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 나무 심기 문제

2.2 채점기준표

2.1에서의 분석을 반영한 채점 기준표를 작성하였다. 16개의 해결과정

을 적절히 조직하여 다음과 같이 6개의 채점코드를 만들었다.

채점

코드 배점 응답내용

01

3 두 직선이 일치한다고 가정하여 모순을 이끌어내려 하였으 며, 정당화를 잘 해냄

2 수학적 표현에는 다소 문제가 있지만 정당화를 잘 해낸 경 우

1

두 직선이 일치한다고 가정하여 모순을 이끌어내려 하였으 나 

 ′

′ 이면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이라는 결론을 바로 내리는 등 정당화에 문제가 있는 경우

0 기타 오답, 무응답

<표 Ⅳ-30> 나무심기 문제 논제1(1)의 채점기준표

채점

코드 배점 응답내용

02

3

수학적 귀납법 또는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   ⋯     의 좌표에 나무를 심을 수 있음을 수학 적으로 정당화함

2

수학적으로 명확히 정당화를 하지는 않았으나,   이 서로 소일 때   

에서 원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격자점에 는 나무를 심을 수 있으며 그것이         임을 설 명’하는 등 정당화를 시도함

1 [논제1](1)의 결과와 연결하려고 시도했지만 명확히 정당화 하지는 못함

0 기타 오답, 무응답

03

3   이 서로소가 아닐 때   에 나무를 심을 수 없음을

명확히 정당화한 경우

1   이 서로소가 아닐 때   에 나무를 심을 수 없음을

보이려고 하였으나 정당화는 못한 경우 0 기타 오답, 무응답

<표 Ⅳ-31> 나무심기 문제 논제1(2)의 채점기준표

채점

코드 배점 응답내용

04

2

[논제1](2)의 결과와   인 경우를 고려하여 자연수 에 대하여 번째 날 심는 나무의 수가  임을 잘 설명한 경우

1   인 경우를 따로 고려해야 함을 생각하지 못하고

 으로 바로 표현한 경우 0 기타 오답, 무응답

<표 Ⅳ-32> 나무심기 문제 논제1(3)의 채점기준표

채점

코드 배점 응답내용

05

3 열흘 동안 심은 나무의 수를 정확히 구했고, 제시문에 나온 성질들을 적절히 활용하여 정당화한 경우

2 열흘 동안 심은 나무의 수를 정확히 구했지만, 제시문에 나 온 성질들을 적절히 활용하여 정당화하지는 않은 경우 1 시도하였으나 정확히 나무의 수를 구하지 못했고, 제시문에

나온 성질들을 활용하여 정당화하지도 않은 경우 0 기타 오답, 무응답

<표 Ⅳ-33> 나무심기 문제 논제2의 채점기준표

채점

코드 배점 응답내용

06

3 모든 경우를 고려하여 의 값을 찾고 정당화한 경우 2

이 또는 의 형태인 경우에는 잘 정당화하고, 정확 히 의 값을 구했으나, 서로 다른 세 소수의 곱의 형태는 될 수 없음을 정당화하지 못한 경우

1 의 값은 잘 찾아냈으나 경우나누기 등의 설명이 없는 경 0 우기타 오답, 무응답

<표 Ⅳ-34> 나무심기 문제 논제3의 채점기준표