③ 별 영향없다
소극적 ③ 찬성 혹은
묵인
적극적 찬성과 ④ 대안제시 참여 및
무관심 ⑤
품질개선(TQM, QC, 6시그마) 공정ㆍ업무합리화나 개선 배치전환(부서간, 사업소 간) 작업속도ㆍ작업효율의 개선 신기술도입
새 인사제도 도입
성과급제 도입
노동시간 유연성
직업훈련ㆍ교육
납기개선노력
3
휴가 및 근로시간D311.
다음은 귀 사업장의 휴가제도 및 현황에 관한 질문입니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모든 질문은 귀 사업장의 정규직 근로자(임원 포함)를 기준으 로 응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D361~D367. 05 07 09 11 귀 회사에서는 아래의 법정 공휴일을 유급휴일로 쉬고 있습니까?
법정 공휴일 유급휴일로
쉰다.
쉬지는 않지만 휴일근로수당을
받는다
쉬지도 않고 휴일근로수당도
없다
3.1절 ① ② ③
5.1 근로자의 날 ① ② ③
5.5 어린이날 ① ② ③
석가탄신일(음력 4.8) ① ② ③
6.6 현충일 ① ② ③
8.15 광복절 ① ② ③
12. 25 성탄절 ① ② ③
D336. 05 07 09 11 그렇다면 귀 사업체의 정규직 근로자들의 연차휴가 소진율은 어느 정도 입니까?
연차휴가 소진율 ________________ %
D337. 05 07 09 11 귀 사업체의 정규직 근로자들은 남은 연차휴가 일수에 비례해 수당을 지급받고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D312. 05 07 09 11 귀 사업장 관리직 근로자들의 연차휴가 소진율은 어느 정도 입니까?
___________________ %
D312_1.
'연차휴가 소진율'은 실제 사용한 연차휴가 일수를 부여된 전체 연차휴가 일수로 나 눈 것을 의미합니다.
D313. 05 07 09 11 귀 사업장의 관리직 근로자들은 남은 연차휴가 일수에 비례해 수당을 지급받고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D314. 05 07 09 11 귀 사업장의 관리직이 아닌 현장 근로자들의 연차휴가 소진율은 어느 정도 입니까?
___________________ % D314_1.
'연차휴가 소진율'은 실제 사용한 연차휴가 일수를 부여된 전체 연차휴가 일수로 나 눈 것을 의미합니다.
D315. 05 07 09 11 귀 사업장의 관리직이 아닌 현장 근로자들은 남은 연차휴가 일수에 비례해 수당 을 지급받고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D316. 05 07 09 11 귀 사업장의 정규직 근로자들이 연차휴가를 전부 소진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입 니까?
① 회사 업무 자체가 많아서 연차휴가 사용이 곤란함.
② 회사 업무가 집단적, 협력적인 작업이라서 다른 사람들의 업무에 지장을 초래할까 봐 연차휴가 사용을 꺼리게 됨.
③ 회사에서 연차휴가를 모두 찾아서 쓰는 관행이 없어 눈치가 보임.
④ 추후에 연차휴가 수당을 지급받기 위해 실제 휴가 사용을 꺼림.
D338. 05 07 09 11 귀 사업체에서는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를 실시하고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D338_1.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는 근로기준법 제61조에 따라 연차휴가사용 기간이 끝나기 전 에 사용자가 근로자에 대하여 미사용 연차휴가의 사용을 촉진하는 조치를 하였음에 도 불구하고 근로자가 미사용시 사용자의 금전보상 의무를 면제하는 제도입니다.
D339. 05 07 09 11 귀 사업체에서는 여름휴가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습니까?
① 연차휴가 일수 가운데 일부 일수를 여름휴가로 사용하고 있음
② 연차휴가와는 별도로 유급으로 여름휴가를 사용하고 있음
③ 여름휴가를 별도로 두지 않고 필요할 때 사용하고 있음
D317. 05 07 09 11 귀 사업장에서 여름휴가 이외의 병가, 청원(경조)휴가 등 노동법, 단체협약 혹은 취업규칙 상에 보장된 각종 휴가는 잘 활용되고 있습니까?
① 노동법, 단체협약, 취업규칙의 내용에 준하여 병가, 청원(경조) 휴가를 자유롭게 활 용하고 있음.
② 관행적으로 실제 보장된 휴가일수의 일부만 활용되고 있음.
