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부문별 추진실적 평가
3.1. 추진결과 및 주요성과
주요 성과 부문으로 건강, 재난/재해, 산림, 물 관리를 들 수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건강 부문 중 「취약계층 대상자의 폭염 및 자외선 보호 대책 마련」사업 은 폭염에 노출 시 건강에 피해를 입기 쉬운 독거노인과 같이 기후변화에 취약한 계층의 폭염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건강관리 지원체계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며 2013년 44,844가구를 방문건강관리 대상으로 등록하여 204,679 회 방문하였고, 2015년에는 건강관리 교육으로 범위를 확대, 폭염대비 건강 관리 교육은 총30,041건, 한파대비 건강관리 교육은 총28,441건 실시함.
재난/재해 부문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발생 건수가 증가함에 따 라 자연재해로 인한 국가재정부담 완화 및 실질적 복구비 지원을 위해 「재 해보험 활성화」사업 실시.
2013년에 주택 3,202개소, 온실 71,663㎡가 가입하였고 2015년에는 주택 5,318개소, 온실 111,915㎡ 가입하였음.
<그림 3> 풍수해보험 가입추이(2013~2015)
온실 가입 면적은 증가추세에 있으나 주택 가입 개소는 2014년까지는 증 가하였으나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풍수해로 인한 재해 빈도가 약하여 보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기 때문으로 판단됨. 이에 제2 차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사업을 실시하되 재해보험에 대한 홍보와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교육을 병행 실시할 필요가 있음.
산림 부문에서는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로 인해 산림병해충 발생 밀도가 높아지고 있어 산림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 예찰활동을 통한 조기발견 및 적기방제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산림병해충 예찰 및 조기방제체계 구축」사업을 실시함.
2013년 2개의 예찰방제단을 운영, 2,657ha에 대해 산림병해충 방제를 실시 하였으며 2015년에는 4개의 예찰방제단을 운영, 산림병해충 발생 2,252ha 방 제 실시
<그림 4> 병해충 발생 및 방제상황 추이(2013~2015)
물 관리 부문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강우 발생빈도가 증가함 에 따라 하수도시설에 대한 설계기준 상향 및 용량 증대 등으로 재난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침수대응 하수도시설 배수능력 강화」사업 실시, 2010년 부터 시작된 하수관거 정비 민자 사업이 2013년 준공되어 동년 하수관거 준 설 사업을 추진하였고 2015년에는 각 군·구로 확대하여 침수예방 하수도정 비 사업10) 추진
3.1.1. 총괄 부문
2015년 이후 새로 추가되어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평가」, 「기후변화 적응 네트워크 구성 운영」,「인천녹색기후마당 웹사이트 운영」,「기후변화 대응/적응 관련 국제협력」의 4개 세부과제로 구성되며 모두 완료함.
먼저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평가」는 웹 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도구(VESTAP)를 이용하여 보건, 산림, 물 관리, 생태계, 농업, 해양 및 수산, 재해의 7개 부문에 대한 인천광역시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함.
10) 관거, 집수받이, 맨홀 등 정비 및 준설
다음으로 기후변화 적응계획 수립 담당자들과의 소통을 확대하고 공동 대 응 기반을 구축, 적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기후변화 적응 네트워크 구성 운영」사업을 시행, 기후변화 시나리오 사용자 협의체 네트워크 회의에 참석 하여 지역별 기후변화 시나리오 제공현황에 대해 협의함.
이밖에도 기후변화 대응 관련 글로벌 협의체 참여를 통해 국제사회를 선도 할 수 있는 기후변화 적응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자치단체 국제환경협의회 (ICLEI11))에 2009년부터 정회원으로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ICLEI 세계총회, UNFCCC COP21에 참가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였음.
