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그림 4-18. 공원자원조사 기수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육상)에서 조사된 총 종수 변화

그림 4-19. 공원자원조사 기수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육상)에서 조사된 분류군별 종수 변화

식물 파충류

곤충류 담수조류

포유류 양서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조류

담수어류 고등균류

나. 분류군별 다양성 1) 관속식물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관속식물은 156과 517속 882종 10아종 78변종 4품종으로 총 974분류군이 확인됨

· 이 중 양치식물은 17과 57분류군, 나자식물은 6과 11분류군, 피자식물은 133과 906분류군으로 확인되며 주요 식물종 현황은 아래 표와 같음

표 4-15.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주요 식물종 현황

구분 종명 분류군 수

한국적색목록종

위급(CR) 한란 1

위기(EN) 무엽란, 지네발란, 대흥란, 석곡 4

취약(VU) 처진물봉선, 남개연, 박달목서, 황근, 콩짜개란 5 준위협(NT) 붓순나무, 흑삼릉, 약난초, 거문도닥나무, 께묵 5 관심대상(LC) 새박, 뻐꾹나리, 보춘화, 끈끈이주걱, 백량금 등 15

정보부족(DD) 물석송, 섬회나무 2

미평가(NE) 가는잎산들깨, 염주사초, 큰옥매듭풀, 갈사초 등 8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Ⅴ등급 개차고사리, 콩짜개란, 지네발란, 한란, 대흥란, 석곡 등 14

Ⅳ등급 갯강활, 산호수, 자란, 히어리, 좀굴거리, 처진물봉선 등 21

Ⅲ등급 단풍나무, 육박나무, 쥐꼬리풀, 가는쇠고사리, 백량금 등 95

Ⅱ등급 택사, 오리나무, 고본, 가는갯능쟁이, 갯메꽃, 참명아주 등 31

Ⅰ등급 투구꽃, 좀딱취, 금창초, 푸조나무, 자금우 등 106 한반도 특산식물 개족도리풀, 닥나무, 지리대사초, 외대으아리 등 22

기후변화지표종 금창초, 자금우, 큰천남성, 식나무, 실거리나무 등 32 외래종 가중나무, 청비름, 나도솔새, 비짜루국화, 큰비짜루국화 등 78

생태계교란종 환삼덩굴, 가시상추, 물참새피, 양미역취 4

(2) 종수 변화

· 4기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는 생물 종 중심에서 서식지 기반으로 조사 기준을 변경하여 조사 지점, 방법 등의 차이로 이전 조사(1~3기)와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이에, 이전 조사(1기~3기) 결과와 4기 조사 결과를 합산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서식 생물종의 변화 추이를 확인하였으며, 연도별 관속식물 종수 변화 확인 결과 2기 때 증가하였으나 전반적으로 감소추세를 나타냄

그림 4-20.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연도별 관속식물 종수 변화상

지네발란(멸종위기Ⅱ급) 기수별 관속식물 분류군 수 변화상

2) 식생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식생 조자지점의 경사도는 0°~35° 정도로 평균 경사도는 19°이며, 토양은 갈색삼림토로 이루어져 있고 미세지형은 평면이 많이 확인됨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식생군락 조사 결과 물푸레나무-느티나무군락, 물푸레나무-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굴참 나무-느티나무군락 등 총 9개의 식생군락이 확인되며, 우점군락, 식생보전등급 등 항목별 식생현황 조사 결과는 아래 표와 같음

표 4-16.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식생 현황

구분 종명

주요 우점군락 굴참나무군락, 물들메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종다양도(범위, 평균) 0.503~1.246(평균 : 0.927)

균재도(범위, 평균) 0.646~0.946(평균 : 0.832) 우점도(범위, 평균) 0.054~0.354(평균 : 0.168)

식생보전등급

Ⅱ등급 9개 지점(Ⅱ-a 3개 지점, Ⅱ-b 6개 지점)

Ⅲ등급 1개 지점

Ⅳ등급 1개 지점(F3지점이 Ⅱ-b, Ⅳ 두가지로 평가)

Ⅴ등급 2개 지점

※ 식생보전 등급 Ⅱ등의 경우, 식생안정화의 향상(Ⅰ등급)과 하향(Ⅱ등급)을 검토하기 위해 a,b,c 3가지로 임의적 세분화하여 평가함(군락의 입지 및 식물 사회학적 특성을 종합하여 조사자가 최종판정)

(2) 군락 다양성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2012) 결과,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이 우점하는 것으로 확인됨

· 금회차 공원조사에서는 이전과 조사목적, 조사지점, 주요 방법이 상이하여 전차년도와의 단순한 1:1 비교는 의미가 없 을 것으로 판단됨

그림 4-2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주요 식생군락

F6(동백나무군락) F7(돌뽕나무군락) F8(구실잣밤나무군락)

3) 포유류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서식이 확인되는 포유류는 중·대형 포유류 2목 5과 8종, 소형 포유류 3목 5과 8종이 확인됨

· 주요 포유류로 멸종위기야생생물 3종, 천연기념물 1종, 한반도 고유종 1종, 외래종 4종 등을 확인함

표 4-17.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주요 포유류 현황

구분 내용 총계

중·대형 포유류 식육목, 우제목 2목 5과 8종

소형 포유류 첨서목, 익수목, 설치목 3목 5과 8종

법정보호종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수달 1종

Ⅱ급 삵, 담비 2종

천연기념물 수달(제330호) 1종

한반도 고유종 고라니 1종

외래종 개, 고양이, 꽃사슴, 염소 4종

(2) 종수 변화

· 4기 공원자원조사는 생물 종 중심에서 서식지 기반으로 조사 기준을 변경하여 조사 지점, 방법 등의 차이로 이전 조 사(1~3기)와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3기(2018년) 조사결과는 2012년 팔영산 자원조사 결과와 합산하였음

