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안 유류유출 사고가 조간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및 회복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9~2018 년의 기간 동안 조사가 이루어진 조간대 조수웅덩이 어류의 정량적 자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본 분석을 위하여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에 따른 생태계 영향 장기 모니터링(국립공원관 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8b)’ 보고서 내 수록된 조수웅덩이 어류의 시기별 정량적 자료를 인용하 여 시계열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량적 조사는 매 년 계절별로 총 4회의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조 사지역은 모항, 의항, 학암포, 밧개, 삼봉, 청포대의 조간대 암반 내 조수웅덩이로 확인되었다. 최 간 조 시기에 조사지역 내 조수웅덩이의 물을 소형양수기를 이용하여 모두 품어낸 후 시료를 채집하였 고, 이를 단위 부피(10 ㎥)당 출현량으로 환산하여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 출현종수
§
모니터링 기간 중 조수웅덩이에서 출현한 어류의 정량적 자료 분석이 가능하였던 2009~2018년의 기간 동안 확인된 연도별/계절별 출현종수를 유류유출 사고 인접 지역(모항, 의항, 학암포)과 원거리 지역(밧개, 삼봉, 청포대)을 구분하여 [표 2-8-1]에 제시하였다. 유류유출 사고 인접 지역의 평균 출 현종수는 6±2 종이었고, 유류유출 사고 원거리 지역에서의 평균 출현종수는 5±3 종이었다. 조사시 기별 출현종수의 변화를 [그림 2-8-1~2]에 나타내었다. [그림 2-8-3]은 조사지역 중 태안 유류유 출 사고 인접 지역과 원거리 지역을 구분하여 시계열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조사기간 동안 조수 웅덩이 어류의 출현종수는 하계와 추계에 증가하고, 동계에는 감소하는 계절적인 증감을 반복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와 같은 특징은 인접 지역과 원거리 지역에서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다[그림 2-8-4].§
조사시기에 따른 변화를 보면 사고 직후에는 전체 조사기간 중 높은 수준의 출현종수를 보였으며, 2010년에 출현종수의 감소가 나타났으나 이후 2011년에 다시 증가 추세로 전환되었다. 출현종수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경에 가장 높은 출현종수를 보였고 다시 감소하여 2017년까지 감소 추 세를 보인 후 2018년에는 증가하였다. 장기간의 조사에서 관찰된 출현종수의 변화 추세가 2009년 에 높은 값을 보이고 이후 증감이 관찰된 점을 고려할 때, 조사지역에서 조간대 조수웅덩이 어류 출 현종수는 자연적인 변동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원거리 지역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출현종수가 소폭 감소하는 추세가 관찰되었으며, 이후 2016년까지 증가, 이후 다시 감소하는 변동이 관찰되었다. 인접 지역과 마찬가지로 원거리 지역에서의 출현종수 변동 또한 유류 피해에 따른 영향 이라기보다는 자연적인 변동 수준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Ⅱ. 유류유출 영향 평가 8. 조수웅덩이 어류
조사시기 유류유출 사고 인접 지역 유류유출 사고 원거리 지역
연 월 학암포 의항 모항 평균 청포대 삼봉 밧개 평균
2009
2 7 5 5 6 3 8 2 4
4 8 8 12 9 5 4 5 5
7 8 7 2 6 7 8 5 7
10 11 6 5 7 11 5 8 8
2010
1 2 4 5 4 1 2 2 2
4 6 5 6 6 5 4 5 5
7 3 6 7 5 9 9 3 7
10 2 6 9 6 5 2 5 4
2011
2 3 0 4 2 4 0 0 1
4 6 5 4 5 5 3 6 5
7 9 6 7 7 11 5 6 7
10 10 2 9 7 4 11 11 9
2012
2 4 4 7 5 0 0 3 1
4 6 2 8 5 4 4 4 4
7 8 8 10 9 5 9 7 7
10 7 6 8 7 4 4 6 5
2013
2 4 2 6 4 1 3 2 2
4 5 3 5 4 4 4 3 4
7 9 10 9 9 9 6 10 8
10 11 9 12 11 11 4 7 7
2014
2 2 2 6 3 3 4 3 3
4 4 2 7 4 3 3 5 4
7 8 8 14 10 9 9 13 10
