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우리나라 법제의 개정 필요성

Dalam dokumen 해양오염퇴적물 (Halaman 63-66)

67) 40 C.F.R. § 220-229.

우리나라의 오염퇴적물 관리현황은 퇴적물․오염퇴적물, 준설물질등 에 대한 기본 개념조차 정립되어 있지 않으며, 오염퇴적물의 처리 등과 같은 실질적인 관리법제가 부재한 상황이다.68) 「해양환경관리법」을 비롯하여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이나 여타의 법률에서는 오염퇴적

물 수거 및 처리 등에 대한 기본적인 방안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개 별 규정을 통해 오염퇴적물과 관련한 문제들이 적용될 수 있으나, 여러 법률 에 산재해 있어 적용상 혼란이 있고, 유효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오염퇴적물의 수거(제거, 준설)에서부터 운반(이동), 저장(보관, 배치), 처리(treatment), 처분(disposal)이나 사용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 지 않고 있다. 더욱이 현행 「해양환경관리법」은 오염퇴적물의 영향평가, 퇴적물 오염방지를 위한 방법, 오염퇴적물의 수거․제거․준설 및 처리를 위 한 지침․기준, 환경을 고려한 준설물질의 처리방안 등 오염퇴적물의 수거․ 처리와 관련한 체계적인 관리규정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69)

오염퇴적물의 관리는 개별 법률에 산재된 규정을 정비하기 보다는 별 도의 통일된 법률 체계를 통해 취급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는 모든 관련 법들을 개정해야 하는 큰 수고를 줄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오염퇴적물 관리체계를 정립할 것으로 보인다. 해양오염퇴적물에 대한 통일된 체계를 수 립하기 위해서는 「해양환경관리법」 내에 별도의 규정을 두고, 다른 법률 규정의 적용을 배제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폐기물관 리법」을 비롯한 수질, 토양, 재활용 관련 법률들 간의 관계를 분명히 하고, 오염퇴적물의 수거부터 처리․처분에 이르기까지의 절차를 체계적으로 마련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일환으로 「해양환경관리법」 내에 오염퇴적물의 개 념을 정립하고, 오염퇴적물의 수거․처리 등의 근거가 되는 환경기준이 시급 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오염퇴적물의 재활용, 매립 또는 해저 고립처분, 해양배출을 위한 처리방법․기준 등도 동법의 개정사항 내에 포함 되어야 할 것이다.

오염퇴적물의 수거․준설과정에서 나오는 준설토사 등은 버려지는 폐 기물이 아니다. 한정된 자원을 보유한 국내의 실정상 자원순환의 차원에서

68) 윤길림조홍연, “준설토 재활용 방안 및 적용사례 분석”, 지방환경 제3권 제2호, 2002. 6, 55면.

69) 이창희․김은정, 「호소 및 하천 오염퇴적물 관리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998, 5면.

준설토사의 경우에는 재활용․재사용의 대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준 설토사를 일률적으로 폐기물로 보아 「폐기물관리법」 등에 의한 규제대상 으로 보는 것에 대하여는 전향적인 검토가 요망된다. 이에 준설토사 등을 폐 기물로 규정하지 않거나 준설 전 또는 중간처리70) 후 위해성평가(risk

assessment) 또는 오염도 평가를 통해 오염정도에 따라 폐기물과 폐기물이

아닌 재활용 가능한 자원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해양오염퇴적 물을 골재, 매립토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불필요한 규제 규정의 적용을 배제함으로써 유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오염퇴적물을 인근지역에 매립하는 경우 매립지 확보의 어려움과 막 대한 매립지 건설비 및 관리비 소요, 운송비 증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퇴적물을 일률적으로 폐기물로 관리할 것이 아니라 「자원 의 절약 및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건축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등 자원의 순환 및 재활용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최근의 입법의 동향 에 비추어 오염퇴적물을 재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70) 중간처리 후 발생하는 폐기물은 새로 폐기물이 발생한 것으로 본다. 따라서 「폐기물관리법제17조 제2항 에 따른 신고 또는 같은 조 제3항에 따른 확인을 받고, 해당 폐기물의 처리방법에 따라 적정하게 처리해야 한다. 다만, 별표 3 제1호 나목에 따른 기계적 처리시설에서 중간처리한 후 새로 발생되는 폐기물 중 그 성질 과 상태가 중간처리하기 전의 폐기물과 동일한 폐기물은 중간처리하기 전의 폐기물로 보아 해당 폐기물의 처 리방법과 기준에 따라 처리하여야 한다(폐기물관리법 시행령 제7조 제4호).

4절 개선 방안

Dalam dokumen 해양오염퇴적물 (Halaman 63-66)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