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성: 병상의 종류를 구분하여 병상종류별로 인력 및 시설기준, 지불보상체계가 다름
가. 병상종별의 종류 (의료법 제7조)
: 정신병상, 감염증병상, 결핵병상, 요양병상, 일반병상
① 정신병상 : 병원의 병상 가운데, 정신 질환을 가지는 사람을 입원시키기 위한 것을 말함.
②감염증병상: 병원의 병상 가운데, 감염증의 예방 및 감염증의 환자에 대한 의료에 관한 법률(헤세이10년 법률 제114호) 제6조제2항에 규정하는 동류 감염증, 동 조 제3항에 규정하는 2류 감염증 및 동조 제8항에 규정하는 신감염증의 환자 를 입원시키기 위한 것을 말함.
③ 결핵병상 : 병원의 병상 가운데, 결핵의 환자를 입원시키기 위한 것을 말함.
④ 요양병상 : 병원 또는 진료소의 병상 가운데, 전 절 이름 위에 붙이는 칭호로 내거는 병상 이외의 병상에서, 주로 장기에 걸쳐 요양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입원시키기 위 한 것을 말함.
⑤ 일반병상 : 병원의 병상 가운데, 전 각 호로 내거는 병상 이외의 것을 말함.
나. 요양병상 보수지불체계(수가)
□ 일본의 요양병상은 의료보험적용 요양병상과 개호보험 적용 요양병상이 모두 있음.
~ 38 “
0 의료보험적용 요양병상은 환자에 따른 case-mix가 없는 포괄수가(1990년부터)로 서, 의료인(주로 의사)의 자원이용량을 반영하여 만들어진 것임.
0 개호보험적용 요양병상은 case-mix(개호도)가 반영된 포괄수가로서 의료기관밖 의 판정위원회에서 개호등급을 받음. 이때의 case-mix는 의료자원의 소모에 따 른 것이 아니라 주로 개호인력의 care 시간에 따른 것임.
□ 의료보험적용 요양병상 수가
구분 요양병동입원기본료 1 요양병동입원기본료 2
일 반 1,209점 1,138 점
노 인 1,151 점 1,080점
인력기준
간호직원 5; 1이상
(간호사비율 20%이상)
간호보조자 4: 1이상
간호직원 5: 1이상
(간호사비율 20%이상)
간호보조자 5: 1이상
□ 개호보험적용 요양병상 수가
구분 서비스비(I) 서비스비 (n) 서비스비 (in)
요개호 1 820단위 760단위 730단위
요개호 2 930단위 869단위 841 단위
요개호 3 1,168 단위 1,029단위 992단위
요개호 4 1,269단위 1,185 단위 1,149 단위
요개호 5 1^360단위 1,227단위 1,190 단위
인력기준
간호직원 6tl。}상
(간호q바율 2%)생 긴호보조자4 1아상
간호작원 61아상
(간호사바율 20%아생 간호부조자5 1아^
간호작원 61아상
(간호<1바율 20%아생 간#2자6 1아^
- 39 -
□ 의료보험 적용요양병 상과 개호보험적용요양병 상의 비교
항목
일 본
한국의요양병원 개호보험적용 요양병상 의료보혐적용 요양병상
인력기준
의사 100 : 1 간호직원 6: 1이상
(간호사20%이상)
간호보조자 4:1, 5:1, 6:1 이상
의사 48 : 1 간호직원 5: 1이상
(간호사 20%이상)
간호보조자 4: 1, 5: 1 이상
의 사 40 : 1 간호사 6; 1이상
(2/3 범위내에서 간호조무사로
대체 가능)
급여비용 위의 표 참조 위의 표참조 입원료 18方00원 外
입원기간에 따른
가감 - 180일 초과의 경우 15% 감산(특정 환자는 감산에서 제외)
181일부터 5% 감산 361일부터 10% 감산
가산 재활, 집중적 의학적 치료나 관리 둥에 대한 가산없음
