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탐방프로그램 효과성 분석결과

Dalam dokumen 참여연구진 (Halaman 92-167)

❙ 국립공원 전체 고학년 대상 탐방프로그램

◦ 국립공원 전체 고학년 이상(총 1,528명)을 대상으로 탐방프로그램 사 전 및 사후효과성 분석을 실시함

◦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전평균값 (3.92) 보다 사후평균값(4.29)이 신뢰수준 99%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남(t값=-14.58)

- t값이 신뢰수준 95%에서는 ±1.96 이상인 경우와 신뢰수준 99%에서 는 ±2.58보다 큰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함

- t값이 모두 음(-)으로 나타난 것은 사전평균값이 사후평균값보다 작 게 나타났으므로, 사전평균값이 사후평균값 보다 큰 경우는 t값이 양 (+)으로 나타남

구분 사전 평균값

(사후 평균값)

사전 표준편차

(사후 표준편차) t 값 전체 평균값 3.92 (4.29) 0.65 (0.54) -14.58**

자아역량 요인 3.95 (4.36) 0.64 (0.59) -11.85**

개인건강 요인 3.93 (4.38) 0.75 (0.66) -12.29**

대인관계 요인 3.82 (4.29) 0.73 (0.65) -11.38**

스트레스 요인 3.75 (4.31) 0.69 (0.52) -14.89**

관심증가 요인 3.92 (4.37) 0.71 (0.60) -11.53**

유익성 요인 3.96 (4.36) 0.84 (0.75) -5.619**

자연보호 요인 3.92 (4.47) 0.91 (0.81) -8.562**

전반적 태도 요인 3.79 (4.45) 0.84 (0.79) -8.138**

표 17. 고학년 대상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사전․사후효과 차이 결과

주) *p<0.05, **p<0.01

◦ 탐방프로그램의 요인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참가자 개인과 관련된 요인들(자아역량, 개인건강, 대인관계, 스트레스 해소)이 프로그램과 관련된 요인들(관심증가, 유익성, 자연보호, 전반적 태도) 보다 t값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남

- t값이 크다는 의미는 효과의 강도가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 탐방프로그램 요인들 중 t값이 가장 크게 나타난 것은 ‘스트레스

해소’ 요인으로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스트레스 해소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남

❙ 국립공원 전체 저학년 대상 탐방프로그램

◦ 국립공원 전체 저학년 이하 참가자 학생들을 대상으로(총 808명), 탐 방프로그램의 사전 및 사후효과 분석을 실시함

◦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전평균값 (3.94)보다 사후평균값(4.27)이 신뢰수준 99%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남(t값=-6.819)

◦ 탐방프로그램의 요인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과 관련된 요 인 중 ‘유익성’ 요인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t값=-10.28)

구분 사전 평균값

(사후 평균값)

사전 표준편차

(사후 표준편차) t 값 전체 평균값 3.94 (4.27) 0.63 (0.39) -6.819**

자아역량 요인 3.81 (4.30) 0.93 (0.91) -7.607**

개인건강 요인 3.91 (4.39) 1.06 (0.81) -6.721**

대인관계 요인 3.75 (4.30) 1.16 (1.10) -8.897**

스트레스 요인 3.38 (4.19) 1.10 (0.91) -9.951**

관심증가 요인 4.09 (4.55) 1.03 (0.57) -8.109**

유익성 요인 3.64 (4.36) 1.23 (1.00) -10.28**

자연보호 요인 4.23 (4.51) 0.90 (1.03) -4.491**

전반적 태도 요인 3.99 (4.55) 0.97 (0.81) -8.571**

표 18. 저학년 대상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사전․사후효과 차이 결과

주) *p<0.05, **p<0.01

❙ 산악형 국립공원 고학년 대상 탐방프로그램

◦ 산악형 국립공원 고학년 이상 참가자 학생들을(총 1,352명) 대상으 로, 탐방프로그램의 사전 및 사후효과 분석을 실시함

◦ 산악형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 전평균값(3.89)보다 사후평균값(4.38)이 신뢰수준 99%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남(t값=-19.34)

◦ 산악형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요인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참가 자 개인과 관련된 요인들(자아역량, 개인건강, 대인관계, 스트레스 해소)이 프로그램과 관련된 요인들(관심증가, 유익성, 자연보호, 전 반적 태도)보다 t값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남

- 탐방프로그램 요인들 중 t값이 가장 크게 나타난 것은 ‘스트레스 해소’ 요인으로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스트레스 해소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남

구분 사전 평균값

(사후 평균값)

사전 표준편차

(사후 표준편차) t 값 전체 평균값 3.89 (4.38) 0.67 (0.55) -19.34**

자아역량 요인 3.91 (4.38) 0.64 (0.62) -11.69**

개인건강 요인 3.90 (4.39) 0.77 (0.70) -12.30**

대인관계 요인 3.81 (4.28) 0.76 (0.61) -11.29**

스트레스 요인 3.72 (4.41) 0.75 (0.55) -15.10**

관심증가 요인 3.89 (4.40) 0.70 (0.60) -11.59**

유익성 요인 3.93 (4.35) 0.85 (0.70) -5.091**

자연보호 요인 3.91 (4.41) 0.91 (0.77) -8.210**

전반적 태도 요인 3.77 (4.40) 0.90 (0.85) -7.681**

표 19. 고학년 대상 산악형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사전․사후효과 차이 결과

