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계
1. 일반서식지
가. 국립공원 서식지 동향
1) 서식지 유형별 평가 결과(생물다양성 현장조사)
· 생물다양성 조사지점의 평가 결과를 서식지 유형별 평균 값으로 산출하여 국립공원 서식지 지도의 각 폴리곤의 서식 지 유형에 따라서 적용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조사된 서식지 유형별 지점의 서식지 평가 점수와 평균 점수는 표4-1과 같이 산출되어 적용함
· 하천생태계의 경우는 산지하천의 단일 서식지 유형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관리지구별 하천생태계 평가점수를 적용함
· 서식지 유형 중 현장조사가 수행되지 않아서 서식지 평가가 불가능한 유형(암벽식생, 전석지, 개발지 등)은 종합 평가 에서 배제함
표 4-1.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서식지 유형별 평가 등급
분류 서식지 유형 지점명 평가 등급 평가 점수 평균 점수
산림 생태계
산지낙엽활엽수림 F2 B 3.7 3.7
산지습성림 F6 C 3.0
F7 B 3.1 3.1
산지초원 F3 A 4.1 4.1
산지침엽수림 F1 C 3.0 3.0
산지활엽수림
F8 B 3.4
3.5
F9 B 3.6
F10 B 3.4
침활혼효림 F4 B 3.7 3.7
활엽수식재지 F5 B 3.8 3.8
하천
생태계 산지하천
금오도지구 A 4.3 4.3
소안도, 청산도지구 B 4.0 4.0
팔영산지구 A 4.8 4.8
습지
생태계 습지
금오도지구 D 2.0 2.0
소안도, 청산도지구 C 2.9 2.9
그림 4-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서식지 유형별 생물 다양성 평가 결과 지도
2) 서식지 환경 평가 결과(GIS 서식지 분석)
·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는 국립공원 내 모든 서식지 폴리곤이 동일한 값으로 적용되므로, 위치별·고도별 서식지의 차이 를 반영하지 못함
· 위치별·고도별 서식지 환경 차이를 반영하기 위하여 국립공원의 정규 식생 지수 (NDVI, Normalis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분석 결과(그림 4-2)를 서식지 폴리곤 별로 GIS에서 ‘구역통계’ 도구를 이용하여 각 폴리곤 내의 NDVI 평균값을 산출함(그림 4-3)
· NDVI는 수목이 있는 산림 서식지에서만 측정이 가능하므로 하천생태계에는 적용하지 않음
그림 4-2. 다도해해상국립공원 NDVI 분석도
그림 4-3.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각 서식지 폴리곤별 NDVI 점수 분석도
3) 국립공원 서식지 평가 결과(생물다양성 현장조사 + GIS 서식지 분석)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서식지 평가 결과 평가된 서식지 유형 중 산림생태계가 약 99%를 차지하였고, 하천생태계 가 약 1%로 나타남
· 각 서식지(폴리곤)의 서식지 평가 점수는 ‘[(NDVI점수 × 100) + 유형별 평가 점수] / 2’로 평가함
· 해안생태계에서는 다양성조사가 실시되지 않아 산림생태계 조사 결과를 서식지 평가에 이용
· 서식지 평가 결과가 A등급인 서식지는 산림생태계에서 21.62%, 하천생태계에서는 0.05%, 해안생태계에서는 3.83%
로 총 25.50%의 면적의 서식지가 A등급으로 평가됨
· B등급 서식지는 71.74%, C등급 서식지는 2.75%로 평가됨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개발지와 식생이 없거나 식피율이 낮은 암벽식생, 암석지, 전석지 등을 제외한 지역에서 서식 지 평가 등급은 97.24%가 우수 혹은 양호 등급으로 평가됨
그림 4-4.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서식지 평가 결과 – 등급별 구분
표 4-2.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서식지 평가 등급별 면적 및 비율
평가 등급 평가 등급 폴리곤 수 면적(m2) 비율(%)
산림생태계
A등급 397 35,099,139 21.62
B등급 520 8,937,261 5.51
C등급 6 14,456 0.01
합계 923 44,050,857 27.14