· 이전 조사(1기~4기) 결과와 전체를 합산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서식 생물종의 변화 추이를 확인함

· 연도별 포유류 종수 변화 확인 결과, 1기부터 3기 조사 시 까지 관찰 종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4기 조사 시 감소하 였으며, 누적 종수 확인 결과 41종이 확인됨

그림 4-22.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연도별 포유류 종수 변화상 (단위 : 종)

수달 기수별 포유류 종수 변화상

4) 조류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서식이 확인되는 조류는 총 14목 39과 84종 2,109개체이며, 조류 현황조사 결과 법정보호종 은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2종, 적색목록종 3종, 천연기념물 2종이 확인됨

· 우점종으로는 외가리, 직박구리, 홍머리오리, 붉은머리오목눈이 등이 확인됨

· 주요 조류로는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인 팔색조, 긴꼬리딱새, 국가적색목록종인 왕새매, 팔색조, 긴꼬리딱새, 천연기념 물로 두견이, 팔색조 등이 확인됨

표 4-18.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주요 조류 현황

구분 종명 종수

우점종 외가리, 직박구리, 홍머리오리, 붉은머리오목눈이 -

법정보호종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팔색조, 긴꼬리딱새 2

국가적색목록 왕새매, 팔색조, 긴꼬리딱새 3

천연기념물 두견이(제447호), 팔색조(제204호) 2

(2) 종수 변화

· 4기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는 생물 종 중심에서 서식지 기반으로 조사 기준을 변경하여 조사 지점, 방법 등의 차이로 이전 조사(1~3기)와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이에, 이전 조사(1기~4기) 결과와 전체를 합산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서식 생물종의 변화 추이를 확인함

· 연도별 조류 종수 변화 확인 결과, 2기에 관찰종수가 증가하였다가 3기에 감소하였으며, 4기 누적 종수 확인 결과 341 종이 확인됨

그림 4-2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연도별 조류 종수 변화상 (단위 : 종)

팔색조 기수별 조류 종수 변화상

5) 곤충류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서식이 확인되는 곤충류는 주간 곤충류 11목 78과 208종, 야간 곤충류 6목 62과 495종으 로 확인됨

· 현지조사에서 주간곤충류는 딱정벌레목(60종)과 벌목(39종)노린재목(32종), 나비목(30종), 파리목(15종), 메뚜기목 (14종) 등 순으로 많은 종이 출현한 것으로 확인됨

표 4-1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곤충류(주간/야간) 현황

구분 종명 분류군 수

주간 곤충류

한반도 고유종 누런방아벌레, 우리호리병거저리, 등줄어리쌕쌔기 3

한국적색목록종 붉은무늬송장벌레, 뿔소똥구리 2

국가기후변화지표종 남방노랑나비, 먹그림나비 2

국외반출 승인대상종 다리무늬침노린재, 두점박이좀잠자리, 방울실잠자리, 밀잠자리 등 33

생태계교란종 등검은말벌 1

야간 곤충류

멸종위기종 애기뿔소똥구리 1

한반도 고유종 등점목가는병대벌레, 광릉다색우단풍뎅이, 밑검은각시가지나방 등 8 국외반출 승인대상종 쌍무늬먼지벌레, 장수풍뎅이, 노랑무당벌레, 늦반딧불이 등 31

(2) 종수 변화

· 4기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는 생물 종 중심에서 서식지 기반으로 조사 기준을 변경하여 조사 지점, 방법 등의 차이로 이전 조사(1~3기)와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이에, 이전 조사(1기~3기) 결과와 4기 조사 결과를 합산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서식 생물종의 변화 추이를 확인하였으며, 연도별 곤충류 종수 변화 확인 결과, 2기 조사 시 관찰종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4기 누적 종수 확인 결과 3,080종이 확인됨

그림 4-24.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주요 곤충 출현종

뿔소똥구리

6) 양서·파충류

(1) 제4기(2021년) 조사 결과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양서류는 2목 5과 8종 366개체가 발견되었으며, 법정보호종(멸종위기야생생물, 천연기념물) 및 생태계교란종은 확인되지 않음

· 파충류는 총 2목 6과 14종 96개체가 발견되었으며, 법정보호종으로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인 구렁이 1종, 생태계교 란종은 붉은귀거북 1종이 확인됨

· 우점종 확인 결과, 양서류는 전체 366개체 중 청개구리가 199개체, 파충류는 전체 96개체 중 줄장지뱀과 붉은귀거북 이 각 16개체로 가장 많이 확인됨

(2) 종수 변화

· 4기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는 생물 종 중심에서 서식지 기반으로 조사 기준을 변경하여 조사 지점, 방법 등의 차이로 이전 조사(1~3기)와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1기~4기 결과와 전체를 합산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서식 생물종의 변화 추이를 확인함

· 연도별 양서·파충류 종수 변화 확인 결과, 4기 파충류 종수는 감소하였지만 양서류와 파충류 모두 점진적으로 출현종 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냄

· 4기 누적 종수 확인 결과 양서류는 10종, 파충류는 19종이 확인됨

그림 4-2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연도별 양서·파충류 종수의 변화 (단위 : 종)

두꺼비 기수별 양서류 종수 변화상

구렁이 기수별 파충류 종수 변화상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