주) *p<0.05, **p<0.01

❙ 산악형 국립공원 저학년 대상 탐방프로그램

◦ 산악형 국립공원 저학년 이하 참가자 학생들을(총 686명) 대상으로, 탐방프로그램의 사전 및 사후효과 분석을 실시함

◦ 산악형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 전평균값(3.91)보다 사후평균값(4.40)이 신뢰수준 99%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남(t값=-13.15)

◦ 산악형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요인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프로 그램과 관련된 요인 중 ‘유익성’ 요인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t값=-10.63)

구분 사전 평균값

(사후 평균값)

사전 표준편차

(사후 표준편차) t 값 전체 평균값 3.91 (4.40) 0.63 (0.41) -13.15**

자아역량 요인 3.85 (4.38) 1.00 (0.95) -8.212**

개인건강 요인 3.96 (4.40) 1.12 (0.81) -7.305**

대인관계 요인 3.70 (4.30) 1.34 (1.10) -9.171**

스트레스 요인 3.39 (4.19) 1.44 (0.99) -9.801**

관심증가 요인 4.00 (4.58) 1.10 (0.58) -8.630**

유익성 요인 3.72 (4.43) 1.31 (1.05) -10.63**

자연보호 요인 4.24 (4.51) 1.09 (1.02) -4.420**

전반적 태도 요인 3.98 (4.54) 1.06 (0.90) -9.048**

표 20. 저학년 대상 산악형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사전․사후효과 차이 결과

주) *p<0.05, **p<0.01

❙ 가야산국립공원 고학년 대상 탐방프로그램

◦ 가야산국립공원 고학년 이상 참가자 학생들을(87명) 대상으로, 탐방 프로그램의 사전 및 사후효과 분석을 실시함

◦ 가야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전 평균값(3.83)보다 사후평균값(4.11)이 신뢰수준 95%에서 유의하게 증 가된 것으로 나타남(t값=-2.984)

◦ 가야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요인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 램과 관련된 요인 중 ‘관심증가’ 요인과 ‘전반적인 태도’ 요인 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남(t값=-4.906, t값=-4.351)

구분 사전 평균값

(사후 평균값)

사전 표준편차

(사후 표준편차) t 값 전체 평균값 3.83 (4.11) 0.89 (0.90) -2.984**

자아역량 요인 3.91 (4.14) 0.92 (0.95) -2.497*

개인건강 요인 3.54 (4.40) 1.14 (0.98) -3.415**

대인관계 요인 3.98 (4.21) 0.97 (0.76) -2.103*

스트레스 요인 3.49 (4.09) 1.19 (0.92) -4.325**

관심증가 요인 3.47 (4.10) 1.27 (0.85) -4.906**

유익성 요인 3.70 (4.03) 1.18 (0.89) -3.158**

자연보호 요인 3.84 (4.06) 0.97 (0.88) -2.004*

전반적 태도 요인 3.51 (4.02) 1.18 (0.87) -4.351**

표 21. 고학년 대상 가야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사전․사후효과 차이 결과

주) *p<0.05, **p<0.01

❙ 가야산국립공원 저학년 대상 탐방프로그램

◦ 가야산국립공원 저학년 이하 참가자 학생들을(13명) 대상으로, 탐방 프로그램의 사전 및 사후효과 분석을 실시함

◦ 가야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전 평균값(4.23) 보다 사후평균값(4.46)이 신뢰수준 95%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t값=-1.172)

◦ 가야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요인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 램과 관련된 요인 중 ‘유익성’ 요인의 효과만이 사전효과보다 사 후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남(t값=-2.668)

◦ 가야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참가자 수가 제한적인 것은 사전 및 사후효과(유익성 요인 제외)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원인들 중 하나로 추정할 수 있음

구분 사전 평균값

(사후 평균값)

사전 표준편차

(사후 표준편차) t 값 전체 평균값 4.23 (4.46) 0.92 (1.19) -1.172 자아역량 요인 4.23 (4.46) 0.92 (1.19) -0.562 개인건강 요인 3.85 (4.46) 1.08 (1.09) -1.120 대인관계 요인 3.62 (4.15) 1.06 (1.04) -1.203 스트레스 요인 4.00 (4.17) 1.04 (0.95) -0.456 관심증가 요인 4.15 (4.69) 1.04 (1.08) -1.203 유익성 요인 3.92 (4.77) 1.02 (0.63) -2.668*

자연보호 요인 4.54 (4.62) 0.77 (0.87) -0.365 전반적 태도 요인 4.23 (4.77) 1.06 (0.60) -1.723 표 22. 저학년 대상 가야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사전․사후효과 차이 결과

