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지인망 어류
§
지인망 조사는 조간대 천해역에 서식하는 어류를 대상으로 하는 조사로, 태안 유류유출 사고 이전인 2005년부터 2018년까지 이루어졌다. 연도별 조사 횟수는 유류피해 이전 시기인 2005년에 4~12월 의 9회, 2006년에 1~3월의 3회, 2007년에 2월과 4월을 제외한 총 10회였으며, 유류피해 이후 모 니터링에 해당하는 2008년부터는 2008년에 월 1회로 12회, 2009년에 11월과 12월을 제외한 총 10회가 조사되었다. 그리고 이후 시기에는 연도별로 4회씩 조사가 수행되었으나 2014년에는 춘계에 만 2회 조사가 시행되었고 2016년에는 월 1회씩 12회의 조사가 시행되었다. 조사지역은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방갈리에 위치한 학암포 해변 조간대와 근흥면 도황리에 위치한 연포 해변 조간대의 2곳이었으며, 조사시기별로 각 정점에서 야간과 주간의 2회씩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 사용한 어 구는 길이 10 m, 높이 2.5 m, 망목 10 mm의 지인망으로, 각 조사시기의 자료는 단위면적(1,000㎡) 당 출현량으로 환산되었다. 시계열적 평가를 위해 확보된 모든 자료를 연도별/계절별 자료로 취 합하였으며, 결손값이 있는 경우에는 이전해 및 이듬해의 동 계절 자료에 대한 평균값을 이용하여 보강하였다.
§
지인망 어류 자료에 대한 시계열 분석은 다른 분야의 것과 마찬가지로 분해 시계열 분석법을 활용하 였다. 그러나 해당 자료의 조사기간은 2008년 사고 이전의 기간을 포함하였으며, 따라서 생물학적 패러미터의 교란-회복을 반영하는 선형 추세보다는 정상-교란-회복 단계로 이어지는 비선형 추세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추세 진단 과정에서 비선 형 모형의 적합에 우선 순위를 두었으며, 이 때 변수 간 높은 상관성으로 다중 공선성이 발생할 수 있는 단순 2차 회귀보다는 변수간 직교성을 이용하여 다중 공선성 문제를 회피할 수 있는 직교 다 항회귀분석(orthogonal regression analysis)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하였다.가. 출현종수
§
조사지역 중 학암포에서는 유류유출 피해가 발생한 2007년 이후부터 출현종수의 감소가 나타났다 [그림 2-9-1]. 감소한 출현종수는 2010년경에 최소값을 기록한 뒤 이후 완만한 증가 추세를 보였 으며 2017년 이후 시점에서 이전 수준에 도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연포에서는 2007년부 터 나타난 출현종수의 완만한 감소 추세가 2016년까지 이어졌으며, 이후 시기인 2017년부터 소폭 상승하였다[그림 2-9-2]. 학암포와 비교하였을 때 연포에서의 출현종수 변화는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학암포에서는 유류피해 이후 뚜렷한 감소가 관 찰되었다. 시계열 분석시 제거된 각 계절별 잔차 분석을 통해 계절 변동성을 파악한 결과, 어류의 출현종수는 동계에 감소하고 이후 증가하여 하계와 추계에 가장 높은 값을 보이는 계절적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그림 2-9-3].