-일상생활장해가산 40점/1일당 - 치매가산 20점/1일당
'욕창환자관리가산 20점/1입원당 둥
* 수술, 일부 처치나 재활등은 포괄 수가에 포함되지 않으며, 별도가 산없음
내과질환자, 정신질환자, 만8세미 만 소아환자 : 입원료 소정점수에 30% 가산
본인부담 10%+ 식사대의
표준부담액(780엔/0)
70세이상 :10%(고소득자 20%)
70세미만 :30%(3세미만20%) 20%
본인부담 한도액
-일반 : 37,200엔/월
-저소득자 :24>600/ 15,000얜/월
-일반 : 4(X200엔/월
•저소득자:24方00엔/15,000엔/월 -일정이상소득자 :72300엔/월
6개월간 300만원
급여범위
급 여: 일반적인 의료서비스 및 식 비, 기저귀, 간병비
비급여: 세탁비, 상급병실료
급 여: 일반적인 의료서비스 및 식 비, 간병비
비급여: 기저귀, 세탁비, 상급병실 료
급 여:일반적인 의료서비스 비급여:기저귀, 간병비, 상급병실료 둥
환자상태 의학적 관리와 장기요양 모두가 필 요한요개호인정을 받은환자
주로 장기에 걸쳐 요양을 필요로 하는 환자(집중적인 의학적관리와 장기요양을 요하는 환자)
노인성질환자, 만성질환자 및 외과 적수술후 또는 상해후회복기간에 있는 자로서 주로 요양을 필요로 하는자
계 획
장기요양서비스사용 계획
(케어메니져가 계획 수립)
clinical pathway
(의사, 간호사가계획 수립)
clinical pathway
(의사, 간호사가계획 수립)
_ 40 _
예속>
항목 요양병상
개호보혐적용 의료보혐적용
수가체계 개호보수 월정액(포괄수가) 일당 정액제(포괄수가)
정액수가 포괄내용
포괄에서 제외되는 항목 별도 없음
① 투약, ② 검사, ③주사(요양병동의 경우 에리스로포이에틴 제외) ④ 영상진단: X선 단순촬영
⑤ 재활치료: 이학요법중 집단요법,작업요법중 집단요법언어청각요법중 집단요법
⑥ 처치: 창상처치(단화상처치 제외), 객담흡인 적변 산소흡입, 산소텐트 피부과연고처치, 방광세정, 유치카데터설치(노인유치카테터설치포힘), 도뇨(노인도뇨료포함, 간헐적도뇨제외),질세정, 눈처치,귀처치, 이관 처치,코처치,구강인두처치, 후두처치, 네블라이져,초음파네블라이져, 개달견인 소염진통등처치, 비강영양노인처치 료
유 일상생활장해가산 및 치매가산의 요건
0 일상생활장해가산의 요건 : 「장해노인의 일상생활자립도 판정기준」등급B 이상에 해당 하는 경우. 단, 경관영양, 유치카테터 설치하고 있는 경우 제외
0 치매가산의 요건: 「치매성노인의 일상생활자립도 판정기준」등급nb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단/ 중도의 의식장해가 있는자(Japan Coma Scalen-3이상, 또는 Qasgow Coma Scale 8점이하의 상태인 자)는 제외
- 41
□ 회복기재활병동입원료
구분 내 용
병동정의
뇌혈관질환 또는 대퇴골경부골절등의 환자에 대해, ADL능력을 향상시켜 와상상 태방지하고 가정복귀를 목적으로, 재활프로그램을 의사, 간호사, 이학요법사, 작업 요법사 둥이 공동으로 작성하고, 이를 기초로 재활을 집중적으로 행하는 병동으로, 회복기재활을 필요로 하는 상태의 환자가 상시 80%이상 입원하고 있는 병동
산정기준
별도 후생노동대신이 정하는 주로 회복기재활을 행하는 병동에 관한 시설기준에 적합한 것으로서 보험 의료기관이 지방사회보험사무국장에게 신고한 병동에 입원 하고 있는 환자이며, 별도 후생노동대신이 정하는 회복기재활요법을 필요로 하는 상태에 있는 것에 대함.