주) *p<0.05, **p<0.01

❙ 계룡산국립공원 고학년 대상 탐방프로그램

◦ 계룡산국립공원 고학년 이상 참가자 학생들을(70명) 대상으로, 탐방 프로그램의 사전 및 사후효과 분석을 실시함

◦ 계룡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전 평균값(4.21)보다 사후평균값(4.60)이 신뢰수준 95%에서 유의하게 증 가된 것으로 나타남(t값=-2.319)

◦ 계룡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요인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참가자 와 관련된 요인 중 ‘스트레스 해소’ 요인(t값=-3.687)의 효과가 가 장 크게 나타난 반면, ‘개인건강’ 요인의 사전 및 사후효과의 차 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t값=-1.111)

구분 사전 평균값

(사후 평균값)

사전 표준편차

(사후 표준편차) t 값 전체 평균값 4.21 (4.60) 0.71 (0.65) -2.319*

자아역량 요인 4.43 (4.70) 0.63 (0.59) -3.151**

개인건강 요인 4.36 (4.47) 0.78 (0.69) -1.111 대인관계 요인 4.24 (4.51) 0.85 (0.65) -2.571*

스트레스 요인 4.34 (4.69) 0.77 (0.55) -3.687**

관심증가 요인 4.36 (4.60) 0.74 (0.62) -2.279*

유익성 요인 4.11 (4.53) 0.89 (0.71) -3.518**

자연보호 요인 3.99 (4.25) 0.92 (0.79) -2.545**

전반적 태도 요인 3.94 (4.22) 0.91 (0.80) -2.755**

표 23. 고학년 대상 계룡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사전․사후효과 차이 결과

주) *p<0.05, **p<0.01

❙ 계룡산국립공원 저학년 대상 탐방프로그램

◦ 계룡산국립공원 저학년 이하 참가자 학생들을(30명) 대상으로, 탐방 프로그램의 사전 및 사후효과 분석을 실시함

◦ 계룡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전 평균값(4.20)보다 사후평균값(4.55)이 신뢰수준 95%에서 유의하게 증 가된 것으로 나타남(t값=-2.120)

◦ 계룡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요인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 램과 관련된 요인 중 ‘유익성’ 요인(t값=-3.619)의 효과가 가장 크 게 나타난 반면 ‘대인관계’ 요인과 ‘자연보호’ 요인의 사전 및 사후효과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t값=-1.895, t값=-1.159)

구분 사전 평균값

(사후 평균값)

사전 표준편차

(사후 표준편차) t 값 전체 평균값 4.20 (4.55) 0.68 (0.60) -2.120*

자아역량 요인 4.03 (4.57) 1.06 (0.97) -2.112*

개인건강 요인 3.87 (4.53) 1.43 (0.86) -2.445*

대인관계 요인 3.83 (4.43) 1.36 (1.13) -1.895 스트레스 요인 3.60 (4.57) 1.45 (0.97) -3.433**

관심증가 요인 4.37 (4.87) 1.12 (0.57) -2.096*

유익성 요인 3.60 (4.53) 1.47 (1.07) -3.619**

자연보호 요인 4.27 (4.57) 1.11 (1.07) -1.159 전반적 태도 요인 4.23 (4.67) 1.13 (0.84) -2.149*

표 24. 저학년 대상 계룡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사전․사후효과 차이 결과

주) *p<0.05, **p<0.01

❙ 내장산국립공원 고학년 대상 탐방프로그램

◦ 내장산국립공원 고학년 이상 참가자 학생들을(25명) 대상으로, 탐방 프로그램의 사전 및 사후효과 분석을 실시함

◦ 내장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전 평균값(3.48)보다 사후평균값(4.29)이 신뢰수준 99%에서 유의하게 증 가된 것으로 나타남(t값=-3.002)

◦ 내장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요인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참가자 와 관련된 요인들 중 ‘대인관계’ 요인(t값=-1.633)의 사전 및 사후 효과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프로그램과 관련된 요인들 중

‘전반적인 태도’ 요인의 사전 및 사후효과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t값=-1.901)

구분 사전 평균값

(사후 평균값)

사전 표준편차

(사후 표준편차) t 값 전체 평균값 3.48 (4.29) 0.70 (0.61) -3.002**

자아역량 요인 3.64 (4.12) 0.81 (0.78) -2.295*

개인건강 요인 3.44 (4.20) 0.87 (0.81) -3.079**

대인관계 요인 3.44 (4.84) 0.91 (0.94) -1.633 스트레스 요인 3.32 (4.04) 0.85 (0.93) -2.979**

관심증가 요인 3.52 (4.04) 0.93 (0.77) -2.316*

유익성 요인 3.44 (4.12) 0.87 (0.83) -2.798**

자연보호 요인 3.52 (4.28) 0.59 (0.79) -4.321**

전반적 태도 요인 3.68 (4.12) 0.74 (1.01) -1.901 표 25. 고학년 대상 내장산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사전․사후효과 차이 결과

주) *p<0.05, **p<0.01

Dalam dokumen 참여연구진 (Halaman 92-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