0 5 10 15 20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출현종수
연포 출현종수 학암포 출현종수
[그림 2-9-1] 지인망 어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변화
학암포 연포
[그림 2-9-2] 지인망 어류 출현종수에 대한 시계열 분석 결과
학암포 연포
[그림 2-9-3] 지인망 어류 출현종수의 계절 변동 특성
Ⅱ. 유류유출 영향 평가 9. 지인망 어류
나. 출현 개체수
§
지인망 조사를 통해 출현한 어류의 출현 개체수는 학암포에서 평균 98 개체/1,000㎡, 연포에서 평 균 217 개체/1,000㎡로 학암포에 비해 연포에서 높게 평가되었다[그림 2-9-4]. 이는 연포 지역의 경우 거머리말과 같은 해초류 군락이 발달하여 자어 및 치어의 피난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시·공간적 변동을 보면, 유출 지역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학암포에서는 2007년 이후 출현 량이 감소하였다가 2011년 이후부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양상이 나타났다[그림 2-9-5]. 약 피 해지역인 연포에서는 2007년 이후 출현 개체수의 완만한 감소 추세가 관찰되었으며, 감소 추세는 2015년경까지 지속되다가 이후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그림 2-9-5]. 두 지역 모두 동계에 출현 개체수가 가장 낮았으며 하계에 가장 높은 계절적 변동이 관찰되었다[그림 2-9-6].0 200 400 600 800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출현 개체수 (개체 /1 0 0 0 ㎡ )
연포 출현 개체수(개체/1000㎡) 학암포 출현 개체수(개체/1000㎡)
[그림 2-9-4] 지인망 어류의 시기별 출현 개체수 변화
학암포 연포
[그림 2-9-5] 지인망 어류 출현 개체수에 대한 시계열 분석 결과
학암포 연포 [그림 2-9-6] 지인망 어류 출현 개체수의 계절 변동 특성
다. 생체량
§
지인망 조사를 통해 출현한 어류의 출현 생체량은 학암포에서 평균 556.1 g/1,000㎡, 연포에서 평 균 1,458.9 g/1,000㎡로 개체수와 마찬가지로 학암포에 비해 연포에서 높게 평가되었다[그림 2-9-7]. 학암포 지역에서 생체량의 시계열적 변동은 개체수와 유사하게 유류피해 이후에 감소하다 가 2011년경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7년이 지나는 시점에서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반면 연포 지역에서의 생체량 변동은 유류피해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완만한 감소 추세가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그림 2-9-8]. 두 지역의 계절성은 동일한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동계 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추계에 가장 높아지는 계절 양상을 보였다[그림 2-9-9].0 1,000 2,000 3,000 4,000 5,000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동계 춘계 하계 추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생체량 (g /1 0 0 0 ㎡ )
연포 생체량 (g/1000㎡) 학암포 생체량 (g/1000㎡)
[그림 2-9-7] 지인망 어류의 시기별 생체량 변화
Ⅱ. 유류유출 영향 평가 9. 지인망 어류
학암포 연포
[그림 2-9-8] 지인망 어류 생체량에 대한 시계열 분석 결과
학암포 연포
[그림 2-9-9] 지인망 어류 생체량의 계절 변동 특성
라. 군집 분석
§
다차원척도법(MDS)을 통한 군집분석 결과 지인망의 조사 결과는 출현 개체수와 생체량 모두 조사지 역간에 차이를 보였으며, 계절별로 조사 정점이 군집을 형성하여 계절적 구분 또한 관찰되었다[그림 2-9-10~11]. 그러나 연도별 구분에 있어서는 뚜렷한 구분 혹은 방향성이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앞서 시계열적 변화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학암포와 연포 두 지역의 시계열적 변화 특성이 서로 상 이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160│국립공원연구원│
조 사 시 기 별 구 분
Transform: Square root
Resemblance: S17 Bray Curtis similarity
Year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연포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학암포 연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2D Stress: 0.21
조 사 지 역 별 구 분
Transform: Square root
Resemblance: S17 Bray Curtis similarity
Site
연포 학암포2005
2005 2005
2005 2005
2005 2005
2005
2005
2005
2005
2005 2005
2005 2005
2005 2005
2005 2006
2006 2006
2006 2006
2006 2007
2007 2007 2007
2007
2007 2007
2007
2007
2007 2007
2007
2007
2007
2007
2007 2007
2007 2007
2007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8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10
2010
2010
2010
2010
2010 2010
2010 2011
2011 2011
2011
2011
2011 2011
2011 2012
2012 2012
2012
2012 2012
2012
2012 2013
2013 2013
2013
2013
2013 2013
2013 2014
2014 2014
2014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2018
2018
2018
2018 2018 2018 2018
2018
2D Stress: 0.21
계 절 별 구 분
Transform: Square root
Resemblance: S17 Bray Curtis similarity
Season
Spring Summer Autumn Winter 연포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연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학암포 연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연포
학암포
2D Stress: 0.21
[그림 2-9-10] 지인망 어류 출현 개체수에 대한 다차원척도법(n-MDS) 분석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