2018)에 따른 `17년 시행계획 수립 ㅇ 대학도서관 여건 개선을 위한
‘17년 대학도서관 시범평가 실시및 대학도서관 평가시스템 개발
※ ’16년 평가에 따른 대학별 진단보고서 제공(393개교) 및 우수기관(6개) 표창
※ ’18년 평가지표 확정(40개) 및 대학 안내
ㅇ 대학도서관 학술자원 통계조사 실시 및 공동 활용
※ 학술정보통계시스템(www.rinfo.kr) 운영을 통해 대학도서관 현황조사·공개
※ 대학정보공시(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고등교육통계(한국교육개발원), 국가
도서관통계(문체부) 등 7개 기관
ㅇ 대학도서관 사서 직무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확대 · 운영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직무향상 교육 프로그램 13종 개발
ㅇ
10개 외국학술지지원센터*를 통한 주제 분야별 외국 인쇄학술지 총량 확충 및 대학도서관의 분담수서를 통한 예산절감 효과 확대
* 주제별로 지정된 10개 센터 운영을 지원(국가 50%, 센터 50%)하여 외국 인쇄 학술지를 구입, 연구자들에게 무료 복사서비스 제공
< 외국학술지지원센터 현황>
구 분 2016년 2017년 증감률
학술지종수(편수) 1,858만편 1,929만편 3.8% 증가 원문복사 서비스 41,023건 42,264건 3.0% 증가 예 산 절 감 효 과 99억원 135억원 36.4% 증가
ㅇ 학술
DB대학라이선스
*구독 확대를 통한 학술연구 기반 확충 및 학술자원 공동 활용 증대
* 핵심 학술DB 구독료를 국가에서 약 30%, 대학이 약 70%를 부담하여 국내 모든 연구자 이용(비구독기관 16:00~09:00)
< 학술DB 대학라이선스 현황 >
구 분 2016년 2017년 증감률(%)
도 입 종 수 27종 28종 3.7% 증가
※세계 3대 과학자료 CELL 도입
참 여 대 학 301기관 308기관 2.3% 증가
원문콘텐츠 구축 223만건 243만건 9.0% 증가
검 색 건 수 19,656만건 20,306만건 3.3% 증가 예산절감 효과 1,007억원 1,184억원 17.6% 증가
ㅇ 학술정보 콘텐츠를 활용한 학술관계분석서비스
(Scholar relation Analysis Map, SAM)제공 등 공동활용 인프라 구축
이용 통계 기반
다활용 논문 정보 연구동향 분석 서비스 제공 「제14회 웹어워드코리아」
아이어워드 특별 대상 수상
[ 기초학문자료센터 구축 ]
ㅇ 인문사회분야 교육부 연구지원성과 중 기초학문자료
*를 수집· 정리·
가공하여 디지털 DB로 구축하고, 연구자에게 서비스 제공
* 관련 분야 후속연구에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학술적 가치가 있는 원자료 및 중간 산출물
ㅇ 기초학문 분야 연구의 학술활동결과물 수집 및 연구성과 정보서비스 공동 활용 확대를 통한 연구자 만족도 향상
< 기초학문자료센터 DB구축 및 이용자 만족도 현황 >
구 분 2016년 2017년 증감률(%)
D B 구 축 10,104 10,992 8.79% 상승
검 색 건 수 789만건 810만건 2.66% 상승
원 문 보 기 233,236 370,562 58.88% 상승
만 족 도 92.33 93.14 0.88% 상승
ㅇ 대학도서관 등 각종 국내기관과 연계하여 기초학문자료센터의
DB
정보공개
(Open-Access)확대
※ 국회도서관, 대학도서관, 연구소 등 64개 기관과의 연계 서비스망 구축
□
기대효과
◦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 대학도서관 평가를 통한 도서관 여건 개선 및 역량강화를 통해 대학 교육과 연구의 질 향상 제고
ㅇ 학술자원
(DB·외국학술지)을 확보하여 대국민 서비스 공개를 통해
이용의 접근성 제고 및 학술·연구 활성화 기여
ㅇ 학술· 연구지원사업 연구성과물 공유·확산체제를 통해 학문분야별 연구 동향정보 제공 및 연구정보 공개를 통한 연구역량 향상
나 2018년 사업계획
◇
대학도서관 평가를 통한 서비스 개선 및 역량 강화
◇
핵심학술자원 확충 및 외국학술지지원센터 활용 확대
◇
원문콘텐츠, OA(open access), 대학라이선스
DB통합검색 확대를 통한 학술자원 공동활용 촉진
◇ 국내 인문사회 성과정보
종합 포털 서비스 구축 기반 마련
[ 국가학술자원관리 및 공동 활용 ]
□
대학도서관 진흥
ㅇ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2016~2018)에 따른 `18년 시행계획 수립
※ 대학별 2017년 추진실적 및 2018년 시행계획 제출·관리
ㅇ
5개년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
(2019~2023)수립 ㅇ 대학도서관진흥법 시행령 개정(안) 마련
ㅇ 대학도서관진흥법 제정사 및 해설서 발간 및 전국 대학 보급 ㅇ 대학도서관 사서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13종