③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음.
※ 2011년이전 문항에서는 ‘여름휴가 이외의’라는 설명이 없었음.
D318. 05 07 09 11 연차휴가는 귀 사업장의 단시간(파트타임) 근로자에게 어느 정도 제공됩니까?
① 모든 단시간(파트타임) 근로자에게 적용됨
② 50% 이상의 단시간(파트타임) 근로자에게 적용됨
③ 50% 미만의 단시간(파트타임) 근로자에게 적용됨
④ 단시간(파트타임) 근로자에게 전혀 적용되지 않음
D301.
다음은 귀 사업장의 근로시간에 관한 질문입니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모든 질문은 귀 사업장의 정규직 근로자(임원포함)를 기준으 로 응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D302. 05 07 09 11 귀 사업장은 주 5일제를 실시하고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요
③ 부분적으로 실시
D311. 05 07 09 11 귀 사업장이 가지고 있는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 상의 소정 근로시간은 주당 몇 시간입니까?
주당 _____________________ 시간
D311_1.
‘소정근로시간’이란 근로기준법이 허용하는(주 40시간 법정근로시간) 범위 안에서 근 로자와 사용자 간에 약정한 근로시간으로, 규칙적인 근로시간을 의미하는 동시에 초 과근로수당 등을 산정하는 통상임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지불근로시간을 의미합니다.
D303. 05 07 09 11 귀 사업장 정규직근로자의 주당 초과근무시간은 평균 몇 시간입니까?
주당 _____________________ 시간
D319. 05 07 09 11 귀 사업장에서 비관리직의 초과근로(연장근로, 휴일근로)는 얼마나 정기적으로 이 루어지고 있습니까?
① 매일
② 1주일에 평균 2~3일
③ 계절적으로 바쁜 시기에만
④ 일이 바쁠 때만 아주 가끔
go to D321 if D319^=①
※ 2011년이전 문항에서는 ‘관리직이 아닌 일반근로자들의’라고 하였음.
D320. 05 07 09 11 귀 사업장에서 평일 초과근로(잔업)가 매일 고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 그에 대한 임금은 어떻게 지급됩니까?
① 실제 초과근근로시간에 상관없이 하루에 1~3시간분의 연장근로수당을 고정적으로 임금으로 지급(포괄역산제 임금)
② 연장근로시간에 정확하게 비례하여 초과근로수당을 계산하여 지급
D321. 05 07 09 11 귀 사업장의 비관리직급 근로자들의 전체 월급 가운데 초과근로(연장근로 및 휴 일근로) 수당이 차지하는 비중은 월 평균 얼마나 됩니까?
① 40% 이상
② 30% 이상 - 40% 미만
③ 20% 이상 - 30% 미만
④ 10% 이상 - 20% 미만
⑤ 10% 미만
D322. 05 07 09 11 귀 사업장에서 비관리직급의 주 휴일근로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① 매주 토, 일요일 가운데 적어도 1일은 일하는 편임
② 일이 바쁠 때만 가끔 이루어지고 있음
③ 계절적으로 바쁜 때에만 이루어지고 있음
④ 매번 주 2일을 쉬는 편임.
D323. 05 07 09 11 귀 사업장의 관리직급(임원, 부장, 차장, 과장 및 관리자 역할을 하는 대리급 및 조반장급)의 경우에는 초과근로(연장근로, 휴일근로)를 얼마나 정기적으로 하고 있 습니까?
① 매일
② 1주일에 2~3일
③ 계절적으로 바쁜 시기
④ 일이 바쁠 때만 아주 가끔
⑤ 없음
D324. 05 07 09 11 귀 사업장에서 관리직급(임원, 부장, 차장, 과장 및 관리자 역할을 하는 대리급 및 조반장급)이 초과근로 수당이 차지하는 비중은 월 평균 얼마나 됩니까?
① 40% 이상
② 30% 이상 - 40% 미만
③ 20% 이상 - 30% 미만
④ 10% 이상 - 20% 미만
⑤ 10% 미만
※ 2011년 이전에는 ① 예, ② 아니요 2가지로만 응답문항이 구성됨.
2011년 이전은 문항번호 그대로, 2011년 이후는 B type으로 구성되어 있음.
D325a1-D325a3. 05 07 09 11 귀 사업장의 경영측면에서 본 초과근로(연장근로 및 휴일근로)의 장점은 다음 중 무엇인지 모두 선택하여 주십시오.
