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자연생태계 종합평가

3-2 해양생태계

4. 자연생태계 종합평가

· 자연생태계 서식지 평가 회의를 통해 관리지구별 서식지 보전상태 및 자연자원 관리상태를 평가하였으며, 다도해해상 국립공원은 평균 A등급의 ‘우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됨

표 4-51. 공원자원조사 종합보고서 분야별 종합평가

관리지구 평가등급 주요내용

소안도·

청산도 지구

곤충

소안도, 청산도지구는 도서지역으로서 곤충 서식 특이성이 나타남. 때문에 단순 곤충 종 다양성으로 평가등급을 판단하는 것은 위험하고, 조사 결과 여러 법정보호종이 발견되는 점, 곤충 다양성 역시 그 종 수가 적지 않은 점을 보아 등급 재조정 실시(C → B)

식물

식생의 보전상태는 우수한 편(A등급 2개, B등급 1개)이고, 식물상 결과는 우수(A등급 3개)한 지역이며 지점외 결과를 포함하면 소안도, 청산도 지구의 양치식물 계수는 공원의 평균(1.55)보다 약간 높은 편(1.63)이며 귀화율은 공원의 평균(8.0%)보다 약간 낮아(6.9%) 식생의 교란정도가 적은 것으로 판단되며 지구 내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콩짜개란, 지네발란, 석곡, 대흥란, 황근 등이 분포하는 중요 지역으로 종합하여 A등급으로 평가함.

식생

일반적인 난대성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보전상태도 양호한 것으로 판단됨. 이에 식생보전등급 Ⅱ-a 판정에 동의하며 기존 평가등급 A 유지.

조류 멸종위기종인 팔색조, 긴꼬리딱새, 왕새매 등이 관찰되는 등 여러 보호종이 관찰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종다양도는 높지 않아 평가등급은 유지.

포유류

인가와 접해있어 들고양이, 들개 등의 출현이 많아 야생동물 서식지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 공사 장비 및 폐기물 등의 오염으로 인한 서식지 이용이 어려워 환경 개선 등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상향을 위한 요인을 발견하지 못하여 평가등급 유지.

양서 파충류

양서파충류 종다양성이 낮고 외래종 서식, 개발압이 높음. 다만 해당지구에서 멸종위기 Ⅱ급인 구렁이가 확인되어 관리대책 미련이 필요.

담수 어류

저수지 방류량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면서 수위변화가 극심하여 하천연속성 단절된 구간이 다수 확인되며, 주거지와 인접하여 생활쓰레기와 생활하수 유입으로 인한 오염이 심각한 상태.

토지이용 특성으로 인한 하천으로의 직·간접적 교란이 발생하며, 유량부족, 쓰레기, 하수유입 등으로 인한 수생태계 내 악영향이 심각한 수준으로 판단되어 등급 재조정 실시(B → C)

저서 동물

소안도-청산도지구는 일부 주변 농경지 및 생활하수 등 유기물 유입 등의 영향을 고려할 때 기존 B등급 유지 필요

담수 조류

1차조사의 우점종은 수환경 건강성 평가에서 제외된 종임. 2차조사에서는 청수성분류군이 우점하고 수환경 건강성은 A, B로 평가. 1차 2차 조사의 수환경 등급의 차이는 강우량의 차이인 것으로 추정됨. 즉 1차조사는 심한 갈수기였으나, 2차조사시에는 조사 이전에 내린 강우로 인해 수계가 원래의 건강 상태가 유지된 것으로 추정됨. 그러나 일부 지점은 수량의 부족과 방치된 어구의 도구로 심한 악취가 발생됨. 거주민들과 소통을 통해 자연보존의 중요성에 대해 홍보가 필요함.

관리지구 평가등급 주요내용

금오도 지구

곤충 금오도 지역은 특별한 교란 요인이 발견되지 않고, 국외반출승인대상종, 기후변화생물지표종 등이 발견된점을 보아 현재 등급을 유지.

식물

식생의 보전상태는 보통(C등급 2개)이고, 식물상 평가는 관리필요(D등급 2개)이며 지점외 결과를 포함하면 금오도지구의 양치식물 계수는 공원의 평균(1.55)보다 비교적 높고(1.88), 귀화율은 공원의 평균(8.0%)과 유사하여 (8.4%) 식생의 교란정도는 보통인 것으로 판단되어 종합하여 C등급으로 평가함.금오도에는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석곡이 분포하여 중요 지역임.

식생

빈약한 산지습성림과 과거 농경지, 과수원 등 교란이 발생했던 지역으로 자연림으로의 회복 과정에 있지만, 현재 상태에서는 식생층위발달이

미약하고 숲틈 형성이 다수 존재하는 등 자연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됨. 이에 식생보전등급 Ⅳ등급 판정이 적합하며, 기존 평가등급 C에서 D로 하향조정.

