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을 만족시킨다

Dalam dokumen 1 수열의 극한 (Halaman 59-72)

lim

 → 

 

    

 

 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4점][2006(가) 6월/평가원 23]

 

와 

′ 

의 관계식이 주어진 경우

07

미분을 이용한 다항식의 나머지 구하기

08

1 접선의 방정식

접선의 기울기와 미분계수

01

접점이 주어질 때, 접선의 방정식

02

229.229.두 다항함수   ,

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   

   

(나)

lim

 → 

   

     

 

곡선

    위의 점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

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는 상수이다.) [4점][2016(A) /수능 28]

기울기가 주어질 때, 접선의 방정식

03

230.230.곡선

   

 

 

  (  )위의 점에서 그은 접선 중에서

기울기가 최소인 접선과

축,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

오.

[4점][2013(B) 4월/교육청 28]

기울기가 주어질 때, 접선의 활용

04

231.231.닫힌구간

   에서 정의된 함수

       

  

 

에 대하여 곡선

    와 직선   의 교점 중 원점 O

가 아닌 점 을

A라 하자. 점 P

가 원점으로부터 점

A

까지 곡선

     위를

움직일 때, 삼각형

O AP

의 넓이가 최대가 되는 점

P

좌표가

 

이 다. 상수

의 값은?

[4점][2012(나) 9월/평가원 19]

 

 

 



 

 



2. 도함수의 활용

Ⅲ 다항함수의 미분법 곡선 밖의 점이 주어진 경우의 접선

05

232.232.그림은 삼차함수    

 

 

의 그래프이다.

원점을 지나고 곡선

   에 접하는 직선은 두 개이다.

두 접선과 곡선

   의 교점 중 원점이 아닌 점들의 

좌표의 합 을

라 하자. 이때,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2007(가) 10월/교육청 25]

233.233.양수

에 대하여 점

  에서 곡선   

에 그은 접선과 점

 에서 곡선   

에 그은 접선이 서로 평행할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2007(가) 6월/평가원 20]

곡선과 직선이 접할 때, 미정계수 결정

06

234.234.두 함수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곡선

  

 위의 점

P    

에서의 접선을 이라 하자.

직선

에 곡선   

가 접할 때의 접점을

Q, 곡선    

축

이 만나는 두 점을 각각

R

,

S라 할 때, 삼각형 Q RS의 넓이는?

[4점][2015(A) 7월/교육청 14]

  

  

O 

 

 



접선의 방정식의 활용

07

235.235.좌표평면에서 두 함수

    

 ,         

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은?

[4점][2012(나) 9월/평가원 21]

  



  

  

  

  

2 함수의 극대와 극소

다항함수의 증가와 감소

01

236.236.삼차함수

    

 

 

가 구간

 ∞ ∞ 

에서 증가 하도록 하는 실수

의 최댓값을

이라 하고, 최솟값을

이라 할 때,

  

의 값은?

[4점][2011(나) 6월/평가원 15]

①  ②  ③ 

④  ⑤ 

237.237.함수

    

 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값의 제곱의 합을 구하시오.

[4점][2015(A) 10월/교육청 27]

(가) 구간

   

에서

  

이다.

(나) ′

 

′    

다항함수의 극대와 극소

02

238.238.실수

에 대하여 곡선

  

위의 점

 

과 직선     

사이의 거리를

 라 하자.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점][2013(B) 6월 평가원 16]

ㄱ. 함수

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ㄴ. 함수

 는 이 아닌 극솟값을 갖는다.

ㄷ. 함수

 는   에서 미분가능하다.

< 보 기 >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39.239.삼차함수

  

와 일차함수

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 고,

′

 

′

 

이다.

함수

  

는

  

  

에서 극소이다. 다음 중 옳은 것 은? (단,

  

)

[4점][2016(나) 6월/평가원 18]

    

이고

    

    

이고

    

    

이고

    

    

이고

    

    

이고

    

2. 도함수의 활용

Ⅲ 다항함수의 미분법 극대

․극소를 이용한 미정계수 결정

03

240.240.함수

       

 

     ≥ 

의 극댓값이

일 때,   의 값은? (단, 는 상수이다.)

[4점][2013(A) 6월 평가원 21]





축에 접하는 다항함수의 그래프 04

241.241.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함수

가

 

,

 

,

′

 

이고 함수

  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킬 때,

 

 

의 값

은? (단,

는 양수이다.)

[4점][2013(A) 7월/교육청 21]

(가)

′

 

 ′

(나)

의 극댓값이



이고 극솟값이

이다.











