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부문별 추진실적 평가
1.1. 일반 현황
III. 지역 현황 및 적응여건 분석
1. 지역 현황 및 특성
전반적인 도시 전체의 지형으로는 경사도 10。 미만이 820.069㎢로 전체 면적의 81.9%를 차지하여 전반적으로 완만한 지형을 형성하고 있음.
경사도 면적(㎡) 구성비(%)
육지 도서 육지 도서
합계 324,591,887 579,686,690 100 100 5°미만 22,451,389 304,516,405 68.5 52.5 5°~ 15° 58,972,022 129,919,705 18.2 22.4 15°~ 20° 15,821,884 61,502,304 4.8 10.6 20°~ 30° 19,193,991 67,568,615 5.9 11.7 30°~ 45° 6,120,013 15,819,154 1.9 2.7
45°이상 2,032,588 360,507 0.6 0.1
<표 16> 인천광역시 육지 및 도서지역 경사 분석 현황
표고는 50m 미만이 726.852㎢로서 행정구역 전체 면적의 약 72.5%를 차지하고 있음.
분류 표고(m) 면적(㎡) 구성비(%)
육지지역
10 미만 152,767,436 41.1
10 ~ 20 57,611,009 17.7 20 ~ 30 33,297,682 10.3
30 ~ 40 20,594,219 6.3
40 ~ 50 13,805,501 4.3
50 ~ 100 31,650,304 9.8
100 ~ 200 13,577,417 4.2
200 ~300 1,105,990 0.3
300 이상 182,236 0.1
합계 324,591,885 100
도서지역
30 미만 373,302,540 64.4
30 ~ 60 85,087,066 14.7
60 ~ 100 52,330,717 9
100 ~ 160 36,861,082 6.4 160 ~ 250 23,957,578 4.1
250 이상 5,150,631 1.4
500 이상 42.60 4.7
합계 579,689,614 100
* 자료 : 2030년 인천광역시 공원녹지기본계획 (2016)
<표 17> 인천광역시 육지지역 및 도서지역 표고분석 현황
육지지역 8개구 전체지역에 대한 토양피복은 시가지가 61.7%, 녹지가 38.3%의 비율로 분포하며 녹지 중 조성된 공원녹지와 기타 녹지 및 오픈스 페이스는 전체 면적의 34.8%에 해당됨. 도서지역에 대한 토양피복은 시가지 가 23.4%, 녹지가 76.6%의 비율로 분포하며 녹지 중 조성된 공원녹지 내 자 연지형은 0.3%, 기타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76.3%임.
하천은 2011년 국가하천으로 지정된 아라천과 31개 지방하천으로 이중 도 심하천이 17개, 강화군에 위치16)한 하천이 14개임. 복개하천은 지류하천을 제외하고 10개소로 약 38%를 차지하고 있음. 규모는 유하거리가 대부분 10
㎞이하의 소규모 하천이며 강화군을 제외하고 대부분 도심지를 관통하는 도 심하천임.17)
<그림 7> 수계분석도
17) 2030년 인천도시기본계획 보고서(2015)
인천광역시는 다른 지자체에 비해 행정구역 대비 산지 비율이 낮으며 산 림 면적의 구성은 활엽수, 침엽수, 혼효림 순으로 넓음.
행정구역 면적 행정구역 면적
중구 3,538 계양구 1,155
동구 6 서구 3,151
남구 240 강화군 17,853
연수구 428 옹진군 11,449
남동구 1,319 합계 39,978
부평구 839
출처 : 산림청, 제 1차 산지관리기본계획(2013~2017)
<표 18> 지자체별 산지 현황
행정구역 침엽수 활엽수 혼효림 죽림 무림목지 합계
인천광역시 10,752 14,963 10,223 13 4,027 39,978 출처 : 산림청, 지역별산림기본통계(2015)
<표 19> 인천광역시 산림 구성 면적
[단위 : 면적(ha), 축적(㎥)]
한편, 인천광역시 내 기초지자체별 하천비율은 강화군, 중구 순으로, 시설 녹지비율은 서구, 중구, 연수구 순으로 높음.
<그림 8> 하천비율 및 시설녹지비율
용도지역 총 면적은 2013년 기준 약 1,138.66㎢이고 이중 도시지역이 50.1%, 서구, 강화 및 옹진군의 비도시지역이 49.9%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서구 및 중구는 공업지역이 가장 많이 지정되어 있음.
단위 : ㎢
구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합계 미지정
중구 12.43 5.83 12.64 110.47 141.37 0.25 동구 2.40 0.46 3.75 0.91 7.52 0.09
남구 14.53 3.22 2.65 4.45 24.85 -
연수구 19.36 3.58 1.29 21.34 45.57 73.41 남동구 15.45 1.98 11.32 27.73 56.48 13.95 부평구 14.30 1.90 5.20 10.50 31.9 - 계양구 8.17 0.64 1.99 34.75 45.55 - 서구 26.09 3.20 15.70 60.80 105.79 3.18 강화군 1.93 0.20 0.54 14.43 17.1 0.06
옹진군 - - 3.30 - 3.3 0.03
출처 : 2030년 인천도시기본계획
<표 20> 도시지역 용도지역 현황
도서의 개수는 증감을 반복하며 해안과 근접한 군구에 집중되어 있음, 예 외적으로 동구와 남동구에 무인도가 1개씩 등록되어 있음.
도서(개) 유인도 무인도 면적(㎢) 세대 인구(명) 연도,군구 147 38 109 286.54 11,095 23,895 2007 145 38 107 286.55 11,419 24,230 2008 145 36 109 404.11 11,976 25,074 2009 150 39 111 119.95 12,675 25,811 2010 151 39 112 292.14 13,238 26,440 2011 148 38 110 291.93 13,238 26,434 2012
12 3 9 11.32 469 883 중구
1 - 1 0.07 - - 동구
- - - 남구
- - - 연수구
1 - 1 1.70 - - 남동구
- - - 부평구
- - - 계양구
8 1 7 0.47 25 36 서구
26 9 17 106.47 2,908 6,030 강화군
100 25 75 171.90 9,836 19,485 옹진군 2013년 인천광역시 통계 연보
<표 21> 인천광역시 도서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