조류

동백나무가 우점하고 식생이 단조로와 종다양도가 낮으나 멸종위기종인 팔색조가 확인됨. 하지만 경사가 급하고 하층식생이 덜 발달되어 조류서식지로는 적합하지 않은 지역도 있어 평가등급 유지.

포유류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수달의 서식이 확인되었지만, 외래종인 들개, 꽃사슴, 염소 등 외래 유입종의 서식지 이용이 확인되었음. 기존 서식하는 야생동물과의 경쟁 및 외래종(가축 등) 개체군 확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무소에서 주의 관찰이 필요하여 등급 재조정 실시(B→C)

양서 파충류

양서류 2종, 파충류 4종 확인. 상수원 보호구역 상류지역에 일부 사유지가 위치해 있음. 계곡의 경우 일부 구간 외에 접근이 어려워 상대적으로 인위적 교란이 적은 것으로 판단. 농업용수를 위한 저수지가 위치하고 있어 양서류 산란장으로 이용가능하고, 멸종위기 Ⅱ급 구렁이 서식 확인.

담수 어류

최상류역의 오염원이 없고 유량이 풍부하고 깨끗한 수환경을 보이며, 어류 서식환경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됨.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 좀수수치의 서식이 다수 확인되었으나, 하천 인근 농업 활동으로 인한 비점오염원의 유입, 수위조절 등으로 인한 서식지 교란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어, 생물종 보전을 위한 보전방안 수립이 필요.

인위적 교란에 대한 대책 마련이 수립될 경우, 매우 우수한 수환경을 나타내기 때문에 평가등급 유지.

저서 동물

금오도지구는 오염원이 없는 지역이나 유량이 부족하여 전반적으로 수생물이 서식하기 어려움이 있으므로 기존 B등급 유지 .

담수 조류

하천의 상류에 농가가 있음. 수환경 평가지수에서 제외된 종이 많이 출현하여 수질등급이 보통으로 평가.

관리지구 평가등급 주요내용

팔영산 지구

곤충

팔영산지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가장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산림 생태계이기 때문에, 곤충 서식지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높음. 또한 평가등급 하향의 요인인 등검은말벌의 경우 탐방객에게 위험성이 있는 곤충이지 그 위험도가 산림생태계 내에서 다른 곤충이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적음.

다른 고유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등이 다수 발견되는 점을 보아 등급 재조정 실시(B → A)

식물

식생의 보전상태는 양호 또는 보통인 편(B등급 2개, C등급 3개)이고, 식물상 평가는 보통 또는 관리필요(B등급 2개, C등급 1개, D등급 1개, E등급 1개)이며 지점외 결과를 포함하면 팔영산지구의 양치식물 계수는 공원의 평균(1.55) 보다 비교적 높고(2.13), 귀화율은 공원의 평균(8.0%)보다 낮아(4.2%) 식생의 교란정도가 적은 것으로 판단되며 지구 내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석곡이 분포 하는 중요 지역으로 종합하여 B등급으로 평가함

식생

일반적인 산지낙엽활엽수림의 식생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 탐방객에 의한 교란이 우려되는 곳이지만 현재 상태에서 특정할 만한 식생교란은 없는 것으로 판단됨. 이에 식생보전등급 Ⅱ-b 판정에 동의하며 기존 평가등급 B 유지

조류 멸종위기종인 긴꼬리딱새가 관찰되었으나 해발고도가 높거나 탐방로와의 거리가 가까워 전반적으로 종다양도가 낮게 나타났으므로 평가등급 유지

포유류

탐방로와 인접하여 있어 등급이 낮게(C) 측정되어 있으나, 지구별 조사구 중 멸종위기야생생물(담비, 삵)을 포함한 가장 많은 종수가 관찰되어(7종) 등급 재조정 실시(C → B)

양서 파충류

팔영산 자연휴양림이 위치해 있으나, 산림과 계곡이 잘 발달해 있으며, 사방댐이 위치해 있고 유량이 풍부하여 양서파충류 서식에 적함. 양서파충류 종다양성도, 풍부도도 타 지구에 비해 가장 높은 편임.

담수 어류

하천 내 교란이 없으며 최상류역의 맑고 깨끗한 수환경을 나타내며, 수생태계 건강성이 매우 좋음으로 평가되어 우수한 서식환경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됨. 별도 교란요인이나 하천 환경 및 생물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없으므로 평가등급 유지

저서 동물

팔영산지구는 유량이 풍부하며, 인위적인 교란요인이 없는 지구로 생물 다양성이 높은 지구로 기존 B등급에서 A등급으로 조정 필요(B → A)

담수 조류

하천은 자연상태를 잘 유지하고 있고, 인위적인 간섭요인은 전혀 없음.

1차조사에서 낮은 수질의 평가는 심한 갈수로 인해 등급이 낮아졌으나, 2차조사에서는 수질이 정상으로 유지되고 있음. 따라서 평가 재조정함(B → A)

V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