삼차함수가 극값을 가질 조건

05

242.242.함수

 

 

  

     이 극값을 갖도록 하는 모

든 정수 의 개수는?

[3점][2014(B) 4월/교육청 7]

243.243.직선

  가 곡선    

 

   의 극대가 되는

점과 극소가 되는 점 사이를 지날 때, 정수

의 개수를 구하시오.

[3점][2009(가) 7월/교육청 19]

3 함수의 그래프

도함수의 그래프와 극값

01

244.244.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

  

의 도함수

 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  

′

O 

′

양수

에 대하여 

′

  

이고

 

이다. 함수

를

 

 라 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

은? (단, 함수

′

는

  

에서 극소이다.)

[4점][2015(가) 11월/교육청(고2) 20]

ㄱ.

′

 

ㄴ. 함수

  

는 열린구간   에서 감소한다.

ㄷ. 방정식

 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 보 기 >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도함수 그래프의 활용

02

245.245.서로 다른 두 실수

, 가 사차방정식 

 의 근일 때,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점][2010(가) 6월 평가원 12]

ㄱ.

′

 이면 다항식 

는 

  

으로 나누어떨어진다.

ㄴ.

′

′

 이면 방정식 

 은 허근을 갖지 않는다.

ㄷ.

′

′

 이면 방정식 

 은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갖는다.

< 보 기 >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46.246.

  에서 극댓값을 갖는 모든 다항함수   에 대하여 옳은 것

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2009(가) 6월/평가원 14]

ㄱ. 함수 ∣  ∣은

  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ㄴ. 함수

 ∣∣ 은   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ㄷ. 함수

   

∣∣은

  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 보 기 >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2. 도함수의 활용

Ⅲ 다항함수의 미분법

247.247.함수

    

가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고,

   ≠ 

인 모든

의 값에 대하여 미분계수

′ 가

         

   

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3점][2006(가) 수능(홀) 9]

ㄱ. 함수

    

  

에서 극값을 갖는다.

ㄴ.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

이다.

ㄷ.

    

이면

  >

이다.

< 보 기 >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ㄱ, ㄴ, ㄷ

248.248.세 실수

  

에 대하여 사차함수

  

의 도함수

 

′            

일 때, <보기>에서 항상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4점][2004(가) 6월/평가원 15]

ㄱ.

    

이면, 방정식

    

은 실근을 갖는다.

ㄴ.

   ≠ 

이고

  <

이면, 방정식    은 서로 다 른 두 실근을 갖는다.

ㄷ.

<<이고

  <

이면, 방정식

    

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 보 기 >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두 다항함수의 도함수의 극대

․극소 03

249.249.그림과 같이 두 삼차함수   ,

 의 도함수   

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서로 다른 두 점의 

좌표는

,

(    )이다. 함수

 를

         

라 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  , 

′   

[4점][2016(나) 7월/교육청 18]

O  

  



  ′

ㄱ. 함수

  는   

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ㄴ.

   

이면 방정식

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이다.

ㄷ.

      

인 두 실수

, 

에 대하여

          이다.

< 보 기 >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50.250.삼차함수

  

의 도함수의 그래프와 이차함수

 

의 도함수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함수

를          

라 하자.

     

일 때,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점][2011(나) 6월/평가원 19]

< 보 기 >

대칭성을 갖는 함수의 극대․극소

04

251.251.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함수

  

가 모든 실수

에 대하 여

       

를 만족시킨다. 방정식

 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일 때,

 

의 값은?

[4점][2012(나) /수능 21]











252.252.사차함수

   

 

 

  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

킬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2007(가) 6월/평가원 21]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이다.

(나) 함수

 는 극솟값  

을 갖는다.

253.253.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함수

  

에 대하여 함수

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나)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이다.

(다) 함수

 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다.

       

라 할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는 서로 소인 자연수이다.)

[4점][2014(B) 10월/교육청 29]

254.254.모든 계수가 정수인 삼차함수

  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

다.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이다.

(나)     (다) <′

<

함수

    의 극댓값은 

이다.

의 값을 구하시오.

[3점][2008(가) 6월/평가원 23]

2. 도함수의 활용

Ⅲ 다항함수의 미분법

255.255.

 

을 제외한 모든 실수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

이다.

(나)

lim

 →  

       

이고

lim

 →  

   

이다.

(다)

 ≠ 

인 모든 양수

에 대하여

′   

이다.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점][2014(B) 3월/교육청 21]

ㄱ. 함수

 

의 그래프는 직선

  

와 한 점에서 만난다.

ㄴ. 함수

 

의 그래프는 축과 세 점에서 만난다.