입원료 1,680점 (1 일당)
산정기한 해당병동에 있는 날로부터 기산해 180일 한도 내에서 산정 입원료
포괄내용
진료의 비용은 회복기 재활병동입원료에 포함됨
(단, 재활의 비용, 임상연수병원입원진료가산; 지역가산 및 이도가산 제외)
대상환자
1. 뇌혈관질환, 척수손상 등의 발증후 3개월 이내의 상태
么 대퇴골경부, 하지 또는 골반 등의 골절의 발증 후 3개월이내의 상태 3. 외과수술 또는 폐염 등의 치료시의 안정에 의해 생긴 폐용증후군을 가지고 있 고, 수술후 또는 발증 후 3개월이내의 상태
4. 전 3호에 준하는 상태
» 대상 이외의 환자에 대해서는 일반병동!]군 입원기본료5 또는 요양병동입원기 본료을 산정
병동 인력기준
- 재활과 표방 - 의사 1명이상 상근
- 이학요법사 2명이상 및 작업요법사 1명 이상 상근 - 간호직원 3 : 1이상{간호사비율 40이상)
- 간호보조자 6 : 1이상
- 42 -
□ 입원기간에 따른 입원기본료 둥의 차등
[ 일본]
일반병동
{노인의 경우)
(I군의 1)
=1점 I ... 노인특정환자의 경우
W&점 I
丄209첨 ' 1@점
M점 [_
789점
14일 30일 90일 180일
요양병동
© 치메가산 »점
© 일상생팥가산 40점
UW점
검사, 투약, 주사 둥 포갈 XOM
示지
회복기 W0점 (180일을 한도로 산정)
재할병동 •제할을제와한포査
- 병동에 전담 의사> 작업차료사, 물리치료사롤 상근 베치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80일
[한국]
일반병윈
23>250원 « 내과질환자, 정신질환자, 소아환자 : 30%가산 W90윈
19,770윈
15일 30일
« 내과질환자, 정신질환자, 소아환자 : 30%가산
WOO왼 요양병원
1=>왼
16才40윈
180일 360일
- 43 -
다. 고찰 및 시사점
0 일본의 의료보험 적용 요양병상수가의 특성은 의료적 자원소모량에 따른 =1*를 거의 고려하지 않은 일당정액 수가라는 점임.
- 질병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투약 및 처치 서비스가 많은 군, 간호인력 의 집중적인 간호 및 관찰이 필요한 의료적 요구가 높은 환자(medical patient) 군은 기피하는 경향이 있음.
— 일상생활가산 및 치매가산이 있으나 금액이 적고, 기능상태에 대한 반영이므로 의료적 요구(처치, 약, 검사 둥)가 상대적으로 큰 환자에 대한 보상은 너무 적다는 인식 이 있음.
- 이에 따라 만성호흡기질환자, 위관영양 및 흡입배농이 필요한 환자, 상시적인 인슐린 주 사투여가 필요한 당뇨환자 등이 대표적인 기피대상 환자임.
— 이 때문에 일본에서도 case-mix를 고려한 일당정액으로 변화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 RAI를 이용한 변형 RUG-m의 도입 타당성도 여러차례 검토되었으나 법제화되
지 못했음. Ikegami는 그 이유를 일본 의사회의 반대와 아직까지는 요양병상 및 시설의 인력들이 RAI체계에 따라 환자사정 및 관리를 하지 않음에 따라 RAM] 대한 이해도 와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봄.
0 동일 병원내에서 환자의 병상이동(swing bed)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요양병상의 환자가 의료자원의 소모가 비교적 큰 급성기 질병에 이환되거나 욕창, 주사제 투여가 필요한 경우는 일반병상으로 옮겨 치료하는 실정임.
— 포괄수가에 항생제 사용과 같은 의료적 자원 소모량이 이미 반영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병상으로 옮겨 치료함.
0 일본의 수가 및 관리체계의 긍정적인 점
— 간병인력을 간호보조인의 형태로 병원직원으로 고용하여 환자관리를 전적으로
- 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