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 저축은행 (舊. 상호신용금고 ) 의 발전과정과 구조조정 경과

3.3 저축은행 부실원인

3.3.3 저축은행 명칭 변경

3.3.3.1 제도추진배경

1972년 상호신용금고법에 의거 출범하였던 상호신용금고는 수많은 시련과 굴

14) 박창균외, 상호저축은행 백서, kif, 2011, pp.139-153.

<표 3-3> 예금보호한도 연혁

시 기 97. 11월 이전 IMF외환위기 이후

('97.11~2000.12) 20011월 이후 보호한도 2천만원 5천만원 전액보호 5천만원 적용대상 은행, 상호저축은행

종금, 증권 보험 금융기관 금융기관 자료 : 예금보험공사

곡을 겪으면서도 구조조정 성과 및 업계의 자구노력에 힘입어 자산건전성 및 재무상태가 상당부분 개선되었다. <표 3-4>에서 저축은행 명칭변경전 부실여신 및 충당금 추이를 보면,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2000년 6월 25.6%에서 2001년 6

월 21.2%, 2001년 11월말에는 17.9%로 약간 개선되는 추세를 보였고, 2001년 6

월말에는 대손충당금 적립도 106.3%를 기록하고 있었다.

이렇게 저축은행은 명칭변경 이전 여·수신증가와 당기순손실의 축소 등 경영 이 다소 개선되는 추세였으나, 사고 우려와 부실한 금융회사라는 이미지에서 쉽게 탈피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외환위기 발생이후 1998년부터 계속된 적자와 구조조정으로 인한 점포수 감소 등 경영실적은 여전히 호전되지 못한 상태였 다.

한편, 당시의 상황에서 서민금융을 활성화 시키고 사금융 양성화를 제고하기 위하여 신용금고의 영업활성화가 요구되었으며, 대규모 구조조정의 진행에 따 른 신인도 하락 등으로 이미지 개선과 신인도 제고의 필요성이 제기되기에 이 르렀다. 아울러 외환위기 이후 다수의 서민금융기관이 퇴출되자 사금융업체에 의한 서민층과 영세 중소기업 등의 피해사례가 증가하였고, 일본계의 대부업체 가 고금리 상품으로 국내 서민금융시장을 크게 잠식하는 여건 등을 감안하여 상호신용금고의 명칭변경을 추진키로 결정하였고, 2002년 3월 1일부터 현재의 명칭인 상호저축은행으로 변경되기에 이르렀다.

명칭변경과 함께 자본금 규모를 확대하여 저축은행의 법정자본금을 특별시는

<표 3-4> 명칭변경 전 부실여신 및 충당금 추이

(단위 : %, 억원)

구 분 2000.6 2000.12 2001.6 2001.11

부실여신비율 1) 25.6 30.8 21.2 17.9 부실여신금액 46,028 46,028 29,954 27,509 충당금적립율 2) 92.0 97.0 106.3  

충당금규모 19,488 23,991 15,660   : 1) 고정이하 여신금액/총여신금액 X 100

2) 실제적립액/기준적립액(적립기준 : 정상 0.5%, 요주의 1.0%, 고정 20%, 회수 의문 75%, 추정손실 100%)

자료 :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

60억원에서 120억원으로, 광역시는 40억원에서 80억원으로, 도의 경우에는 20억 원에서 40억원으로 증액하였다.(법 제5조) 이를 통해 공신력을 제고시켜 저축은 행 업계의 건전한 발전 및 서민금융 활성화를 추진하였다.

그리고, 대주주의 횡포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주 1인이 저축은행의 의결권 있 는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10을 초과하여 취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당시의 금융감독위원회에 신고하도록 하고 신고를 하지 아니한 주식의 경우에는 일정 기간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개정 하였다.(법 제10조의 2) 아울러 경영진에 의한 사고방지와 저축은행 지배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준법감시인의 선임의무화 와 자산규모 3천억원 이상의 저축은행이 이사회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이사 총 수의 2분의 1 이상을 사외이사로 선임하도록 하되, 그 사외이사는 사외이사 후 보추천위원회에서 추천된 자중에서 선임(법 제 10조의 3 신설) 하며 감사위원 회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게 하고 감사위원회의 위원 3분의 2 이상을 사외이사로 구성(법 제10조의 4 신설)토록 하여 내부통제를 강화하였다.

또한, 출자자대출 행위를 방지코자 출자자대출이 반복되거나 그 대출금액이 과다한 저축은행에 대하여는 경영관리를 할 수 있도록 제도화 하였다. 아울러 상호저축은행 설립규정을 통하여 저축은행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 저축은 행간의 업무협조와 신용질서의 확립 및 거래자 보호를 도모하여, 상호저축은행 중앙회는 법인으로 설립하고 저축은행은 중앙회의 회원이 되도록 개정하였다.

3.3.3.2 조치결과 영향 및 부작용

이러한 상호저축은행으로의 명칭변경은 원래의 목적인 부정적 이미지 쇄신 을 통한 신인도 및 경쟁력을 제고시킨 의미 있는 조치였으나, 은행이라는 명 칭사용으로 국민들에게 일반은행과 동일한 안전한 금융기관이라는 인식을 가 지게 한 계기도 되었다. 그러한 결과 외형은 성장하였으나 신용평가시스템 등 기본적인 여신관련 인프라가 부족한 상태에서도 국민에게 안전한 금융기관이 라는 잘못된 인식을 주어 과도한 수신 증가의 원인을 제공하는 결과를 낳았 다.15)

15) 박용한, 한국의 저축은행 연구, 효민디엔피, 2014, p.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