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4. 발전방안

4.2 발전방안

4.2.4 지배구조 개선

4.2.4.1 정책방향

금융지주회사의 저축은행 구조조정 참여로 지배구조 개선의 효과를 가져왔다 고 평가받고 있는 것은 현실적인 상황이다. 과거 저축은행의 구조조정이 대형 저축은행이 부실저축은행을 인수하는 형태로 이루어졌으나, 2011년 이후에는 자금여력이 풍부한 금융지주사가 인수하는 형태로 변화되었으며, 이를 통해 금 융 노하우를 전수하고 비즈니스상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

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금융지주계열은 2011년 부산저축은행 사태 이후에 나타난 새로운 지배구조 형태로서 가교저축은행으로부터 주로 P&A방식에 의해 인수된 저축은행이다. 대주주는 주로 기존의 금융지주와 시중은행 및 지방은행이 인수하였으며, 총자 산 규모로는 대부분 20위권 이내에 위치하고 있다. <표 4-3>는 각각의 인수주 체별 저축은행 인수현황을 보여주고 있으며, 정도경영을 표방하는 금융지주계 열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저축은행이 건전한 발전을 할 수 있도록 정책당국의 관심과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구 분 인수금융사 저축은행명 인수후 저축은행명

()본점

소재지 인수일자 인수방식

은행금융 지주

BNK금융 프라임

BNK 서울 2011. 12 계약이전

파랑새 부산 2011. 12 계약이전

신한금융 토마토 신한 경기 2011. 12 계약이전

KB금융 제일 KB 서울 2012. 1 계약이전

우리금융 삼화

우리 서울 2011. 3 계약이전

솔로몬 서울 2012. 9 계약이전

하나금융

제일2

하나

서울 2012. 2 계약이전

에이스 경기 2012. 2 계약이전

한국 서울 2012. 9 계약이전

특수은행 IBK

부산

IBK

부산 2011. 11 계약이전

경은 울산 2011. 10 계약이전

토마토2 부산 2012. 10 계약이전

영남 부산 2013. 2 계약이전

증권사

대신증권

부산2

대신

부산 2011. 8 계약이전

중앙부산 서울 2011. 8 계약이전

도민 강원 2011. 8 계약이전

현대증권 대영 현대 서울 2011. 11 경영권이전

키움증권 삼신 키움 경기 2012. 4 경영권이전

합 계 17  

자료 : 금융위원회, 각 저축은행 홈페이지

<표 4-3> 금융사의 저축은행 인수 현황

4.2.4.2 정책효과

정도경영을 지향하고 자산규모와 성장을 건실하게 추구하는 금융지주계열 저 축은행을 당국이 추진하고자 하는 정책의 중심축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발생할 지도 모르는 정책의 시행착오를 정확하게 검증 가능할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 는 자율성을 부여하고 제도적, 행정적 지원을 통하여 시장질서의 건전화를 주 도적으로 이끌어 가는 동반자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가면 각종 정책 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