)ㅇ 대학도서관 서비스 진단 및 컨설팅 수행을 위한 ‘18년 시범평가 실시
※ ’17년 대학도서관 시범평가 결과에 따른 대학별 진단보고서 제공
ㅇ 대학도서관 시범평가(‘16~’18) 결과 분석 및 본평가 계획 수립
□
학술자원 통계 시스템 운영 및 고도화
ㅇ 사용자 요구를 반영한 학술정보통계시스템
(Rinfo)운영 및 대학 도서관 학술자원 통계현황 조사
※ Rinfo 기능개선 페이지 오픈 : 2018.1.(예정)
※ 통계조사 지침자료집 제작, 통계조사 지침 연수회 개최(`18. 5 예정)
ㅇ 대학도서관 통계항목 연계 및 공동활용
※ 대학기관평가인증, 문체부 국가 도서관통계 시스템(www.libsta.go.kr), KEDI 등 통계데이터 연계·제공
ㅇ 대학도서관 통계 항목 · 지침위원회 운영 및 통계분석보고서 발간
□
외국학술지지원센터
(FRIC, Foreign Research Information Center)운영 ㅇ 학문 주제분야별
*지정된
10개 센터를 통해 해외 인쇄 학술지를
구입하여 대국민 무료 원문복사서비스 제공
* 임상의학, 자연과학, 농·축산, 인문과학, 교육·사회학 등(10개 분야)
검색창구 설명 URL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www.riss.kr
NDSL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www.ndsl.kr
MEDLIS 의학학술지 종합정보시스템
(MEDical Library Information System) medlis.kr 직접제공(기타) 10개 센터에서 직접 자료 제공
ㅇ 외국학술지지원센터의 해외학술지 총량 확대
※ 제공학술지논문 수 : (’17년) 1,929만편 → (’18년) 1,986만편 (3% 증대)
ㅇ 외국학술지지원센터 운영 현황 점검 및 효과 측정
※ 예산집행, 자료 확보, 서비스 현황 등 센터 운영의 적절성 및 효율성 점검
ㅇ 외국학술지지원센터 이용 고객만족도 측정을 통한 센터별 서비스 현황 조사
※ 제공 자료, 직원, 서비스 전반적인 만족도 분석과 실제 이용 학술지 분석을
통한 이용자 행태분석 실시
□
학술
DB대학라이선스 구독 지원
ㅇ 학술자원 공동활용 촉진을 위한 「해외DB 통합검색」 확대
※ 원문콘텐츠, 대학라이선스 DB(28종), Open Access 통합 검색
ㅇ 학술자원 공동수집 및 영구보존을 위한 해외우수박사학위논문
,전자책, 학술논문 등의 원문 콘텐츠 확대 구축
※ 원문콘텐츠 확대 : (’17년) 243만 → (’18년) 250만 (2.9% 증가)
ㅇ 대학라이선스 품목분석 ․ 평가 ․ 협상 및 심의를 위한 전문위원회 및 선정관리위원회 구성
※ 국공립․사립 대학 도서관 사서 및 외부 관련 전문가로 구성
※ 구매력 결집을 통한 협상력 제고 및 심의수감을 통한 사업 공정성 제고
ㅇ 핵심 전자자료 도입 및 구독
DB이용현황, 구독조건 등 서비스 검증을 위한 전수 품질평가 실시
※ 수요가 높은 국내전자자료(DBpia, KISS 등) 및 솔루션(Refwork 등) 도입 검토
ㅇ 대학수요 및 의견수렴을 위한 업무담당자 대상 설문조사 실시
※ 대학도서관 수서담당자 대상(약 420명), 온라인 설문 실시(만족도, 수요도 등)
ㅇ 공동활용 제고를 위한 대학라이선스 비구독대학 이용방안 확대 모색
※「대학 - KERIS - 공급사」TF 운영을 통해 현장 반영 가능한 지원(안) 개발ㅇ 대학라이선스 이용활성화를 위한 「해외학위논문 서비스(PDU)
*」운영* 학위논문 자료 유형에 적합한 검색 기능 및 원문 제공 서비스
○
국가지원 전자저널 라이선스 도입을 위한 예산 확보 노력 지속
※ 대학 자료구입비의 65%를 전자자료, 특히 전자저널 구독에 지출 중으로 전자
저널 구독에 대한 국가 지원을 지속적으로 요청
[ 기초학문자료센터 구축 ]
□
기초학문자료센터
(KRM, Korean Research Memory)운영
ㅇ 교육부 소관 인문사회분야 학술 · 연구지원사업 수행과정에서 생산 되는 원자료
,중간산출물 등을 지속적으로 수집
・가공
・제공
※ 기초학문자료센터 구축사업(’05년∼)을 통해 기초학문육성 인문사회분야
지원과제의 성과물 수집 및 표준화된 디지털 DB구축
※ 원활한 DB구축을 위한 KRM 서버 스토리지 추가 구입
ㅇ
DB구축 사업단*의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하여 연구진행에 따른
원자료 및 중간산출물 수집· 선별 전문성 제고
* 2개 사업단(2년 지원) : 인문학(예술체육분야 포함), 사회과학(복합학 분야 포함)
ㅇ 국내 인문사회 성과 정보를 통합한 종합 포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유관기관과의
DB연계 방안 수립 및 추진
-
교육부·문화체육관광부 소관 출연-유관기관
*과 연계한 우리나라
인문학 연구 성과 정보를 수집
‧구축
* 한국고전번역원(교육부), 한국학중앙연구원(교육부), 한국문학번역원(문체부) 등
※ Open-API로 방식으로 성과 정보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