하천 및 습지생태계
A등급 56 83,906 0.05
B등급 211 254,789 0.16
C등급 64 679,462 0.42
합계 331 1,018,158 0.63
평가 등급 평가 등급 폴리곤 수 면적(m2) 비율(%)
해안생태계
A등급 145 6,214,179 3.83
B등급 2,644 107,273,023 66.08
C등급 344 3,769,812 2.32
D등급 20 10,862 0.01
합계 3,153 117,267,876 72.24
총 합계 4,407 162,336,891 100
· 공원관리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기 위하여 평가된 서식지 평가 점수를 구분한 결과 아래 그림과 같이 국립공원의 해안 생태계에서 산림생태계에 비하여 평가 점수가 낮은 것이 확인됨
· 공원 내 산림의 일부 지역은 지형에 의한 음영 발생으로 NDVI값이 낮게 나타나 평가 점수가 낮게 나타나는 부분이 있음
그림 4-5.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각 서식지 폴리곤별 NDVI 점수 분석도
나. 관리지구별 서식지 동향 1) 생태계 유형별 평가 결과
· 산림생태계 조사지점은 총 10개 지점으로 팔영산지구 5개 지점, 금오도지구 2개 지점, 소안도-청산도지구 3개지점이 조사됨
· 조사된 분류군 중 식물, 중대형포유류, 고등균류는 대부분 지점에서 보통 이상의 다양성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식생은 금오도지구의 조사지점에서 관리필요(D) 등급으로 평가됨
· 조류, 곤충류 분류군에서는 일부 지점에서 관리필요(D) 및 관리시급(E) 등급이 있었으며, 쉼터 조성, 방목지 이용, 등산 로 인접 등 인간 교란에 대한 영향으로 관리방안 수립이 필요함
표 4-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산림생태계 조사지점별 분류군 생물 다양성 평가 결과
관리지구 지점명 식물 식생 중대형
포유류 조류 곤충류
(주간)
곤충류
(야간) 고등균류
팔영산지구
F1 F2 F3 F4
F5 -
금오도지구
F6 F7
소안도- 청산도지구
F8 F9 F10
· 하천생태계 조사지점은 총 6개 지점으로 소안도-청산도지구 4개 지점, 금오도지구 1개 지점, 팔영산지구 1개지점이 조 사됨
· 조사지점은 대부분 보통(C) 등급 이상의 생물 다양성 상태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분류군 별로 일부 지점에서 관리필요 (D) 등급 및 관리시급(E) 등급 지점이 조사됨
· 양서·파충류 분류군은 R4지점은 상서마을의 농경지를 흐르는 하천으로 수량이 적고 출현종수와 개체수가 적어 관리 가 필요한 지점으로 평가됨
· 담수어류에서 R2지점은 유량이 매우 빈약하고 하상에 토사가 쌓여 어류가 출현하지 않았으며, 주변에서 각종 생활쓰 레기와 생활하수가 유입되어 관리가 시급한 지역으로 평가됨
표 4-4.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하천생태계 조사지점별 분류군 생물 다양성 평가 결과
관리지구 지점명 담수조류 양서파충류 담수어류 저서성대형
무척추동물
소안도-청산도지구
R1 R2 R3 R4
금오도지구 R5
팔영산지구 R6
· 하천생태계 조사지점은 총 2개 지점으로 모두 소안도-청산도지구지구에 위치함
· 분류군 별로 일부 지점에서 생물다양성이 관리필요(D)로 평가되었고 W2 지점의 곤충류 생물다양성은 관리시급(E) 등 급으로 평가됨
· W2 지점은 종다양성 보존과 관리를 위한 중요한 서식지이지만, 식물, 조류, 곤충류, 양서파충류 등 대부분의 분류군이 출현 종수가 낮아 생물 다양성 평가가 낮게 평가됨
· 양서파충류는 W1지점에서 대부분의 수면을 갈대가 덮고 있어 양서파충류의 수면으로 접근이 어려워 생태통로 등을 이용한 회복이 필요하며, W2 지점은 탐방객이 많이 찾는 지점으로 로드킬에 대한 방지책이 필요함
표 4-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습지생태계 조사지점별 분류군 생물 다양성 평가 결과
관리지구 지점명 식물 중대형
포유류 조류 곤충류 양서
파충류
저서성대형 무척추동물
소안도-청산도지구
W1 W2
그림 4-6.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점별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 - 소안청산지구