ㄷ.

   

인 실수

가 적어도 두 개 존재한다.

< 보 기 >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256.256.최고차항의 계수가

이고

 

인 사차함수 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

를 만족시킨다. 방정식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

일 때, 함수

의 극댓값은?

[4점][2014(A) 7월/교육청 21]











절댓값을 포함한 함수의 미분가능

05

257.257.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삼차함수

 

에 대하여

  



의 최댓값을

, 최솟값을

이라 하자.

 

의 값은?

[4점][2016(A) /수능 21]

(가) 함수

   

   

에서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나) 방정식

    

은 닫힌구간  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 

 

 

 

 

258.258.좌표평면에서 삼차함수

 

 

 와 실수 에 대하여

곡선

  

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이 축과 만나는 점을 P

라 할 때원점에서 점

P

까지의 거리를

g

라 하자. 함수

와 함수

g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

(나) 함수

g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다.

의 값은? (단  는 상수이다.)

[4점][2014(A) /수능 21]











       

에서 미분가능

06

다항함수의 그래프 활용

07

259.259.삼차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  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나) ′

 

 

′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점][2016(나) 9월/평가원 20]

ㄱ. 도함수

′

는

  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ㄴ. 방정식

    는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ㄷ. 곡선

    위의 점     에서의 접선은 점

  를 지난다.

< 보 기 >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60.260.함수

 

 

  

 

  

과 실수

에 대하

여,

 ≤ 에서 

의 최댓값을

라 하자. 함수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도록 하는

의 최댓값은?

[4점][2010(가) 9월/평가원 16]

다항함수의 최대

․최소 08

261.261.미분가능한 두 함수

  

  의 그래프는   

  

에서 만나고,

<<인

  

에서 두 함숫값의 차가 최대가 된다.

다음 중 항상 옳은 것은?

[3점][2004(가) 6월/평가원 6]

   

′  ②

′   ′

 

   

 

′   ′

 

   

 

262.262.양수

에 대하여 함수

 

 

 

  

가 닫힌구간

    

에서 최댓값

, 최솟값

 



를 갖는다.

  

의 값을 구하 시오.

[4점][2016(나) 6월/평가원 28]

2. 도함수의 활용

Ⅲ 다항함수의 미분법 최대

․최소의 활용

09

263.263.[그림 1]과 같이 가로의 길이가

 cm

, 세로의 길이가

 cm

인 직사각형 모양의 종이가 있다. 네 모퉁이에서 크기가 같은 정사각형 모 양의 종이를 잘라 낸 후 남는 부분을 접어서 [그림 2]와 같이 뚜껑이 없는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를 만들려고 한다. 이 상자의 부피의 최댓값 을

 cm

이라 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종이의 두께는 무시한다.)

[4점][2011(가) 4월/교육청 28]

 cm

 cm

[그림 1]

[그림 2]

264.264.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네 점

O  , A  , B  , C  을 꼭짓점으로 하는 정사각형 O ABC와 한 변의 길이가 이고

네 변이 좌표축과 평행한 정사각형

P Q RS가 있다. 점 P

가 점

   에서 출발하여 포물선   

 를 따라 움직이도록 정

사각형

P Q RS를 평행이동시킨다. 평행이동시킨 정사각형과 정사각형 O ABC

가 겹치는 부분의 넓이의 최댓값을

 

라 할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와 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4점][2007(가) 6월/평가원 22]

265.265.좌표평면 위에 점

A   가 있다.     

일 때, 원점

O

와 직선

   위의 점 P   를 잇는 선분 O P

의 수직이등분선과

축

의 교점을

B

라 하자. 삼각형

ABP

의 넓이를

 라 할 때,  의 최

댓값은

 

 

이다.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는 서로소인 자연

수이다.)

[3점][2009(가) 6월/평가원 20]

266.266.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 ABCD

에서 선분

BC

와 선분

CD

의 중점을 각각

E

,

F라 하자. 점 E

를 꼭짓점으로 하고 두 점

A

,

D

를 지나는 포물선과 선분

AF가 만나는 점을 G

라 하자. 선분

AG 위를 움직이는 점 P

를 지나고 직선

AB

와 평행한 직선이 포물선 과 만나는 점을

Q라 할 때, 삼각형 AQ P

의 넓이의 최댓값은? (단, 점

P는 점 A

와 점

G가 아니다.)

[4점][2015(나) 11월/교육청(고2) 21]

A

B C

D

E

G F P

Q

 



 



 



 



 



Dalam dokumen 1 수열의 극한 (Halaman 59-72)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