10 12 4 9 8 10 13 11 11
2015
2 3 3 5 4 2 4 4 3
5 3 5 6 5 3 5 8 5
7 6 6 8 7 4 6 6 5
10 11 11 12 11 9 16 13 13
2016
2 7 2 4 4 0 2 2 1
5 4 3 9 5 0 2 5 2
7 6 9 9 8 13 8 9 10
11 4 4 9 6 6 6 5 6
2017
2 4 5 7 5 4 1 6 4
5 4 5 5 5 2 6 5 4
7 9 3 10 7 6 7 7 7
11 8 5 7 7 5 4 7 5
2018
2 4 4 6 5 3 4 5 4
5 8 5 7 7 4 5 9 6
7 9 4 8 7 8 4 5 6
11 8 6 9 8 5 5 4 5
평균 출현종수 6±3 5±2 7±3 6±2 5±3 5±3 6±3 5±3
[표 2-8-1] 태안해안국립공원 내 조수웅덩이 어류 출현종수
0 5 10 15 20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출현종수
[그림 2-8-1] 유류유출 사고 인접 지역(학암포, 의항, 모항)의 조수웅덩이 어류의 시기별 평균 출현종수 변화
0 5 10 15 20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출현종수
[그림 2-8-2] 유류유출 사고 원거리 지역(청포대, 삼봉, 밧개)의 조수웅덩이 어류의 시기별 평균 출현종수 변화
유류유출 사고 인접 지역(학암포, 의항, 모항) 유류유출 사고 원거리 지역(청포대, 삼봉, 밧개) [그림 2-8-3] 조수웅덩이 어류 출현종수에 대한 시계열 분석 결과
Ⅱ. 유류유출 영향 평가 8. 조수웅덩이 어류
유류유출 사고 인접 지역(학암포, 의항, 모항) 유류유출 사고 원거리 지역(청포대, 삼봉, 밧개) [그림 2-8-4] 조수웅덩이 어류 출현종수의 계절 변동 특성
나. 출현 개체수
§
지역에 따른 출현 개체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유류유출 사고 인접 지역에서의 출현 개체수는 평균 44±34 개체/10㎥로 조사되었으며, 출현종수와 유사한 감소 및 증가 패턴을 보였다[표 2-8-2, 그 림 2-8-5]. 구체적으로는 2009년에 높았던 출현종수가 2010년과 2011년에는 감소하고 이후 다시 증가하여 2014년에 최댓값을 보였으며, 2017년까지 감소 후 2018년에는 증가하였다. 원거리 지역 에서의 출현 개체수는 평균 225±218 개체/10㎥로 선형적 추세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표 2-8-2, 그림 2-8-6]. 그러나 증가 폭은 매우 완만하였으며 전반적으로 평이한 수준이 유지되었다[그림 2-8-7]. 조수웅덩이 출현 어류의 개체수 변동 또한 출현종수와 마찬가지로 계절적 변동이 강하게 관찰되어, 동계와 춘계에는 출현 개체수가 감소하였으며, 하계 및 추계에 증가하였다[그림 2-8-8].조사시기 유류유출 사고 인접 지역 유류유출 사고 원거리 지역
연 월 학암포 의항 모항 평균
(개체/10㎥) 청포대 삼봉 밧개 평균
(개체/10㎥)
2009
2 2 22 36 20 81 70 28 60
4 4 26 184 71 67 36 167 90
7 124 71 29 75 203 151 167 174
10 58 78 42 59 275 185 646 369
2010
1 5 6 78 30 14 133 47 65
4 2 19 27 16 50 47 222 106
7 22 40 44 35 142 78 694 305
10 2 28 27 19 386 78 681 382
2011
2 3 0 29 11 31 0 0 10
4 2 16 27 15 50 10 236 99
7 14 57 124 65 436 49 174 220
10 5 7 98 37 103 534 979 539
2012
2 1 8 53 21 0 0 97 32
4 0 4 38 14 33 42 111 62
7 10 24 60 31 97 120 243 153
10 3 90 156 83 69 18 167 85
2013
2 1 7 47 18 6 29 56 30
4 4 1 49 18 47 66 76 63
7 16 104 133 84 386 315 1,035 579
10 7 44 289 113 392 638 1,340 790
2014
2 1 4 58 21 25 34 90 50
4 1 7 22 10 28 21 63 37
7 7 103 144 85 231 490 465 395
10 17 28 164 70 239 422 986 549
2015
2 2 8 38 16 22 65 132 73
5 2 22 49 24 47 44 229 107
7 14 65 151 77 106 154 236 165
10 35 142 351 176 594 682 1,257 844
2016
2 2 7 60 23 0 10 69 26
5 1 8 113 41 0 10 250 87
7 32 40 117 63 73 271 778 374
11 4 11 93 36 89 271 313 224
2017
2 1 15 40 19 106 21 97 75
5 6 25 11 14 44 55 146 82
7 21 14 51 29 183 99 1,486 589