세부과제 주요내용 담당부서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Ÿ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조사·분석
7대 부문 32개항목 녹색기후과
기후변화 적응 네 트워크 구성 운영
Ÿ 기후변화시나리오 사용자 협의체 회의 참석
지역별 기후변화 시나리오 제공 및 분석보고서 활용 협의
Ÿ 기후변화 대응(적응) 네트워크 구성 운영
시 및 구·군 업무담당자 등 실무협의체
녹색기후과
인 천 녹 색 기 후 마 당 웹사이트 운영
Ÿ 인천녹색기후마당 홈페이지 운영 (gcf.incheon.go.kr)
자료 현행화 및 서비스진단, 검색포털 등록 등 Ÿ 주요 콘텐츠 : 포럼, GCF, 녹색기후정책업무 등
녹색기후과
기후변화 대응/적 응 관련 국제협력
Ÿ ICLEI 세계총회 참가 : 2015. 4. 8∼12
Ÿ UNFCCC COP21 참가 : 2015. 12월 녹색기후과
<표 3> 인천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총괄부문 세부과제
11) International Council for Local Environmental Initiatives : 1990년 8월 UN본부에서 개 최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지방정부 세계총회를 계기로 지구환경보호와 지속가능 발전의 가시적 성과 달성, 자치단체의 협력 증진을 위해 설립 (84개국 1,000여개의 지 방자치단체를 회원으로 하고 있으며 3년마다 개최
3.1.2. 건강 부문
부문 과제 실적
건강
기후변화 재해대응 응급의료 체계 구축
Ÿ 재난대비 무선통신망 운영 (‘12년 48개 소 →‘14년 51개소 → ‘16년 55개소) 기후변화에 따른 심·뇌혈관
질환 관리
Ÿ 신규환자 발견 및 등록 관리
(‘12년 60,000명 →‘16년 37,000명) 기후변화에 따른 감염병에
대한 빈틈없는 안전망 구축
Ÿ 주요 감염병 표본감시의료기관 운영 (‘12년 11종 119개소 →‘15년 12종 122개소)
<표 4> 건강 부문 주요 과제별 추진성과
건강 부문은 「기후변화 재해대응 응급의료체계 구축」, 「기후변화에 따 른 아토피·천식 예방 관리」, 「기후변화에 따른 심·뇌혈관 질환 관리」,
「알레르기 비염 환경보건센터 지원」, 「취약계층 대상자의 폭염 및 자외선 보호대책 마련」, 기후변화에 따른 감염병에 대한 빈틈없는 안전망 구축」,
「기후변화에 따른 매개 감염병 관리 강화」의 세부과제로 구성되며 계획한 사업을 추진 완료함.
이 중 기후변화 재해로 인한 대규모 환자 발생에 대비하여 응급의료 대응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기후변화 재해대응 응급 의료체계 구 축」과제를 추진하면서 구조 및 응급처치교육은 2015년 412회로 2013년 41회 대비 약 10배의 성과를 거두었고, 재난대비 무선통신망 구축은 2013년 51개 소 161개12)에 비해 2015년 55개소 169개로 확대하였음.
「기후변화에 따른 심·뇌혈관질환자 관리」과제 관련, 고혈압, 당뇨병 등 심뇌혈관 질환자 60,000명을 2012년 전산(ICDMS)에 등록하여 관리해오고 있으 며 2016년에 37,000명의 신규환자를 발견, 등록하였음.
「기후변화에 따른 감염병에 대한 빈틈없는 안전망 구축」과제에 대해서는 2012년 주요 감염병 11종에 대해 표본감시 의료기관 119개소 지정운영을 시 작으로 2015년 12종 122개소, 2016년 12종 121개소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음.
