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자연생태계

2. 특정서식지

· 서식지 구역

-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 자연생태계와 경관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23개 지역 총 11,413,731.49m2이 지정되어 있으며, 멸종위기종과 습지 서식지를 보호하고 있음

· 동·식물 - 식물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한란은 소안도-청산도지구의 보호구역 내에서 서식하며, 보호구역 밖에도 분포가 확인됨

· 팔영산지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석곡의 서식지는 곡강에서 선녀봉 가는 절벽 바위틈에 있으며, 위치 특성상 교란의 위험은 적은편으로 개체수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필요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대흥란은 소안도-청산도지구 탐방로 주변에서 1개체가 확인되어 탐방객에 의한 서식지 파 괴 및 불법채취 등의 위험도가 높아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함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황근은 소안도-청산도지구의 보호구역 내에서 서식하고 있으나, 보호구역 주변이 야적장으 로 이용되며 해양쓰레기가 방치되어 있어 관리가 필요함

· 국내 자생지 정보가 없어 국내 절멸 또는 분포가 의심되었던 물석송이 소안도-청산도지구에서 소규모 군락이 확인 되었으며, 2018년과 비교하여 개체수가 급감하여 특별보호구역 지정 및 정밀한 자생지 관리가 필요함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콩짜개란은 소안도-청산도지구에서, 지네발란은 나로도 지구에서 서식이 확인됨 - 포유류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수달은 팔영산지구(F6), 소안도-청산도지구(F10, R4), 금오도지구(R5)에서 확인됨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삵과 담비는 팔영산지구(F3)에서 확인됨 - 조류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팔색조는 금오도지구, 소안도-청산도지구, 팔영산지구에서 확인되었고, 긴꼬리딱새는 소 안도-청산도지구, 팔영산지구에서 서식이 확인됨

- 양서파충류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구렁이가 소안도-청산도지구(R1, R4, W1)와 금오도지구(R5, W3)에서 개체 확인 및 흔적(

허물)을 통해 확인됨 - 곤충류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애기뿔소똥구리는 안도, 금오도, 소안도에서 채집됨 - 담수어류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좀수수치가 금오도지구의 R5와 R5-2 지점에서 확인됨

그림 4-14.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 멸종위기종 출현 위치

그림 4-1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특정서식지에 서식하는 동·식물 사진

지네발란(멸종위기Ⅱ급) 석곡(멸종위기Ⅱ급) 황근(멸종위기Ⅱ급)

긴꼬리딱새(멸종위기Ⅱ급) 팔색조(멸종위기Ⅱ급) 좀수수치(멸종위기Ⅰ급)

그림 4-16.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 멸종위기종 출현 위치

그림 4-1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 멸종위기종 출현 위치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