① 외부 수요증가에 근로자수, 설비 등을 늘리지 않고 탄력적으로 대응 가능
② 비용을 줄일 수 있음
③ 납기에 맞출 수 있음
D326a1-D326a3. 05 07 09 11 귀 사업장의 경영측면에서 본 초과근로(연장근로 및 휴일근로)의 단점은 다음 중 무엇인지 모두 선택하여 주십시오.
① 노동비용이 증가함
② 노동강도나 집중도가 떨어지고 노동시간이 효과적으로 관리되지 않고 있음.
③ 연장근로가 고정되어 일감이 줄어도 연장근로를 시켜야 하는 상황 발생
D327. 05 07 09 11 귀 사업장에서 제품이나 서비스 수요가 줄어들어 1일 정상적인 8시간 근무를 할 물량이나 서비스가 없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① 일감이 없어 근로자들이 놀더라도 8시간의 임금을 주고 있음
② 노동시간을 줄이되 줄인 시간만큼의 임금을 덜 주고 있음.
③ 사람을 줄이기 위해 정리해고나 비정규직의 사용을 줄이고 있음
D340a1~D341a2. 05 07 09 11 귀 사업체에서 정규직근로자들이 평일 연장근로 혹은 휴일근로가 발생하는 이유 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중요한 순서대로 2가지만 말씀해 주세요.
1순위 ____________ , 2순위 ____________
① 일의 양에 비해 인원이 적어서
② 일의 양이 불규칙하기 때문
③ 고객과의 관계 등 외부 대응이 필요해서
④ 승진 등 인사고과 불리를 우려한 근로자들의 자발적인 결정으로
⑤ 잔업/특근수당이 줄어들 것을 우려한 근로자들의 결정
⑥ 기술이나 장비의 특성 때문에
⑦ 그냥 관행적으로
D341a1~D341a2. 05 07 09 11 귀 사업체에서 근로자들의 노동시간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점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중요한 순서대로 2가지만 말씀해 주세요.
1순위 ____________ , 2순위 ____________
① 근로자들의 일상생활에 대한 고려(생활주기, 충분한 휴식, 출퇴근시간 등)
② 고객이나 거래처와의 관계
③ 기술이나 장비사용의 효율성을 극대화
④ 시장의 변동에 대한 유연하거나 탄력적 대응
⑤ 인건비의 최소화
⑥ 모성보호(출산, 육아, 보육 등)관련 근로자 배려
⑦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
D343. 05 07 09 11 귀 사업체에서 업무수요에 따라 근로시간을 늘리고 줄이는 것(연장근로, 휴일근로, 근로시간 단축)은 누가 어떻게 결정합니까?
① 전적으로 회사가 알아서 결정한다.
② 회사가 노조(혹은 노사협의회)와 협의하여 결정한다.
③ 회사가 알아서 결정하지만, 몇 개의 근로시간 스케줄에서 근로자가 결정할 수 있
다.
④ 회사가 결정하지만, 일정 범위 내에서 근로자의 개인사정에 맞추어 근로시간 조절 이 가능하다.
⑤ 전적으로 근로자가 결정한다.
D344. 05 07 09 11 노동시간 단축을 위해 휴일근로시간을 연장근로시간에 포함시키는 조치(근로기준 법 관련 규정 개정 등)를 취하는 경우, 주 평균 12시간(휴일근로시간 포함) 한도로 연장근로가 제한되게 됩니다. 이렇게 될 때 귀 회사는 어느 정도의 영향을 받게 됩니까?
① 휴일근로를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영향이 없다.
② 바쁠 때 휴일근로를 가끔 하지만,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③ 휴일근로를 종종 하는 편이라 적지 않게 영향을 받게 된다
④ 휴일근로를 자주 하는 편이라 타격이 상당하다
⑤ 휴일근로를 거의 매주 하는 편이라 심각한 타격을 받는다
D345. 05 07 09 11 귀 사업체에서는 향후에 노동시간을 단축할 계획이 있습니까?
① 단축계획 있음
② 단축계획 없음
go to D347 if ②
D346. 05 07 09 11 귀 사업체에서 향후에 노동시간을 단축할 계획이 있다면, 어떤 방법을 고려하고 있습니까?
① 교대제 개편
② 시간제 근로 도입
③ 연장근로시간 축소
④ 유연근로시간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