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인천광역시 제2차 기후변화 적응대책 추진방향 설정에 참고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와 입지조건이 유사한 해외 선진국 지자체를 선정하여 이들의 기 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사례와 비전을 살펴보고자 함. 이에 아시아 중 중국 홍콩, 유럽 중 스페인 바르셀로나, 북아메리카의 캐나다 밴쿠버, 미국의 뉴올 리언스, 오세아니아의 호주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주(州)를 선정하여 기후변 화 적응대책 동향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음.

6.1.2. 미국 뉴올리언스

뉴올리언스는 「Resilient New Orleans」에서 변화하는 환경을 포용하는 도시(We are a city that embraces our changing environment), 평등한 도시 (We are an equitable city), 역동적이고 대응체계가 잘 구축된 도시(We are a dynamic and prepared city)의 3개 목표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음의 노력을 설명하고 있음.

<그림 67> 로워 나인스 워드(Lower Ninth Ward) 지역의 빗물 정원 및 지반 높임(home elevation) 사례

■ 연안보호 및 복구 진행

연안습지 조성을 통한 홍수예방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BP합의금(BP settlement)36), 복구법(Restore Act) 등을 통해 가용한 재원을 활용하여 루이지애나 연안보호 및 복구 당국(CPRA)37)의 노력을 지원

■ 개인(부동산 소유자)이 리스크 저감에 투자하도록 유도

뉴올리언스는 개인(부동산 소유자)이 자신의 리스크를 줄이도록 인센티브를 제공 하는 회복탄력성 보완 프로그램(resilience retrofit program)을 수립함. 시는 이 프로 그램을 실행하는데 PACE(Property-Assessed Clean Energy)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재정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있음. PACE는 개인이 초기 투자비 없이 에 너지 효율 개선 조치를 할 수 있는 자발적 프로그램이며 대신 이 비용은 최장 20년간의 재산세 납부금액에 합산됨. 이러한 저금리 자본과 잠재적인 보험료 감 면38)은 개인(부동산 소유자)이 주택지반 높임(home elevations), 침수예방, 태풍 36) 2010년 멕시코 만에서 BP(British Petroleum) 시추선이 폭발하여 유출된 원유로 루이지

애나와 플로리다 등 5개 주 해변이 피해를 입음에 따라 BP는 피해배상을 위해 200억 달러 규모의 기금을 조성

37) the Louisiana Coastal Protection and Restoration Authority는 허리케인 카트리나와 리 타의 여파로 루이지애나 주의회에 의해 신설

38) 미국은 주택소유자에게 재산세뿐만 아니라 소유주 보험료도 청구

차단문(storm shutter) 등 태풍에 대한 회복탄력성 개선에 투자 할 수 있는 인센 티브로 작용

■ 생활의 모든 면에 환경을 생각하는 문화 조성

시는 환경과 재난대응에 대한 체험학습의 허브 역할을 하는 단체와 협력하여 변 화하는 환경에 대한 최상의 정보를 제공하여 콘텐츠 개발을 지원. 또한 회복탄력 성 센터(resilience center)를 설립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교육 등을 통해 공공 및 민간 부문 종사자에게 실무능력 및 우수 사례에 대한 지식 전달

■ 가계재정 안정성에 투자 : 비상저축계좌(emergency savings account) 프로그램 개발

저소득자와 중간소득자가 비상 시 사용할 수 있는 기금을 별도로 마련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작함. 이 프로그램은 뉴올리언스에 있는 은행 미용자(unbanked)39) 및 은행 저이용자(under-banked)에게 은행으로의 거래기회를 제공하여 값비싼 금 융 상품에 덜 취약하게 만듬

■ 건강해질 기회를 공평하게 제공

신선 식품 소매업자 이니셔티브(Fresh Food Retailer Initiative)는 슈퍼마켓, 식료품 점 및 기타 신선 식품 소매업자에게 저금리 대출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판매하 는 신선 식품에 대해 취약계층의 접근성을 높여줌

■ 저렴하고 안전한 주택에 대한 접근성 확대

미국 전체 가구 중 약 1/3이 세입자 가구인데 비해 뉴올리언스는 절반 이상이 세입자 가구임. 지난 10년간 집세가 소득보다 더 빠르게 상승하면서 소득의 30%

이상을 집세로 내는 가구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비합리적인 집세로 인해 많은 가 구가 대중교통 수단이 직장 접근성에 취약한 지역으로 이사함

■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가외성 및 신뢰성 제고

뉴올리언스는 핵심 인프라 시스템에 대한 에너지 중단 위험을 평가하여 비상발 전 또는 마이크로 그리드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있음. 마이크로 그리드 는 기존의 전력계통과 별도로 자율적으로 작동하고 정전의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소형 백업 발전 및 분전 시스템인데 전력계통의 회복탄력성을 강화 하고 시스템 응답 및 복구를 보다 빠르게 지원할 수 있음

39) 뉴올리언스 주민의 12.5%는 은행계좌가 없는 은행 미이용자(unbanked)임

6.1.3. 스페인 바르셀로나

바르셀로나는 「Barcelona, a city committed to combating climate change」에서 지중해에서의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리스크가 높아 기후변화의 영향에 취약 하므로 “도전, 영향 및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학습을 통하여 극복하 고 더 강해지며, 도시에 가치를 더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보장 할 수 있는 도시가 되는 것(Barcelona wants to be a city able to proactively tackle its challenges, impacts and crises, overcoming them while learning, getting stronger, adding value to the city and guaranteeing the quality of life of its citizens.)”을 비전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노력을 설명하고 있음.

