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언

Dalam dokumen 참여연구진 (Halaman 171-181)

결 론

2. 제언

❙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 필요

◦ 탐방프로그램의 선행연구를 조사해 본 결과, 탐방프로그램에 대한 탐 방객의 참여 동기, 참여행태, 탐방프로그램 참가 탐방객의 특성 등에 관한 연구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 평가가 어렵다고 판단된 연중 운영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방법 고찰 필요

◦ 연중 운영프로그램의 경우 한 달 단위, 혹은 분기 단위로 운영되는 프 로그램의 경우에 시나리오가 바뀌거나 프로그램을 복합적으로 운영하 는 경우가 있음

◦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시나리오와 계획서를 바 탕으로 운영하는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중 환경부 인증 환경교육 프 로그램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음

◦ 하지만 전체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질적인 향상을 위하여 연중 운 영프로그램 또한 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해당 프로그램들에 대한 평가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공원별 탐방프로그램의 기획 전문인력 훈련과정 도입

◦ 생태관광과 연계한 탐방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 공원별 프로그램 운영의 실질적인 담당자에 대한 역량 강화 필요

◦ 탐방프로그램 담당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기획 및 교육훈련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필요

◦ 향후 개발 및 운영되어질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시기 및 절차에 대한 고려사항으로 프로그램 평가절차 개발을 통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전 과정에서의 평가 진행 방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 또한 매년 206개의 전체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현장평가 를 실시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되어, 운영 중인 탐방프로그램에 대한 평 가절차 및 평가시기, 결과에 따른 수정사항 반영 확인시기에 대한 고 려가 필요함

◦ 마지막으로 선정된 평가자가 어떤 인물인가에 따라서 평가활동의 효 율성, 신뢰성, 타당성, 공정성 등이 좌우될 뿐만 아니라 평가 목적 달 성의 성패가 크게 좌우될 수 있기 때문에 평가자 선정은 프로그램의 평가 전반에 걸쳐 매우 중요한 일이며 평가를 실시하기 직전에 준비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과업이라고 할 수 있음(배호순, 2008)

◦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평가결과의 효율성, 신뢰성, 타당성, 공정성의 확보를 위해 평가자를 선정하는 일은 평가에 있어 중요한 일이기 때 문에 내부평가자를 활용 할 것인지 외부평가자를 활용할 것인지 개인 평가자를 활용할 것인지 평가팀을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이 필요 하며 시간과 비용, 그리고 평가결과의 중요성을 고려한 평가자 선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 유형별 탐방프로그램의 평가지표의 가중치 적용 및 평가기준 확립 필요

◦ 다양한 탐방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평가지표의 가중치 적용에 대 한 심도 있는 고려가 필요함

◦ 탐방프로그램의 특성상 생태관광, 체험 및 학교교육 연계 등에 대한 적용 여부를 고려해야 함

◦ 현재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은 자연생태, 탐방안내, 역사문화, 미래세 대환경교육, 체험프로그램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해당 유형마다 특성이 있고 내용의 진행 및 해설사의 해설유형도 다름

◦ 그러나 현재 개발된 평가지표의 경우 하나의 기준으로 모든 유형의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그 한계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 기 위해 탐방프로그램 유형별 세부적인 평가기준 확립이 필요함

❙ 평가의 객관성‧신뢰성 등을 제고하기 위한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평 가 가이드라인 개발 및 활용방안 고려

◦ 2차례에 걸쳐 평가를 실시한 결과, 1차보다 2차 평가에서 평가자(A, B, C)의 평가결과가 차이 났으며, 이는 각 평가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 항별 기준이 다르거나 평가지표 상에서 문항에 대한 세부지침이 없기 때문이라고 판단됨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평가문항들에 대한 세부지침을 제시 할 수 있는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평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

◦ 탐방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평가시기의 결정 및 평가절차와 방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 평가시기와 절차에 따른 평가결과 및 보고, 활용에 대한 연구와 전 문지식을 확보한 평가자의 확보가 되어야 함

❙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평가 프로세스 개발 필요

◦ 탐방프로그램 평가 프로세스란 프로그램 수요분석, 기획, 개발, 운영, 평가, 평가결과의 활용 등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한 것과 탐방프로그 램 관련 조직의 운영, 인적자원 개발, 예산 운영, 안전관리 등에 대한 것을 평가 및 관리하는 것으로 탐방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데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생태관광 탐방프로그램 평가지표의 개발 필요

◦ 생태관광과 연계한 탐방프로그램의 평가지표의 개발을 통한 생태관 광 프로그램의 활성화에 기여

◦ 기 개발된 탐방프로그램 평가지표에 생태관광과 관련된 지표를 추 가 및 수정한 생태관광 탐방프로그램 평가지표 개발 고려

❙ 참가자 개인의 역량, 건강 등에 초점을 둔 탐방프로그램 개발 필요

◦ 향후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개발 시 참가자와 관련된 요인들, “자 아역량, 개인건강, 대인관계, 스트레스 해소” 등에 초점을 둔 프로 그램 개발해야 함

◦ 탐방프로그램 평가항목에 “치유, 힐링” 등의 개념을 적용하고 이 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 검토

◦ 이를 위해 탐방프로그램 해설사의 전문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매 뉴얼 개발 및 전문 교육과정 개발 필요

Ⅳ.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결과

참고 문헌

06

참고 문헌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2005). 국립공원 자연해설 안내서.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관리공단 (2006),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안내서

국립공원관리공단 (2013), 국립공원 자원을 활용한 자연체험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연구

국립공원관리공단 (2015), 국립공원 기본통계

국립공원관리공단 예약통합시스템. https://reservation.knps.or.kr.

박진희, 장남기 (1995).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 환경교육, 8, 98-106.

박태윤, 노경임, 정철 (2004).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 보고서 평가틀의 개선 및 프로그램 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7(5), 1-11.

배호순 (1994). 프로그램 평가론, 원미사.

배호순 (2008). 교육프로그램 평가론, 원미사.

북한산생태탐방연수원(2014). 북한산생태탐방연수원 프로그램 효과성 조사 성태제 (2005).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이진형 (2012). 생태관광 자연해설의 효과 : 자연해설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국립공원 문객의 인지, 태도, 행동의 변화. 관광학연구, 36(5), 177-197.

Scriven, M (1969). An introduction to meta-evaluation, Educational Produce Report, 2. 36-38.

Stake, R. E (1967). The countenance of educational evaluation, Teacher College Record, 68, 523-540.

Stufflebeam, D. L (1971). The relevance of the CIPP evaluation mode for educational accountability,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5(1), 19-25.

Stufflebeam, D. L.(1973). Evaluation as enlightenment for decision-making. In B. R. Worthen & J. R. Sanders (Eds.), Educational evaluation: Theory and practice. Worthington, OH: Charles A. Jones Publishing Company.

Stufflebeam, D. L. & Shinkfield, A. J.(1985). Systematic evaluation.

Boston:Kluwer Nijhoff.

Stufflebeam, D. L (2003). The CIPP model for Evaluation, In Kellaghan, International handbook of Education, Part One : Perspective, 32-35.

Tyler, R. W (1950). Basic Principle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평가 및 효과성 분석 연구

발행일 : 2016. 1.

발행인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장 신용석 발행처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주 소 : 강원도 원주시 단구로 171 전 화 : 033-769-1642

팩 스 : 033-769-1649. (비매품)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평가 및 효과성 분석 연구」연구보고서는 우리 공단의 사전 승인 없이 무단 복사 및 전재를 금합니다.

Dalam dokumen 참여연구진 (Halaman 171-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