그림 4-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점별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 - 팔영산지구
그림 4-8.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점별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 - 금오도지구
2) 관리지구별 평가 결과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은 팔영산지구, 금오도지구, 소안도-청산도지구, 나로도지구, 거문도-백도지구의 5개 지구로 구성 되며, 생물다양성 조사는 팔영산지구, 금오도지구, 소안도-청산도지구에서 수행됨. 생물다양성 결과를 이용한 서식지 환경 평가 결과 모든 지구가 ‘우수’ 등급으로 평가됨
(1) 팔영산지구
· 팔영산지구는 총 6개 지점으로 산림생태계 5개 지점, 하천생태계 1개 지점이 조사됨
· 팔영산지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유일하게 내륙에 위치하고 있어 대부분의 면적이 산림생태계로 이루어짐
· 지역의 생태계 서식지는 잘 보호되고 있어서 곤충류를 제외하면 모든 분류군이 보통 이상의 서식지 등급으로 평가되 었고, 양호(B) 이상 등급이 약 73%를 차지하여 대체적으로 우수한 생물다양성을 나타내고 있음
표 4-6.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동학사지구의 분류군별 생물 다양성 평가 결과
유형 분류군 등급 주요내용
산림 생태계
식물 거문도 닥나무 자생지에 대한 정밀조사 및 보호대책 강구 식생
계곡부와 능선부를 중심으로 굴참나무림, 소나무림, 신갈나무림이 분포하고 있으며 하층은 양호하게 분화되었음. 다만 팔영산오토캠핑장 초입부의 F1지점과 곡강에서 능성부로 연결되는 F3지점은 토양답압과 식재지로 인해 교란을 받고 있음.
중대형 포유류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담비와 삵이 서시하는것으로 확인되나 한 지점에서만 확인됨. 해당지점을 관리구역으로 지정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멸종위기야생생물이 안전하게 정착 및 서식지 확산이용 할수 있도록 적극적인 보전관리 대책마련 시급
조류 종다양도, 균등도가 양호하며 6종의 법정보호종이 관찰되었고 번식가능성 또한 있기 때문에 조류 서식지로 양호하다고 판단됨,
곤충류 (주간)
생태계교란종인 등검은말벌이 확인되어 더욱 주의깊은 장기모니터링이 요구되며,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7종과 적색목록종 1종, 기후변화지표종 2종이 확인됨.
한국고유종 3종이 모두 팔영산지구에서 확인된 만큼 종다양성 보존과 관리를 위한 중요한 서식지로 평가됨.
곤충류 (야간)
다도해 다른 지구와는 달리 내륙 산악에 위치하여 인근 지역으로부터 종 유입이 비교적 활발하고 식생은 소나무와 낙엽활엽수가 혼재하여 비교적 다양한 초식성 곤충이 분포한 곳으로 판단함.
고등균류
본 지구는 5가지 서식지 유형이 있는 곳으로 가장 많은 고등균류 종이 조사됨.
생산성 균류와 부후경 균류의 비율이 고르지 않아 안정성 평가에서 낮은 평가등급이 나타남. 서식지 우수성은 종 풍부도, 종 다양성 모두 좋은 등급을 나타냈으나 독버섯의 비율이 다소 높아 위해성 평가에서 낮은 평가를 받음. 팔영산 지구는 자연휴양림, 캠핑장 다양한 시설물이 있고 연간 방문객이 높은 지역으로 독버섯에 대한 일반인들에게 주의가 요구됨.
하천 생태계
담수조류 팔영산지구는 자연상태를 유지
양서파충류 내륙지역과 접해 있는 관리지구로 다른 관리지구들에 비해 종다양성이 높음.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이 관찰되지 않음.
담수어류 오염원이 없고 유량이 풍부하여 서식환경이 양호함.
저서성대형
무척추동물 인위적인 교란요인이 없으며, BMI 등급 및 군집지수 역시 양호함.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팔영산지구의 서식지 평가는 A등급 65.72%, B등급 34.24%로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였고, C등급이 0.04%로 평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