한편 신종 감염병 발생대비 훈련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법정 감염병 발 생 건수가 2013년 6,605건에서 2015년 5,723건으로 감소하는 성과를 거둠.13)
12) 응급의료정보센터 4개, 시청 3개, 소방본부 3개, 응급의료기관 55개, 군·구, 보건소 및 보건지소, 진료소 등 96개
13) 2016 인천 통계연보
세부과제 주요내용 담당부서
기후변화 재해대응
응급 의료체계
구축
2012년
Ÿ 응급의료기관 기반 폭염피해조사 운영 : 2012.7~8 Ÿ 응급의료정보센터 응급의료정보 제공 및 질병상담 운영
: 연중
Ÿ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 실시 : 4,000명 Ÿ 재난대비 무선통신망 운영 : 48개소 Ÿ 응급의료지원발전 프로그램 : 13개소
Ÿ 응급의료 전용헬기(Air Ambulance) 운영 : 시범운항 이후 출동범위 확대 : 50km 내외 → 130km
보건 정책과 2013년
Ÿ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 : 35,000명
대상 : 보건교사, 경찰, 산업체 안전관리자 등 Ÿ 무선통신체계 구축
시, 소방본부, 보건소·지소, 응급의료기관 등 Ÿ 응급의료지원발전 프로그램 : 15개소
Ÿ 도서지역 응급헬기 운항범위 확대
기존 덕적도에서 연평도까지 확대(80km내외 → 130km)
백령도, 대청도 도서지역 : 소방 및 해경헬기 이용
2014년
Ÿ 응급의료기관 평가 및 응급환자 이송체계 구축
Ÿ 시, 보건소, 응급의료기관에 무선통신체계 구축 : 51개소 Ÿ 응급의료지원 발전프로그램 : 15개소
Ÿ 응급헬기 운항 (연평도 인근 도서지역 130km 범위)
2015년
Ÿ 응급의료기관 기반 폭염피해조사 운영 : 2015. 6 ~ 9월 Ÿ 응급의료정보센터 의료정보 제공 및 질병상담 운영 :
연중
Ÿ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 실시 : 412회 / 48,898명 Ÿ 재난대비 무선통신망 구축 : 55개소 / 169개
Ÿ 응급의료기관지원발전프로그램 지원 : 16개소 / 1,649 백만원
Ÿ 응급의료전용헬기 운영 : 146건 / 3,000백만원
2016년
Ÿ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 실시 : 224회 / 17,184명 Ÿ 재난대비 무선통신망 운영 : 55개소 / 169개
Ÿ 응급의료기관 운영 및 지원 : 14개소 / 1,558백만원 Ÿ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영 : 115건
<표 5> 인천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건강부문 세부과제
세부과제 주요내용 담당부서
기후변화 에 따른 아토피·
천식 예방관리
2012년
Ÿ 아토피·천식 홍보사업
알레르기 체험 캠프 및 예방 사업 캠페인 : 7회/670명
아토피 천식 아동건강관리센터 운영 : 상담149명/진료 141명
Ÿ 아토피·천식 안심학교 운영 및 취약계층 환자 치료 및 관리
안심학교 운영 : 107회/6,130명
예방관리 교육 및 홍보 : 151회/3,866명
취약계층 알레르기질환 환자치료 및 관리 : 1,158회/567명
건강 증진과 2015년
Ÿ 아토피·천식 홍보사업
알레르기 체험 캠프 및 예방 사업 캠페인 : 7회/670명
아토피 천식 아동건강관리센터 운영 : 상담149명/진료 141명
Ÿ 아토피·천식 안심학교 운영 및 취약계층 환자 치료 및 관리
안심학교 운영 : 107회 / 6,130명
예방관리 교육 및 홍보 : 151회 / 3,866명
취약계층 알레르기질환 환자치료 및 관리 : 1,158회 / 567명
2016년
Ÿ 아토피·천식예방관리 교육·홍보 : 160회
Ÿ 취약계층 알레르기질환 환자치료 및 관리 : 800건 Ÿ 안심학교 운영 : 80개소
기후변화 에 따른 심·뇌혈
관 질환 관리
2012년
Ÿ 혈압․혈당․혈중지질 알기 캠페인 등 만성질환 예방홍보 Ÿ 고혈압·당뇨병 환자 전산(ICDMS)등록 및 관리 60,000명 Ÿ 등록환자 및 시민 고혈압·당뇨병 예방교육 10개소
/80,700명
건강 증진과 2013년
Ÿ 상설교육장 운영 등 만성질환 예방교육 : 16개소/28,000명
고혈압(88.4%→89.4%), 당뇨병(91.3 %→92.0%) 약물치료율 향상
Ÿ 만성질환 예방관리 사업지원단 위탁‧ 운영 Ÿ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설치‧운영
2014년 Ÿ 심뇌혈관질환 담당자(보건소) 전문교육 : 10명
Ÿ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지원단 운영 : 인하대학교
2015년
Ÿ 고혈압, 당뇨병 등 심뇌혈관질환자 등록 및 관리 : 152,467명
Ÿ 상설교육장 운영 등 교육 : 2,904회 / 79,703명 Ÿ 환자 조기발견 캠페인 및 예방 홍보 : 2,517회 Ÿ 지역사회 건강조사 : 10개 군·구 9,000명 2016년
Ÿ 신규환자발견 및 등록관리 : 37,000명 Ÿ 심뇌혈관질환 홍보 : 2,600건
Ÿ 지역사회건강조사 : 8,965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