■ 보건을 위한 지원 및 예방

카탈로니아주(州)는 2004년부터「폭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예방하기 위한 행동 계획」을 실시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취약계층에 대한 사업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이 있음

구분 내용

취약계층을 위한 예방사업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돌보 는 서비스40)를 통해 상황을 모니터링함.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가장 더울 때 외출 삼가, 노인정 내 활동 연장 등의 조치 시행

거리에서의 예방사업

바르셀로나 비상 센터(Barcelona Social Emergency Centre)에 의 해 전문가 21명 및 차량 6대로 구성되어 야외에서 위험에 처한 사람에게 물을 주거나 이용 가능한 냉방시설 구비시설 안내

■ 물 공급을 보장하기 위한 계획 및 주요 작업

2009년 7월 20일 바르셀로나의 El Prat de Llobregat에서 담수시설 가동되었는데 이 시설은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현재 용량의 10%만 가동되더라도 1년에 60h㎥

이상의 음용수(바르셀로나 및 대도시 지역에 공급되는 물의 25%)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음. 한편 가뭄 리스크에 대한 지자체 실행계획으로 지자체 의회(1단계 비상상황) 조치에 따라 분수가동시간을 줄이고 거리청소 및 관개 등을 위해 지하수 사용을 67%로 늘리는 것 등을 통하여 물 약 83,000㎥/월 절감

40) Remote Assistance, Home-Based Care Service, social service centres 등

스페인 바르셀로나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방안-폭염부문

■ 홍수 관리 및 해안선 보호

먼저 홍수 관리를 위해서는 빗물 수집용 지하탱크 네트워크를 활용하는데 도시 유출수는 매우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이 빗물이 바다로 직접 흘러 들어가는 것 을 방지하고 홍수를 예방하기 위해 이 물을 탱크에 우선 저장함. 우기가 끝나면 물은 각 지하탱크에서 수처리장으로 보내어져 바다에 버려지기 전에 처리되는 빗물의 비율이 증가.

해안선 보호를 위해서는 「바르셀로나 해변 안정화 계획(Barcelona’s Beach Stability Plan)」을 통해 해안선을 관리하는데 이 계획은 도시 해안선을 보호하고 매년 태풍의 영향으로 인한 모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수립되었음. 비용은 3,300만 유로(환경부 지원)이며 약 5,000m의 바르셀로나의 해안을 대상으로 함.

이 계획은 여러 단계로 진행될 것이며 첫 번째 조치는 해변에서 모래를 쓸어가 는 해류를 막기 위한 제방을 건설하고 70만㎥ 이상의 모래를 공급하는 것임.

6.1.4. 중국 홍콩

홍콩은 「Hong Kong Climate Change report 2015」에서 따로 비전을 제시 하지는 않고 기후변화가 홍콩에 미치는 영향, 홍콩 내 온실가스 배출량, 기 후변화 완화와 적응을 위한 노력 등을 설명하였으며 이 중에서 적응에 관련 한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음.

■ 기온상승 관련 주요대책

HKPSG(Hong Kong Planning Standards and Guildelines)는 더 나은 도시 공기 환기를 촉진하기 위해 건물형태, 건물높이, 거리방향, 바람길(breezeways) 등과 같은 부 분에 대한 설계 지침을 제공하는데 이는 도시열섬 효과에 대처하고 도시의 미기 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줌. 2006년부터 정부는 주요 정부 사업에 공기환기 평 가(air ventilation assessment)를 요구하였고 평가결과는 사업 주변지역으로의 통풍 개선을 위한 설계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음. 민간 부문도 이를 따르도록 권장됨.

PlanD는 2012년에 도시기후기획 추천지도(Urban Climatic Planning Recommendation Map)를 작성하여 주요 개발에 도시기후 및 공기환기가 미치는 영향 평가 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였고 이는 열섬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도움이 됨.

정부는 토목개발부(Civil Engineering and Development Department) 주도로 구역 단위의 녹화마스터플랜(Greening Master Plans)을 수립하여 구역별 특성 및 수요 검토를 통한 구역별 녹화체계를 규정하고 사업계획, 설계, 시행 시 참고할 수 있 도록 가이드도 제공. 도심구역에 대한 녹화마스터플랜은 2007년에 시작되어 2011 년에 완료되었고, 나머지 구역에 대한 녹화마스터플랜은 진행 중임.

2011년부터 정부는 공기 환기를 개선하고 열섬효과를 완화하기 위해 건축 이격 (building separation), 건축 후퇴선(building setback), 부지 조경(site coverage of landscape) 등에 대해 일련의 지속가능한 건물 설계 가이드라인(Sustainable Building Design Guidelines)을 공표

■ 홍수예방 관련 주요대책

지난 20년 간 배수서비스부(Drainage Services Department)는 전국 홍수취약지역 을 대상으로 배수 마스터플랜 연구(drainage master plan studies)를 점진적으로 진행했으며 배수 개선 공사로 배수 시스템이 크게 개선되었음. 2008년부터는 배 수시스템 용량 증대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대한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추가 개선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배수 마스터플랜 검토 연구가 시작되었고 현재까지 3개 구역은 완료, 5개 구역은 진행 중, 나머지 4개 구역은 계획 중임.

1995년 이후 배수서비스부가 121개의 홍수취약지역을 2015년에 10개까지 줄인 덕분에 최근 도심 및 농촌 지역에서 홍수는 심각하지 않았으며 나머지 홍수취약지역에 대한 공사는 계획 중에 있음.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