11 10 18 71 33 50 151 722 308
2018
2 2 17 60 26 50 26 97 58
5 5 28 62 32 72 39 778 296
7 8 22 160 63 433 208 458 366
11 15 56 169 80 69 91 125 95
평균 출현 개체수
(개체/10㎥) 12±22 32±33 89±73 44±34 133±148 144±178 399±406 225±218 [표 2-8-2] 태안해안국립공원 내 조수웅덩이 어류 출현 개체수
Ⅱ. 유류유출 영향 평가 8. 조수웅덩이 어류
0 100 200 300 400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출현 개체수 (i n d iv ./ 1 0 ㎡ )
[그림 2-8-5] 유류유출 사고 인접 지역(학암포, 의항, 모항)의 조수웅덩이 어류의 시기별 출현 개체수 변화
0 400 800 1,200 1,600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출현개체수
(in d iv ./1 0 ㎡ )
[그림 2-8-6] 유류유출 사고 원거리 지역(청포대, 삼봉, 밧개)의 조수웅덩이 어류의 시기별 출현 개체수 변화
유류유출 사고 인접 지역(학암포, 의항, 모항) 유류유출 사고 원거리 지역(청포대, 삼봉, 밧개) [그림 2-8-7] 조수웅덩이 어류 출현 개체수에 대한 시계열 분석 결과
유류유출 사고 인접 지역(학암포, 의항, 모항) 유류유출 사고 원거리 지역(청포대, 삼봉, 밧개) [그림 2-8-8] 조수웅덩이 어류 출현 개체수의 계절적 변동 특성
다. 변곡점 탐색을 통한 시계열적 경향성 평가
§
2009~2018년의 조사기간 동안 축적된 시계열 데이터에 대해 유류유출에 따른 영향 및 회복 시점 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계절 조정 잔차에 대한 Lowess (LOcally-WEighed Scatterplot Smoother) function을 이용한 변곡점 탐색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활도는 0.75의 값을 이 용하였으며, 평활의 반복횟수는 2회로 설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Lowess function의 분석 결과는 [그림 2-8-9]와 같다. 조수웅덩이에서의 어류 출현종수 변화는 인접 지역과 원거리 지역 모두 뚜렷한 추세를 보이지 않았으며, 대체적으로 평이한 수준을 보였다.개체수 또한 전반적으로 편이하여 조사시기에 따른 변화 양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출현종수 출현 개체수
[그림 2-8-9] Lowess function을 이용한 조수웅덩이 어류 군집 변동의 경향성 평가
Ⅱ. 유류유출 영향 평가 8. 조수웅덩이 어류
라. 군집 분석
§
2009~2018년의 조사기간 동안 정량적으로 채집된 조수웅덩이 어류에 대해 연도별 평균 출현량을 계산한 후 이에 다차원척도법(MDS) 분석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그림 2-8-9]. 분석 결과, 조사 가 실시된 지역에 따라 정점군의 공간분포가 구분되는 양상을 보였다. 조사가 이루어진 6개 지역은 각 지역별로 조간대 형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유류유출 사고 인접 지역의 조간대 형태를 살펴보면 학암포의 경우 암반조간대와 모래해변이 혼재하고, 의항은 모래 해변 양쪽으로 암 반조간대에 넓은 조수웅덩이가 조성되어 있으며, 경사가 심한 암반 조간대에 크고 작은 조수웅덩이 가 잘 발달되어 있는 형태이다. 원거리 지역의 경우 청포대, 삼봉, 밧개 모두 모래해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변 중간 혹은 양측 말단에 암반조간대가 일부 조성되어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조수웅덩 이는 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 조수웅덩이의 폭과 깊이, 자갈 배치 및 암석 구조 등에 따른 내부 구 조의 복잡성, 퇴적기질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서식 어류상이 달라진다. 이와 같은 환경의 차이로 인하여 조사지역에 따른 정점군 형성이 나타난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조사시기에 따른 조사 정점의 분포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방향성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정량조사기간중 시간에 따른 뚜렷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마.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