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현포항의 접근성 개선을 위한 다양한 교통수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섬과 육지간의 연계성 확보를 위해 주로 다양한 해상교통수단에 의존하고 있으며, 특별한 항 공교통수단도 병행 운행하고 있다. 그러나 사동항 부근에 추진 중인 경비행장 설치와 활 주로 건설 사업은 울릉도의 자연환경을 훼손한 가능성이 있고, 미래세대에 부담을 주는 사업이므로 다시 한 번 재고할 필요성이 있다. 섬 내의 교통수단은 좁은 도로폭 등에 의 해 오토바이, 소형 승용차, 마차, 삼륜차 등 다양한 육상교통수단을 활용하고 있으나 자 연환경의 보전을 위해서 환경 친화적인 교통수단의 도입이 필요하다.

울릉도 주민 설문조사에서 현포항 개발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접근성으로 나타났다. 현포항에의 접근성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하고 새로운 해상교통수단에 대한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섬과 육지간의 연계성 확보를 위해 유람선, 크루즈, 정기여객선 등 다양한 광

역접근성은 고려하여야 하지만 아름다운 해양경관과 맑은 바다를 체험하기 위한 조건으 로 마리나 항만으로의 개발을 중요하다(심원섭, 2007). 현포항의 경우도 주변의 경관을 해 치지 않고 자연조건을 최대한 활용하여 아름다운 마리나 항구로 재생할 필요가 있다.

이에 새롭게 개발된 위그선의 도입을 고려하여야 한다. 현재는 저동항과 도동항으로만 육지와 울릉도가 연결되고 있지만, 2013년도에 면허획득이 이루어진 강릉-현포노선의 조 속한 개설이 필요하다. 여기에 최근 새로 개발된 위그선(Wing Ship)을 투입한다면, 접근 시간을 축소함으로써 현포항의 경쟁력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위그선은 수면 2m 고도, 선박에 비해 가격은 ⅓ 수준, 연료소모율과 CO²배출이 3배 이상 낮다. 평균시

속 100노트(180km/h) 이상으로 운행하여 기존 선박에 비해 3배 이상의 빠른 속도이며,

기존 현포항 및 접안시설 활용이 가능하다. 위그선을 7-8인승, 50인승, 100인승으로 구분 하여 취항시킴으로써 접근성 제고와 관광의 쾌적함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림 23] 위그선 접안시설과 접안한 모습

참고문헌

김정봉․한광석․이종칠․김찬호(2006), 『다기능 어항시설에 대한 민자유치 활성화 방

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보고서.

박상우․이승우(2013), 『어촌특화발전 지원 특별법 개정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보고서.

심원섭(2007), “아일랜드 투어리즘으로 부상하는 해양관광대국, 그리스”, 『한국관광정

책』, 28(여름): 124-127.

울릉군(2014), 『울릉군 통계연보 2013』.

울릉군(2015), 『현포항 아름다운 어항 개발 사업계획서』.

윤상헌․이승우(2014), “어장․어항․어촌을 연계한 소득창출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해양정책연구』, 29(1): 73-101.

이대준(2014), “에코투어리즘을 위한 국내외 사례연구”, 『울릉도의 공간적 특성과 섬의

활용성 방안』세미나 발표논문.

이순자 외(2012), 『국토품격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섬자원 활용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이승우(2011), “섬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국토연구』, 358(8

월): 14-22.

이승우․박상우․고민규(2011),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어항부지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

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보고서.

이승우․홍장원․이윤정(2009), 『어촌의 잠재적 가치 창출을 위한 명품 관광어촌 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보고서. 이재홍 외(2012), 「C3, no.332」: 75-81.

진양교(2010), “Journey to the Memory and Symbol : 43 도시재생공원”, 『조경』:

132-137.

최진식(2010), “해양산업에 있어서 해양디자인의 개념과 국내현황에 관한 연구”, 『디지털

디자인학연구』, 10(3): 83-92.

황기형․이승우(2000), 『주민참여에 의한 어촌관광개발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해양수 산개발원 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