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울릉도 개발에 대한 인식

현재 울릉도에서의 생활에서 가장 큰 문제에 대한 인식으로 1순위로 접근성 불량, 병 원․보건소, 상가 부족 등 생활환경 취약이 51명 54.8%로 가장 높게 문제로 인식하고 있 었다. 그리고 육지로의 인구유출과 노령화 문제, 정부의 개발의지 및 지원 부족의 문제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울릉도생활문제1순위 울릉도생활문제2순위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인구유출노령화 16 17.2 22 23.7 접근성생활환경취약 51 54.8 25 26.9 정부개발의지 지원 부족 17 18.3 19 20.4

주민소득원감소 3 3.2 11 11.8

부동산가격상승     4 4.3

교육낙후 4 4.3 9 9.7

자연훼손환경오염 1 1.1 3 3.2

기타 1 1.1    

총계 93 100.0 93 100.0

<표 6> 울릉도 생활 문제인식

현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울릉도 관련 개발 사업이 실제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울 릉도 주민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한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인식을 보면, 기여하지 못한 다는 인식이 57명 61.3%로 다수의 응답자들이 울릉도 개발사업의 실효성에 대하여 의문 을 제기하고 있었다.

  빈도 퍼센트 기여하지 못한다 57 61.3

기여 한다 20 21.5

모르겠다 15 16.1

무응답 1 1.1

합계 93 100.0

<표 7> 울릉도 개발사업 기여도 인식

기여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중앙정부의 지원이 부족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울릉도가 가진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라고 보았다. 그리고 주 민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것을 문제로 파악하고 있었다.

기여하지 못한 이유1 기여하지 못한 이유2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중앙정부 지원 부족 42 62.7 6 9.4

주민요구차이사업 7 10.4 16 25.0

울릉도특성미반영 13 19.4 16 25.0

정부관심홍보부족 3 4.5 12 18.8

주민참여기회의지 부족 1 1.5 10 15.6

사업에서 갈등 1 1.5 4 6.3

총계 67 100.0 64 100.0

<표 8> 공공부문 기여 못하는 이유

주민개발사업의 기여로는 울릉도를 찾는 관광객 수가 늘면서 주민의 소득이 증가를 중 요하게 인식하였고, 전기, 도로, 선착장 등 생활 또는 생산기반이 많이 개선되었다고 인 식하였다.

기여이유1 기여이유2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관광주민소득증가 15 55.6 3 12.5

울릉도이미지개선 3 11.1 2 8.3

생활생산기반개선 8 29.6 9 37.5

육지접근성향상     8 33.3

울릉도귀향증가     2 8.3

기타 1 3.7    

총계 27 100.0 24 100.0

<표 9> 지역개발사업의 기여부문

정부나 지자체에서 울릉도에 시행하고 있는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이나 내용에 대한 만 족수준을 보면, 불만족이 63명 67.7%로 다수가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지자체사업만족도

  빈도 퍼센트

불만족 63 67.7

만족 11 11.8

잘모름 15 16.1

무응답 4 4.3

합계 93 100.0

<표 10> 울릉도 개발사업 만족수준

만족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유사사업의 중복투자와 물리적 시설투자 치중을 문 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2순위에서는 사업대상을 선정하는데 기준이나 절차가 불 투명한 것을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불만족이유1 불만족이유2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유사사업중복투자 19 27.1 8 12.5

물리적시설투자치중 18 25.7 11 17.2

정부지자체업무분산 8 11.4 5 7.8

지자체간지나친경쟁 4 5.7 9 14.1

사업기준절차불투명 9 12.9 23 35.9

상과위주사업추진 4 5.7 7 10.9

기타 8 11.4 1 1.6

총계 70 100.0 64 100.0

<표 11> 울릉도 개발사업 불만족이유

울릉도 관련 개발사업을 추진의 애로사항에 대한 인식을 보면, 울릉도의 자원에 대한 중요성이나 활용할 수 있다는 인식이 부족한 것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였고, 2순위에 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부족을 크게 인식하였다.

개발사업추진애로사항1 개발사업추진애로사항2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환경훼손가능성 5 7.0 2 3.0

울릉도자원인식부족 21 29.6 5 7.5

사업추진갈등 5 7.0 4 6.0

사업적극리더부족 16 22.5 8 11.9

육지접근성불량 14 19.7 19 28.4

각급정부지원부족 8 11.3 29 43.3

기타 2 2.8    

총계 71 100.0 67 100.0

<표 12> 울릉도 개발사업 애로사항

울릉도의 자원을 활용한 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정부가 가장 우선해서 해결 해야 할 과제로는 중앙정부의 재정적 지원 확대를 과제로 인식하고 있었고, 그리고 사업

의 실현가능성이나 타당성의 철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추가로 울릉도 내의 다 양한 사업을 발굴과 울릉도의 자원에 대한 면밀한 실태조사를 과제로 인식하였다.

개발사업해결과제1 개발사업해결과제2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중앙정부재정지원 63 69.2 7 8.0

다양한사업발굴 9 9.9 23 26.1

자원실태조사 7 7.7 22 25.0

사업타당성검토 9 9.9 27 30.7

지역자율성부여 1 1.1 5 5.7

기타 2 2.2 4 4.5

총계 91 100.0 88 100.0

<표 13> 울릉도 개발사업 해결과제

울릉도의 자원을 활용한 개발 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심이 되어야 할 주체 로 중앙정부와 경상북도를 중요시 하였고, 울릉주민과 울릉군청을 중요시하였다. 이는 개 발사업 거버넌스 주체로 중앙 및 광영정부, 울릉도주민, 울릉군청이 되어야 함을 보여주 었다.

바람직한중심사업주체1 바람직한중심사업주체2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중앙정부경상북도 45 48.4 15 16.1

울릉군청 19 20.4 38 40.9

울릉도주민 26 28.0 22 23.7

국회지방의원 1 1.1 5 5.4

전문가집단 1 1.1 3 3.2

기타 1 1.1 4 4.3

무응답     6 6.5

총계 93 100.0 93 100.0

<표 14> 울릉도 개발사업 추진주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